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려있는 정책플랫폼 |
국가미래연구원은 폭 넓은 주제를 깊은 통찰력으로 다룹니다

※ 여기에 실린 글은 필자 개인의 의견이며 국가미래연구원(IFS)의 공식입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한국 배터리 산업의 현황과 경쟁력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24년07월24일 17시10분
  • 최종수정 2024년07월20일 12시05분

작성자

  • 김철중
  • 미래에셋증권 리서치센터 연구원

메타정보

  • 1

본문

<한국 배터리 산업의 현황>

 

2020년 코로나, 글로벌 EV / 배터리 산업의 변곡점

 

한국 및 글로벌 배터리 산업은 아이러니하게도 2020년 상반기 코로나를 기점으로 성장이 가속화되었다. 주요 원인은 1) 각 국의 유동성 증가가 EV를 비롯한 친환경 제품 보조금 확대로 이어졌으며, 2) 구매력이 강화된 소비자들이 Tesls, BYD 등 ‘새로운’ 폼펙터의 자동차에 관심이 높아지며 EV 침투율 상승이 가속화되었다. EV 점유율을 잃기 시작한 후발 OEM들의 EV 관련 투자가 확대되며, 글로벌 EV 수요 전망이 급격하게 상향 조정되기 시작하였다. 당사도 코로나 직전 작성했던 중장기 산업보고서에서 25년 글로벌 EV 침투율을 14% 수준으로 예측하였지만, 코로나 이후 작성한 보고서들을 통하여 25년 EV 침투율을 28%까지 공격적으로 상향 조정하였다.

 

수요 예상치 상향 조정이 급격하게 진행되었지만, 여전히 코로나라는 대외 변수가 지속되며 공급량은 22년까지 충분히 증가하지 못했다. 단기 Shortage가 지속되었다. 2019년 말 일부 리튬 업체들의 파산까지 진행되었던 바, 공급이 가장 부족했던 리튬 가격은 2022년 11월까지 급등하였다. 리튬 가격의 상승,  배터리 판매가 상승이 진행되었고, 출하량 상승이 동반되며 업체들의 실적은 급성장하였다. 단기실적 뿐만 아니라 중장기 수급이 불편하였던 전방 고객사들은 ‘중장기 공급 계약’이라는 시스템을 통하여 수주 계약을 본격화하였다. 2020 ~ 22년까지의 업황은 단기 및 중장기 관점 모두 Shortage라는 말이 어울리는 업황이었다.

 

2022년 8월 미국 IRA가 통과되었다. 글로벌 EV 침투율에 대한 전망치는 추가적으로 상향 조정되지 않았지만, IRA 법안 통과로 인하여 적어도 미국 시장의 수요 예상치가 본격적으로 상향 조정되기 시작하였다. 코로나 직후, 유럽/중국 EV 보조금 확대로 수요 증가를 경험했기에 침투율이 5% 내외였던 미국 시장의 수요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기 시작하였다. 공급 측면에서도 IRA는 중국 배터리 밸류체인을 미국 시장 진입을 막았다. 중국 배터리 밸류체인의 미국 시장 진입 가능성이 낮다는 것을 감안할 때 미국 시장의 배터리 중장기 수요/공급에 대한 전망은 극단적으로 불편해지기 시작하였다. 이는 결국 10년 이상의 중장기 수주 계약이라는 결과를 낳았다. 2023년 초부터 일부 양극재 업체들은 10년이 넘는 계약 기간, 금액으로 몇 십조 원 이상의 계약 체결에 성공하였다. 한국 배터리 업황은 2023년 상반기까지도 견조한 모습을 유지하였다.

 

2023년 8월 이후, 한국 배터리 업황은 급격하게 둔화되기 시작하였다. 이유는 아래와 같다.

 

1) 수요 측면

 

IRA 보조금 지급 이후 급격하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던 미국 EV 수요의 성장이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1) 주요 OEM들의 EV 생산 단 차질이 지속되는 중에, 2) 금리 상승이 지속되며 소비자의 구매력이 약화되었다. 3) 충전 시설 등 인프라가 충분히 갖추어 지지 않은 상황에서 여전히 EV 가격은 내연기관 대비 비쌌다. 2023년 보조금 지급 이후 큰 폭으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던 미국의 EV 침투율은 2024년 현 시점 여전히 8~9% 수준에 머물러있다. 

 

OEM단으로는 GM과 Tesla의 부진이 주요 원인이었다. 20​23년 상반기 기준 전체 미국 EV 판매 중 65%를 차지하는 GM과 Tesla는20​ 24년 상반기 각각 전년동기 대비 0%, -16%의 판매 증감율을 기록하였다. GM의 타 OEM 대비 가장 공격적인 EV 투자를 진행하고 있었던 바, 20​24년 연간 최소 3배 수준의 판매 증가가 예상되었던 업체이다. 미국 EV 시장 판매 증가를 견인하던 Tesla 역시 1) 경쟁 모델의 시장 진입, 2) 신규 모델 출시 지연에 따라 판매량이 감소하였다. 시장 예상대비 미국 EV 시장 수요 성장이 더뎌지며, 중장기 수요 예상치 하향 조정  증설 계획 후퇴 및 지연이 지속되고 있다.

