국제뉴스

日, AI(인공지능) 인재 연 25만명 육성, 모든 대학생에 AI 교육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19년03월27일 21시07분
  • 최종수정 2019년03월28일 14시14분

작성자

메타정보

  • 7

본문

- 日 정부, 모든 국민에 ‘數理 · 정보 과학 · AI’ 기술을 일상적인 기술 수준으로 보급할 계획
- 모든 대학생, 고등전문 학생들에게 초급 수준의 AI 교육 의무화할 방침
- 주요 대학에 일반 사회인을 대상으로 한 ‘AI 교육’ 전문 코스 설치, 재교육을 지원
- 새로운 변화에 맞춘 새로운 고용 · 보수 제도 개혁 바람을 몰고올 것 기대도

 

Ifs POST 대기자 박 상 기

 

全 세계 선진국들이 AI(인공지능)를 중심으로 한 차세대 정보 기술 개발에 불꽃 튀는 경쟁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마침 日經이 일본 정부가 AI 인재 육성을 위한 야심 찬 장기 계획을 마련했다고 보도해 비상한 관심을 끌고 있다. 日 정부 스가(菅義偉) 관방장관을 의장으로 한 “통합 이노베이션전략 추진회의”가 마련한 이 AI 기술 발전을 위한 인재 육성 플랜은, 빅 데이터(Big Data), 로봇(Robot) 기술 등, 첨단 기술이 급속히 발전하는 가운데, AI 인재 부족이 심각한 일본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日 정부가 기치(旗幟)를 올리는 역할을 자임하는 것으로 보인다.


일본 정부가 이러한 AI 인재 육성을 위한 담대한 정책을 수립하게 된 배경은 물론, 일본 기업들이 겪고 있는 인재난을 감안한 것이다. 그리고, 그런 인재난을 가져온 원인이 바로 연공서열형(年功序列型) 보수 제도에 묶여, AI 인재들에 경쟁 기업들의 보수 수준에 대항하는 보수를 지급하지 못하는 게 큰 것으로 분석된다.


日 기업들 중에는, 이렇게 급변하는 새로운 시대에 맞는 새로운 고용 및 보수 제도를 만들어 내는 과감한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풍조가 확산되면, 시대 변화에 따른 인재 수요 변화가 일본 기업들의 채용, 보수 제도의 개혁에 새로운 바람을 몰고와 실질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되는 바가 적지 않다. 일본 정부의 새로운 AI 인재 육성 정책의 대강을 Nikkei의 보도 내용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 “日, 정부 주도로 연간 AI 인재 25만 명씩 육성하는 것이 핵심”
日經(Nikkei)紙가 보도한 바에 따르면, 일본 정부가 주도하는 ‘통합 이노베이션 전략추진회의’는 정부 차원의 『AI 전략』을 책정하고, 이 계획의 전모를 29일 발표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 전략 계획의 핵심은 향후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을 활용할 수 있는 인재를 매년 25만 명씩 육성한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이 계획에 따르면, 각 대학에 문과(文科) 및 이과(理科)를 불문하고, 모든 대학생들에게 ‘AI’ 교육을 받도록 할 대책을 마련할 것을 요청하고, 이와 별도로 일반 사회인들을 상대로 하는 전문 과정도 설치하도록 요구할 것을 계획하고 있다. 따라서, 이번에 마련하는 AI 인재 육성 계획은, 궁극적으로는 일본의 교육 제도 전반의 개혁 방향에도 지남(指南) 역할을 하면서,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단기적으로는, 빅 데이터(Big Data), 로봇 기술(Robot technology) 등 첨단 기술이 급속히 발전해 감에 따라 AI 인재 부족이 심각해지고 있는 일본의 산업 현실을 배경으로, 국가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일본 정부가 앞장서서 자국의 ‘AI 경쟁력’ 향상을 선도하는 역할을 수행할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日 정부가 마련한 『AI 전략』 개요> (Nikkei)


◆ 이념; “數理 · Data Science · AI(인공지능) 지식을 모든 국민들에게 ‘읽기’, ‘쓰기’, ‘주산(珠算)’ 등과 마찬가지로 일반적인 수준의 기술로 확산되도록 보급하는 것을 목표로 함


