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미래연구원은 국민행복에 도움이 되는 사회적 담론 형성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상세검색

근 전체검색 결과

게시판
22개
게시물
10,576개

10/1,058 페이지 열람 중


News Insight 게시판 내 결과

  • 윤정국의 문화전망대 <11> 지역을 살리는 청년의 ‘콘텐츠 AI 창업’ 새창

    생활인구 유치하는 ‘콘텐츠 투어리즘’지방소멸 위기가 심화하고 있다. 청년 인구는 수도권으로 몰리고, 지방은 일자리와 인프라 부족으로 활력을 잃어가고 있다. 하지만 이 흐름을 거스를 수 있는 가능성도 나타나고 있다. 그 중심에는 청년예술가·젊은 문화기획자·로컬 크리에이터 같은 젊은 세대가 있다. 예술가이자 기획자이며 크리에이터를 겸할 수도 있는 이들은 단순히 '귀촌'하거나 '창업'하는 데 그치지 않는다. 디지털 기술과 창의력, 문화적 감수성을 바탕으로 지역의 숨겨진 문화자원을 콘텐츠화하고, 이를 통해 지역에 새로운 문화경제 생태계를 …

    윤정국(yoonjeungkuk) 2025-03-12 17:10:00
  • 오태광의 바이오 산책 <96> 스마트폰에 의한 스트레스(Smartphone Stress) 새창

    스티브 잡스(Steven Paul Jobs)가 2007년 최초로 아이폰을 공개한 후, 스마트폰 사용은 급증하여 전 세계 사용자가 2011년 7.46억 명으로 시작하여, 2017년 44.28억 명, 2020년 58.08억 명(세계 이동통신사업자 협회(GSMA), 2022)이 스마트폰을 사용하여 현재는 세계인구의 약 67%가 스마트폰을 사용(스톡앱스(StockApps))하고 있다. 기존 태블릿이나 휴대용 PC를 사용하여 모바일 네트워크이나 인터넷으로 접속하는 비율이 3.8%인데 비해, 스마트폰 접속은 현재 79%를 차지하고 있다.엄청난…

    오태광(tae123) 2025-03-11 17:10:00
  • 김용호의 전통문화 반딧불이 <11> ‘문화한국 2035’ 국립예술기관 지역 분산배치 쟁점 새창

    문화체육관광부는 지난 6일 정부 서울청사에서 ‘문화한국 2035’ 정책을 발표하며 대한민국의 문화 발전을 위한 장기적 비전과 전략을 제시했다. 이 방안은 2035년까지 한국 문화를 세계로 확산시키고 국민에 대한 문화적 삶의 질을 향상하는 것이 주요 핵심인데 <지역 문화 균형 발전>, <저출생·고령화 등 사회 위기 문화적 대응>, <문화 분야 인공지능 대전환> 등 다양한 문화계층의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 이는 수년 전 발표했던 ‘문화비전 2030’이나 ‘제2차 문화진흥 기본계획(2023~2027)’과 …

    김용호(rladydgh) 2025-03-11 17:10:00
  • 생성형 AI, 따지거나 흠잡을 때가 아니라 행동할 시점이 분명하다 새창

    지난 달 11일에 <AI 특집>으로 '한국의 AI 경쟁력 어디까지 왔나?'를 본란에 게시하였다. 새로운 주제로 내용을 작성하려던차 재미있는 기사를 하나 발견했는데 딥시크가 등장한지 얼마되지도 않아 중국의 기업 ‘알리바바’가 AI 투자에 올인한다는 내용이었다.‘알리바바’의 AI 투자 올인​알리바바는 온라인상거래업체이다. 10년 전쯤 중국기업들이 다양한 제품을 만들어내면서 세계시장을 제패할 것이라는 수많은 책과 기사들이 넘쳐날 때, 자주 언급된 기업이다. 중국에서 상장하지 않고 미국에 상장했기에 글로벌화는 미리 점쳐둔 상황이…

    김아현(ahyunk) 2025-03-11 17:10:00
  • 국민연금 개혁과 복지 마피아 새창

    1997년 외환위기 직후 학계와 시민단체(대표적으로 경실련)는 정부회계에 발생주의를 도입할 것을 강력하게 요구하였다. 기존 정부회계는 현금주의였기에 현금지출입이 없으면 회계처리를 하지 않았다. 그러나 당장의 현금지출이 없더라도 지출의무가 발생했다면 반드시 이를 회계처리하여 장래의 지출에 대비해야 한다. 발생주의는 현금지출입이 아니라 경제적 가치의(또는 자산과 부채의) 변화를 기록하기 때문에 이러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다. 정부가 발생주의에 따라 지출의무에 상응하는 충당부채를 인식하지 않는다면, 언젠가 정부는 유동성 위기에 빠지고 정…

