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려있는 정책플랫폼 |
국가미래연구원은 폭 넓은 주제를 깊은 통찰력으로 다룹니다

※ 여기에 실린 글은 필자 개인의 의견이며 국가미래연구원(IFS)의 공식입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자치통감이 보여 주는 지도자‧충신‧간신의 귀감들 <32> 유범의 탄핵 : 아들 이각을 잘못 가르친 권만기를 죽일 것인가?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24년03월01일 17시01분
  • 최종수정 2024년01월23일 10시52분

작성자

  • 신세돈
  • 숙명여자대학교 경제학부 명예교수

메타정보

  • 4

본문

안주(호북성 안륙)도독인 오왕 이각(태종의 3자)가 여러 차례 수렵을 나가면서 

                                                             安州都督吴王恪数出畋猎,

거주자들에게 심 피해를 입혔으므로                                 颇损居人;

시어사  유범이 오왕을 탄핵하는 상주문을 올렸다.                   侍御史柳范奏弹之。

이각은 정축일에 파면되고 식읍 삼백호가 깎였다.            丁丑,恪坐免官,削户三百。

태종이 말했다.                                                        上曰:

     “장사 권만기는 내 아들을 가르치면서                        长史权万纪事吾儿,

      똑바로 가르치지 못했으니 당연히 죽어야 다.              不能匡正,罪当死。”

유범이 말했다.                                                        柳范曰:

     “방현령이 폐하를 모시면서도                                   房玄龄事陛下,

      하물며 폐하의 사냥을 막지 못했는데                           犹不能止畋猎,

      어찌 권만기를 죄를 주시는 것입니까?                          岂得独罪万纪!”

 

태종이 대노하여 옷을 떨치며 내전으로 들어가 버렸다.              上大怒,拂衣而入。

참 지나 태종이 나와서 유범을 불러서 물었다.                   久之,独引范谓曰:

 

    “왜 내 면전에서 내 자존심을 꺾은 것이요?                       何面折我?”

 

유범이 말했다.                                                        对曰:

 

     “폐하께서는 인자하시고 또 밝으시니                             陛下仁明,

      신이 감히 우매 직언을 그칠 수 없는 까닭입니다.          臣不敢不尽愚直。” 

 

태종이 마음으로 기뻤다.                                               上悦。主   

 

<ifsPOST>

 

4
  • 기사입력 2024년03월01일 17시01분
  • 최종수정 2024년01월23일 10시52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