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려있는 정책플랫폼 |
국가미래연구원은 폭 넓은 주제를 깊은 통찰력으로 다룹니다

※ 여기에 실린 글은 필자 개인의 의견이며 국가미래연구원(IFS)의 공식입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미국 노동시장 냉각 가능성 평가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24년05월19일 16시39분

작성자

  • 김현태
  •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메타정보

  • 1

본문

미국 경제는 5%를 초과하는 기준 금리에도 불구하고 강건한 모습을 유지 중임. 그러나 최근 미국의 실질이자율은 중립금리를 초과하는 긴축적 수준으로 추정되며, 일자리 창출 속도도 둔화되고 있음. 노동시장 냉각은 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관련 불확실성을 낮출 수 있을 것이나, 한편으로는 미국 실물경기가 예상보다 빠르게 둔화될 위험이 잠재함을 시사함

 

■ 미국 경제는 고금리 환경에도 견조한 성장세를 유지 중임.

 - IMF와 OECD는 2024년 미국의 경제 성장률을 각각 2.7%, 2.6%로 전망하여 종전 전망치 대비 각각 0.6%p, 0.5%p 상향 조정함.

 

■ 그러나, 미국의 중립금리 추정 결과를 보면 현재 미국의 실질 기준금리는 중립금리 수준을 초과하는 긴축적인 수준으로 과거 경기침체 직전 수준과 유사함.

 - 중립금리는 한 경제의 실제 GDP와 잠재 GDP를 일치시켜 인플레이션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단기 (실질)금리로, 실질 기준금리가 중립금리보다 높은 경우 긴축적 통화정책으로 해석됨.

 - 미국의 실질 이자율 갭(실질 기준금리 – 중립금리) 추이는 미국 통화정책이 2022년 1분기를 기점으로 매우 완화적인 기조에서 긴축적 기조로 급격히 전환되었음을 시사함.

   * Holston, Laubach, and Williams(2023)의 방법론에 따른 미국 중립금리를 기준으로 산출함.

318ad453760b816aed7719568bcc5383_1716104 

 

■ 긴축적 통화정책으로 2022년 7월 이후 장단기 금리 역전이 지속 중인데, 과거 사례를 보면 장단기 금리 역전은 시차를 두고 노동시장 침체로 이어진 바 있음.

 - 장단기 금리 역전은 대체로 중앙은행이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해 기준금리를 인상할 때 단기금리가 가파르게 상승하여 장기 금리를 초과하면서 발생함.

   * 예외적으로, 2019년 중 발생한 장단기 금리 차 역전의 경우 장기 금리의 하락에 기인함.

 - 장단기 금리 역전이 향후 경기침체에 선행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고하는 선행연구가 다수 존재함.1)

 - 1990년 이후 발생한 3건의 과거 경기침체 사례를 보면 미국 실업률은 장단기 금리 역전이 발생한 뒤 약 1년에서 1년 6개월 이후 본격적으로 상승하는 경향을 보임

318ad453760b816aed7719568bcc5383_1716104 

■ 미국 취업자 수 증가율은 여전히 양호한 수준이나 2022년 하반기 이후 점차 둔화되고 있으며, 팬데믹 이후 급등하였던 빈일자리율과 이직률도 하락 중임.

 - 4월 사업체 고용 조사(Current Employment Statistics, CES)에 나타난 비농업 총취업자수 증가율은 전년동기대비 1.8%로 아직 견조하나, 2011-2019년 평균(1.6%)에 점차 근접 중임.

 - 한편, 가계 고용 조사(Current Population Survey, CPS)의 취업자수 증가율은 4월 중 0.3%로 팬데믹 이전 평시 수준(2011-2019 평균 1.4%)을 하회하고 있음.

 - 일자리 증가 속도 둔화로 2022년 3월 7.4%로 정점을 기록한 빈일자리율이 금년 3월 5.1%로 하락하였으며, 구인 수요를 나타내는 (자발적)이직률도 금년 3월 2.1%로 2017~2018년 수준으로 회귀하였음.

318ad453760b816aed7719568bcc5383_1716104 

 

■ 고금리 환경 하에서 빈일자리율 하향세가 진행될 경우 실업률 상승이 본격화할 것으로 예상함.

 - 실업률과 빈일자리율(job opening rate)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베버리지 커브는 2010년대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됨.

 - 팬데믹 직후의 실업률 급등은 베버리지 커브의 이탈(shift out)을 초래하였으나 최근 실업률과 빈일자리율이 2010년대 유지되었던 베버리지 커브로 점차 복귀 중임.

 - 미국 경제는 2022~2023년 중 6~7% 대의 높은 빈일자리율에 힘입어 준 완전고용 상태를 지속하여 왔으나 긴축적 통화정책 지속으로 신규 일자리 창출이 둔화될 경우 본격적인 실업률 상승 구간으로 진입할 위험성이 존재함.

   * 2010년대의 사례를 참조할 때 빈일자리율이 3%대로 안정화될 경우 4~6% 내외의 실업률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됨.

318ad453760b816aed7719568bcc5383_1716104 

 

■ 노동시장 냉각은 연준의 기준금리 인하를 위한 여건을 제공할 것이나, 미국 실물경기가 예상보다 빠르게 둔화될 위험 또한 잠재함을 시사함.

 - CME Fedwatch에 따르면(5.10일 기준) 시장참가자들은 미 연준이 9월 중 기준금리 인하를 시작하여 연내 2차례 기준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전망 중임.

 - 그러나 2번 인하를 하더라도 5%의 기준금리는 여전히 높은 수준이며, 중동의 지정학적 위험 확대 등으로 공급측 인플레이션 압력이 증가할 경우에는 연준의 금리 인하 스케쥴이 더 지연되면서 견조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 미국 실물경기 회복 속도가 예상보다 둔화될 가능성이 존재함. <KIF>

----------------------------------------------------------------------------------------------------

1) Stock and Watson(1989), Bauer and Mertens (2018), Cooper, Fuhrer and Olivei(2020) 등​

<ifsPOST>

 ※이 글은 한국금융연구원(KIF)이 발간한 [금융브리프 특별호 33-10](2024.5.18.) ‘금융포커스’에 실린 것으로 연구원의 동의를 얻어 게재합니다. <편집자>​



1
  • 기사입력 2024년05월19일 16시39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