    옥동석(dong11) 2025-03-10 17:10:00
  • 이준호의 사이버보안 이야기 <32> 디지털로 가속화된 ESG 규제, 해커들의 새로운 전쟁터가 되다 새창

    ESG 규제, 디지털 전환(DX)을 만나다최 수년간 전 세계적으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규제가 가속화되고 있다. 기업들은 탄소중립 선언, 친환경 자원 활용, 인권·노동·공정거래 등 각종 지속가능성 의무를 충실히 이행해야만 글로벌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는다. 그런데 ESG를 이행하고 성과를 측정하고 보고하는 과정에서, 기업들은 더 빠르고 효율적인 방법을 찾고자 디지털 전환(DX) 기술을 적극 도입하기 시작했다.예컨대 ‘탄소배출량 추적’이나 ‘에너지 사용량 모니터링’과 같은 핵심 지표는 IoT 센서, 클라우드, 빅데이터 분석 기…

    이준호(brucelee) 2025-03-10 17:10:00
  • 가족회사 선관위, 또 다른 가족들 - 무소불위 선관위 카르텔과 헌재의 의도적 오판 새창

    민주주의의 꽃이 시들었다.대한민국은 자유민주주의 국가이다.자유민주주의의 핵심 제도 3가지를 꼽으라면, 법치주의, 삼권분립, 선거일 것이다.이 세 가지 제도의 핵심은 바로 “권력에 대한 견제”이다.법치주의는 권력자도 법 안에서 법률의 견제를 받으라는 것이고,삼권분립은 권력을 입법, 사법, 행정으로 나누어 각 권력 간에 서로 견제하라는 것이며,선거는 권력의 선임 권한을 국민에게 두어, 국민이 권력을 견제하게 하는 것이다.법치주의와 삼권분립은 권력 간의 견제인데 반하여, 선거는 국민이 직접 권력을 견제한다는 것에 큰 의미가 있다. 이 때…

    한경주(hkj) 2025-03-09 17:10:00
  • 자치통감이 보여 주는 지도자‧충신‧간신의 귀감들 <84> 좌습유 신체부의 정치난맥상 비판 상소 (AD708) 새창

    좌습유 경조사람 신체부가 상소하여 간하기를 그 대략이 左拾遗京兆辛替否上疏谏,略曰:“신이 듣기로 옛날에는 관원을 따로 준비할 필요가 없다고 합니다. 臣闻古之建官员不必备선비 행적은 완전하고 가정마다 염치와 절도가 있고 士有完行,家有廉节,조정은 재정이 충분하고 가정 또한 먹을 것이 풍족했습니다. 朝廷有馀俸,百姓有馀食。엎드려 생각하면 폐하는 백배로 상을 내리시고 伏惟陛下百倍行赏열 배로 관원을 증가하니 十倍增官금과 은으로 도장을 못 만들 정도이고 …

    신세돈(seshin) 2025-03-07 16:30:00
  • 美 · 우 정상회담 ‘파국’ 이후, 유럽은 ‘독자적 방위’로 가나? 새창

    트럼프 미 대통령과 젤렌스키(Volodimir Zelensky)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광물 협정 조인을 위해 백악관을 방문한 자리에서 격렬한 말싸움을 벌이는 희대의 장면을 연출한 뒤, 러-우 전쟁 종전 협상을 둘러싸고 서방 진영에 묘한 기류가 형성되고 있다. 지난 1월 20일 2기 정권 출범 후, 트럼프 대통령은 3년여를 끌어오는 러-우 전쟁을 조속히 종식시키기 위해 거세게 몰아가고 있다. 그러나, 對 러시아 협상 자세를 둘러싸고 미국과 우크라이나가 큰 입장차를 보여 오다, 그간 두 정상 간에 축적돼 온 감정이 폭발해서 이례적인…

    박상기(sangki) 2025-03-07 15:47:00
  • 북한군 포로 송환 문제 새창

    2024년 11월, 북한이 러시아에 군대를 파견하기 시작했다는 보도가 나왔는데, 그 규모가 최대 12,000명에 달할 것이라고 보고된 바 있다. 이미 북한은 로켓군과 연관된 것으로 보이는 고위급 군사 인력을 일부 파견했다는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 1)이후 2025년 1월, 러시아의 쿠르스크 지역에서 전투에 참여하던 북한군 병사들이 우크라이나군에 의해 포로로 붙잡혔다고 전해졌다. 우크라이나 당국은 이 포로들의 사진과 영상을 공개했으며, 이들은 한국 언론과의 인터뷰에서도 등장했다. 이 병사들은 북으로 송환되기보다 한국으로 가고 싶다는…

    유준구​ · 피터워드 *(sejongyungfocus) 2025-03-06 10:0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