◆ 주요 정책; ① 모든 대학생 고등전문대학생들에게 초등 수준의 AI(인공지능) 교육을 실시함, ② AI와 전공 분야의 복수 전공을 촉진함, ③ 각 대학에 일반 사회인들을 대상으로 한 AI 전문 교육 코스를 설치, 재교육을 실시하도록 지원함   

 

■ “IoT 등, AI 기술이 IT 분야를 넘어 모든 분야로 확산될 것을 상정”
현대 사회에는 모든 사물이 ‘망(網; net)’으로 연결되는 ‘IoT’ 기술이나 빅 데이터 활용 기술이 실제로 기업의 제조 과정이나 영업에 활용되는 경우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향후 AI를 필요로 하는 사업은 단지 IT 산업 자체에 국한되지 않고 사회 전반의 다양한 분야로 급속히 확산될 것이 상정된다.


이에 따라, 앞으로 닥쳐올 새로운 세대에서는, 고도의 전문적인 정통적 기술 인력에 더해서, 폭 넓은 인재들이 AI에 대한 기초 지식을 갖추지 않으면, 경쟁력이 있는 제품을 개발하거나, 기업 활동을 전개하기가 어려워질 것이라는 판단이다.


한편, 이미 산업계에서는 실제로 AI 기술의 실용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학이나 기업의 인재 육성 실적은 이를 뒤따라 가지 못하고 있는 것이 안타까운 현실이다. 대학의 AI 교육 규모도 아주 작아서, 日 정부 조사에 따르면 석사 과정을 수료하는 인재는, 東京대학, 京都대학 및 早稻田 대학 등 11개 대학에서 졸업하는 학생 수를 기준으로 보아, 연간 약 900명에 불과한 실정이다.


일본 전국적으로 대학들이 배출하는 인재 수를 합계해 보아도 겨우 2,800명에 지나지 않는다. 게다가, 일반 학부 졸업자 수는 더욱 뒤떨어지고 있다. 한편, 경제산업성의 집계에 따르면 AI 등 IT 지식을 가진 인재는 일본 전 산업을 합치면 2020년까지 약 30만명 정도가 부족할 것이라는 시산마저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현실을 감안하여, 일본 정부는, 지금의 교육 제도로는 이러한 인재 수요 변화에 충분히 대응할 수 없다고 판단, 새로운 교육 시스템 구축에 나서고 있는 것이다.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하고 있는 인재들이 ‘심층(深層) 학습(Deep Learning)’의 구조 혹은 AI를 이용한 데이터 분석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지식을 갖출 수 있도록 만들어서 일본의 산업 경쟁력을 한 단계 끌어 올리려는 시도인 것이다.

 

■ “모든 고등교육 기관에 AI 교육 과정을 설치, 수요 증가에 대응하려는 것”
이런 시도의 핵심이 되는 것이 바로 고등교육 과정에 AI 교육 과정을 적극 도입하는 것이다. 연간 약 50만 명으로 추산되는 모든 대학생 및 고등전문(高專) 학생들에게 초급 수준의 AI 교육을 실시하는 것이다. 최소한의 프로그래밍 구조를 이해하고, AI 윤리를 이해하도록 하려는 것이다. 이런 과정을 수강하는 학생들에게는 각 수준에 맞춰 수료증을 발급, 취업 활동도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그 가운데 25만명은 더욱 고도의 전문 지식을 갖춘 AI 인재로 육성할 계획이다. 이들에게는 초급 수준의 지식에 더해 ‘심층 학습(Deep Learning)’을 체계적으로 익혀서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의 알고리즘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할 것을 계획하고 있다. 예를 들어, ‘AI와 경제학’ 혹은 ‘Data Science와 심리학’ 등, 文科 계통과 理科 계통의 울타리를 구분하지 않고 AI를 활용할 수 있도록 교육할 방침이다.