 

410c84327b0e0505299b115d34a20449_1721266 

410c84327b0e0505299b115d34a20449_1721266

수요 예상치 하향 조정에는 EV 관련 정책도 영향을 주었다. 먼저 유럽 시장의 경우, 23년 말 독일을 중심으로 주요 국가들의 EV 관련 보조금이 축소되었다.20​20년 코로나 유동성 확대 이후 확대되었던 보조금이 만료되며, EV 관련 판매는 24년 연초부터 성장이 둔화되기 시작하였으며, 특히 보조금이 전면 중단된 독일의 경우 20​24년 상반기 판매량이 역성장하였다. 미국 IRA 역시, 광물과 부품 규정에 따라 보조금을 획득할 수 있는 EV 모델 수가 오히려 줄어들었다. 주요 국가들의 EV 관련 보조금 접성이 지속 악화되며 글로벌 EV 수요 전망치의 하향 조정이 지속되고 있다. 

 

우리는 중장기 관점에서 EV 수요 및 자동차 업체들의 EV 관련 전략 방향성이 훼손되었다고는 판단하지 않는다. 현 상황은 1) 높은 금리 상황 지속, 2) 대선 및 총선 등 정책 불확실성 확대, 3) 인프라 부족 등에 따른 불가피한 속도 조절 구간이라고 판단한다. EV 수요의 방향성은 1) 금리가 안정화되고, 2) 정책 불확실성이 완화되며, 3) 배터리 가격 하락에 따른 EV 가격 인하가 가속화되고, 4) EV 세그먼트 확대(픽업, 중저가 형 등)되는 25년부터는 정상화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EV 외에도 ESS 수요에 대한 관심이 필요한 상황이다. EV와 다르게 ESS 수요 전망이 지속 상향 조정되고 있다. 시장 성장의 주요 Driver는 1) 각국의 에너지 전환 관련 정책, 2) AI 데이터센터 등 신규 수요처 확대, 3) 배터리 가격 하락 가속에 따른 원가 개선이다.

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유럽 지역 에너지 위기 발발과 미국 IRA(22년 8월), 유럽 CRMA, NZIA(24년 발효) 등의 지역별 리쇼어링 정책 강화가 지속되고 있다. 수요 예상치 상향 조정의 시작은 위와 같은 ‘지정학적 리스크 및 공급망 교란 우려’였으나, 최에는 AI 용 데이터센터 투자 확대  전력 수요 증가에 따라 데이터센터의 안정적인 운용을 위한 ESS의 신규 수요처 역시 확대되고 있다.

 

타 시장 조사기관 대비 상대적으로 보수적인 전망치를 제공하는 IEA의 STEPS(Base) 시나리오에 따르면 글로벌 ESS 누적 설치량은 23년 86GW  30년 760GW로 9배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NZE(Bull) 시나리오 기준 전망치는 1,200GW이다. IEA에서 추정하는 ESS의 듀레이션(배터리 지속시간)은 23년 2시간  30년 2.7시간으로 증가한다(설치 환경에 따라 지역 별 차이가 큼). 듀레이션을 감안하여 배터리 용량 환산 시, 글로벌 ESS용 배터리 시장 규모는 23년 82GWh  30년 440GWh로 연평균 27% 성장하며 5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NZE(Bull) 시나리오 기준으로의 향후 7년간 연평균 성장률은 +41%, 시장 규모는 912GWh로 23년 대비 10배 성장이다.

410c84327b0e0505299b115d34a20449_1721266
2) 공급 측면(원재료, 판가)


한국 배터리 업황을 단기적으로 더 악화시키는 요인은 리튬 등 주요 메탈의 가격 하락이다. 21년 초 급증했던 리튬 광산/제련 투자로 인하여 공급과잉이 극단적으로 심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공급과잉 상황에서 리튬이 주요 국가들의 전력자원화(자원 민족주의)되며, 공급망 교란마저 일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 20​22년 말 태양광 폴리실리콘에서 발생했던 공급망 교란  중국 내 공급과잉 심화  글로벌 가격 추가 하락이 진행되고 있다. 

리튬 가격의 하락은 중장기 관점에서 배터리 판가 하락  전기차 가격 하락  EV 침투율 상승 가속이라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반면, 단기적인 관점에서는 양극재/배터리 가격의 추가 하락을 예상한 전방 고객사들의 주문이 지연되는 부정적인 효과가 있다.

당사는 올해 하반기 중 주요 리튬 밸류체인의 구조조정 및 감산, 프로젝트 셧다운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한다. 현재 리튬 가격인 12만달러/톤 수준 이하로 추가 하락할 경우, 지난 19년 ~ 20년 초 진행되었던 원가 열위 업체들의 파산 및 상위 업체 중심 M&A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하기 때문이다.