일본 대학 시스템에는 현재 4년제 대학이 문과계가 42만명, 이과계가 12만 명, 보건계가 6만 명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이 가운데, 이공계와 보건계를 합치면 18만명 정도가 되나, 이에 더해서 문과계에서 약 15% 정도에 해당하는 7만명 정도를 AI 인재로 육성할 것을 상정하고 있다. 이렇게 되면, 일본 정부가 현 시점에서 기대하는 새로운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한편, 일반 사회인을 대상으로 하는 재교육에도 역점을 둘 방침이다. 2022년까지는 대학에 전담 코스를 새로 설치하고, 이에 소요되는 비용 일부를 정부가 지원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연간 약 2,000명 정도를 교육시킬 방침이다. AI 활용에 필요한 “심층 학습(Deep Learning)” 등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할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日 정부는 각 대학에 이런 방향으로 일련의 교육 제도 개혁안을 순차적으로 학사 과정에 반영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한편, 각 기업들에 대해서도, 인턴 제도 등을 통해 AI 기능을 가진 학생들을 받아들여 상응하는 환경을 정비하도록 촉구할 방침이다. 기업들이 이렇게 AI 기능을 가진 학생을 우대하면서 받아들이게 되면, 대학 측도 AI 교육을 적극적으로 학사 과정에 반영해 나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특히, 이공계(理工系) 인재 채용難이 심각, AI 인재 쟁탈전도 벌어지는 상황
한편, 일본 기업들의 현실을 보면, AI 인재 부족 상황이 더욱 심각한 것으로 드러난다. 日經이 기업들의 신규 졸업 사원 채용 계획을 집계한 결과에 따르면, 대졸 理工계 졸업생 채용난(採用難)이 특히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AI 기술자 및 Data Science 등 IT (정보기술) 인재들을 확보하려는 움직임이 업종을 넘어 확산되고 있다. 전문 인재 공급이 뒤따르지 못하는 대학 교육의 심각성이 부각되는 것이다.


주요 기업들의 인재 확보 실적을 살펴보면, 봄철 대졸 신입 사원의 채용은 7.9% 증가될 전망이다. 채용 계획은 10년 연속 증가했으나, 증가율은 2년 만에 둔화되고 있다. 업종별로 보면, 일손 부족 현상을 배경으로 해서, 육상 운송 등 非제조업은 9.6%로 2.0%P 상승했으나, 제조업은 4.5% 증가에 그쳐 5.7%P 하락한 것이다.


이번 조사에서 눈에 띄는 것이 理工系 인재 채용 계획이다. 2020년 봄 채용할 이공계 인재의 채용 계획은 11.7% 증가하여, 文科系 채용 증가율을 7.5%P 상회하고 있고, 두 자릿수 증가율은 6년 만의 일이다. 기계 공학 계열의 엔지니어 및 藥劑師를 구하는 움직임도 강하다. 그러나, 2019년 봄철 입사에서는 채용 계획에 비해 채용 내정자를 확보하지 못해 계획에 미달하는 비율이 5%强에 달해, 인력 수급의 갭(gap)이 확대되고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최근 3년 간은 文科系의 채용 실적이 채용 계획을 상회하여 그 격차가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이대로 理工系 인재의 채용 부족이 누적되면 기업들에게 큰 타격을 주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 두뇌 유치 경쟁에 패하는 일본; IT 인재에 대한 처우가 훨씬 뒤처져
한편, 일본 기업계 현실을 보면, AI 인재 부족 상황이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 이런 배경을 살펴보면, IT 인재에 대한 처우가 미국 등 다른 선진국들에 비해 훨씬 뒤떨어지고 있는 것이 확연하다. Data 경제 시대가 도래, 우수한 IT 인재 확보가 기업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시기에, 다른 경쟁국들에 인재를 빼앗기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 일본 기업들이 전문 인재를 확보하는 데 가장 큰 저해 요인이 되고 있는 것이 ‘연공서열형(年功序列型)’ 보수(報酬) 체계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예를 들어, 미국의 IT 인재들의 평균 연간 수입이 20~50세 구간에서 1,000만엔을 넘고, 절정 시기인 30대에서는 1,200만엔을 상회하는 한편, 일본의 경우에는, 20대에 출발하여 계단 형태로 올라가는 연공서열형(年功序列型) 보수 제도 때문에, 가장 높은 50대에서도 약 750만엔, 30대에서는 520만엔에 불과하다. 이러한 임금 체계에서는 우수한 젊은 인재들은 아직 ‘육성(育成) 중’이라는 위치에 머물고 있는 것이다.


아시아의 다른 나라들에 대비해 보아도 차이가 크게 벌어져 있다. 영국 인재 서비스 기업인 헤이즈社가 집계한 2018년 전직(轉職)시 급여 조사 결과에 따르면, Data Scientist들의 최고 급여액은 중국이 전년 대비 67% 증가한 100만 위안(약 1,660만엔)인 반면, 일본은 약 600만엔으로 나타나고 있다. 다른 산업 · 직종에 대비한 배율(倍率)도 일본은 1.7배이나, 인도는 동 9배, 중국도 동 7배에 달하고 있다.

 

■ 새로운 시대 변화에 맞는 고용 제도 도입을 촉진하는 역할도 기대
이런 환경에서, 드디어 대담한 움직임을 보인 일본 기업들도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어, NTT Data社는 2018년 12월, AI 등 분야의 이른바 ‘스타 인재’ 를 최고 보수를 지급하면서 채용할 수 있게 하는 ‘특별보수제도’ 를 새로 창설하고, 기존 제도와는 전혀 다른 제도로 가동하고 있다. 회사 측은 이 제도를 도입하기 위해 사내 전 직원들에게 이 제도를 도입하는 의향서를 보내 이해를 구하기도 했다. 주요 내용은, 현재 무기한 채용이 전제되는 ‘정규’ 사원과 달리 ‘계약’ 형태 채용을 원칙으로 하고, 성과급 보수가 큰 비중을 차지하는 ‘기한제(期限制)’로 채용한다는 것이다.


과거 제조업이 경제를 견인하던 시대에는 임금이 평등한 것이 제품 품질의 유지에 기여했고 기업들도 탁월한 성장을 거두었으나, 새로 도래하는 데이터 경제 시대에서는 개인이 보유한 지식 및 기술이 기업 간 격차를 만들어 내고 있다. 물론, 미국처럼, 개인 간 보수 격차가 벌어지면 사회 분열로 이어지는 측면도 있다.


그러나, 일본처럼, 오랜 동안 사회 전반에 고착되어 온 연공서열(年功序列) 형식의 고용, 보수 제도라는 옛날 형식에 발목이 잡혀 있는 상황으로는 글로벌 경쟁에서 뒤지기 쉽고, 경제 전체의 둔화가 지속될 수밖에 없다. 새로운 경쟁 시대의 조류에 맞춰 임금 제도의 새로운 해법을 창출해야 하는 시대가 도래한 것이다.

 

■ ‘현명한 판단’  ‘멀리 보는 혜안’  ‘주저 없는 결단’ 이 더욱 긴요한 시기
이렇게 남의 나라 사정을 듣자 하니, AI 기술을 주축으로 하는 IT 산업 정책을 관장하는 우리 정부 유관 기구들이나 이에 종사하는 기업들의 최고 책임자들은 지금 이러한 새로운 시대 조류 변화에 직면해서, 경영 시스템 개선이나 사회 전반의 제도 개혁에 얼마 만큼의 진정성과 절박감을 가지고 임하고 있는지 깊은 의문과 우려가 뇌리를 스친다.


이제는 굳이 사계에 종사하지 않는다고 해도 누구나, 앞으로 새로운 문명 시대를 이끌어 갈 가장 강력한 추동력으로 AI를 위시한 첨단 IT 기술 분야를 꼽기를 주저하지 않는다. 그리고, 과거 경험 상으로는 이러한 첨단기술 개발에 획기적인 발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한없는 창의심과 투자 그리고, 끊임없는 인내와 도전 정신이 절대 불가결하다.


바로 이러한 대승적이고 전략적인 분야에 국가의 역할이 긴요한 것은 두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이것이 바로 ‘인적 자본(Human Capital)’ 확충을 기반으로 한 ‘사람 중심’의 지속가능한 경제 발전을 도모하는 국가 경제 운용의 요체일 것이다. 그 결과는 나라 경제 안에 풍성한 무형 공공재의 확충에 절대적으로 기여할 것임은 물론이다.


이웃 나라 일본의 선제적인 IT 인재 육성 정책 마련 소식을 들으며, 지금 우리에게는 다양한 분야를 폭넓게 포괄하는 현명한 판단과 시대를 멀리 바라보는 혜안, 그리고 주저하지 않는 담대한 결단이 더욱 필요한 시기임에 틀림없다는 확신이 커진다. <ifs POST>
 

7
  • 기사입력 2019년03월27일 21시07분
  • 최종수정 2019년03월28일 14시14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