410c84327b0e0505299b115d34a20449_1721266
<한국 배터리 산업의 경쟁력>


1) 제품 측면: 차세대 제품 기술 로드맵 우위, LFP 시장 진입 시작


단기적인 관점에서 LFP 배터리의 시장 침투 속도가 가파르지만, 중장기 관점에서 자율주행 등 전력 소모량 증가에 따른 궁극적인 에너지 밀도 개선 여력 측면에서 여전히 하이니켈의 기술 로드맵은 유효하다. 양극재 단의 제품 개발 능력뿐만 아니라 음극재(Si), 전고체 등 차세대 배터리에 대한 연구 개발 속도는 한국 배터리 산업이 앞서 나가고 있다고 판단한다. 또한, 향후 유의미한 공정원가 우위를 점할 수 있는 1) 건식 공정 개발, 2) 4680 원통형 셀 개발에도 글로벌 경쟁사 대비 앞서나가고 있는 상황이다.

2년 간 중국 업체의 점유율 증가를 견인했던 LFP 시장 내 한국 업체들의 시장 진입이 시작되었다. 지난 7월 2일, LG에너지솔루션은 유럽 르노 향 LFP 배터리 수주를 공시하였다. 계약 기간은 20​25년 11월 ~ 30년 12월 31일까지 5년 2개월이다. 계약 규모는 총 39Gwh이며, 대당 탑재량 80Kwh를 가정 시, 50만대 수준의 전기차를 생산할 수 있는 물량이다. 한국 배터리 업체의 EV 용 LFP 배터리 수주는 금번이 처음이다. 

중국 업체에 대한 제한 강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유럽 시장에서 수주를 확보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는 수주라고 판단한다. 향후 르노뿐만 아니라 타 유럽 고객 향 수주 가능성도 향후 지속 확인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한다. 유럽 OEM 입장에서 원가 우위를 점한 CATL의 LFP 배터리를 단기적으로 선호하겠지만, 중장기 관점에서 공급사 이원화에 대한 고민이 지속될 것이기 때문이다.

410c84327b0e0505299b115d34a20449_1721266 

2) 정책 측면: 자동차, 전력망이 전방 산업, 중국 밸류체인 견제 정책 지속 전망


시장 수요 전망치의 하향 조정과 함께 중국 업체들의 해외 진출을 막는 각 국의 보호무역주의 역시 강화되고 있다. 지난 5월 미국 바이든 정부는 중국 EV에 100%의 관세 적용을 발표하였으며, 트럼프는 200% 관세 공약을 내세우고 있다. EU 역시 지난 1년 간의 불공정 보조금 조사를 통하여 지난 7월 5일 중국 EV에 대하여 최대 48%의 관세 적용을 시작하였다(업체 별 차등 존재). 배터리 및 광물에 대한 보호무역주의 역시 강화되고 있다. 지난 5월 미국 바이든 정부는 EV 배터리 및 주요 소재 관련 관세 인상을 발표하였으며, 트럼프는 중국 제품에 대한 최대 60% 관세 적용을 공약으로 제시하고 있다. 칠레/인도네시아 – 미국, 호주 – EU 등 중국을 배제한 광물 관련 협력 내용들이 지속 발표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정책적 방향성은 배터리의 전방 성격에 기인한다. 배터리의 전방은 자동차(EV), 전력(ESS)이다. 값 싼 중국 산 제품이 경제적으로는 우위를 점할 수 밖에 없으나, 중장기 관점에서는 중국 밸류체인에 좌지우지하게 놓아둘 수 없는 전략 산업이다. 자동차 산업은 유럽 및 미국의 GDP 내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일자리 창출과도 직결되는 제조업이다. 중장기 관점에서 자율주행 산업 데이터의 하드웨어(국가 보안과 관련된)인 자동차 산업의 성격을 감안 시 단순히 경제적 논리로 접할 수 없다. 한 국가의 전력망(ESS)는 말할 것도 없다. 당사는 중국 밸류체인의 해외 진출을 정책적으로 막는 각 국의 정책적 방향성은 향후 꽤 오랜 기간 지속될 것으로 판단한다. 

 

이러한 정책 기조는 최 중국 업체들에게 빼앗기고 있는 점유율을 반전시킬 수 있는 시간 확보를 가능하게 할 것으로 전망한다. 특히 한국 업체들이 이제 시작하는 LFP 양산성 확보를 통해 주요 적용 영역인 ESS, 중저가 전기차 향 점유율 확보가 필수적이며, 4680/실리콘음극재/전고체/건식공정 등 중장기 관점의 원가 및 에너지밀도 측면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는 차세대 기술에 대한 투자를 지속해야 한다고 판단한다.

<ifsPOST>

 

1
  • 기사입력 2024년07월24일 17시10분
  • 최종수정 2024년07월20일 12시05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