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려있는 정책플랫폼 |
국가미래연구원은 폭 넓은 주제를 깊은 통찰력으로 다룹니다

※ 여기에 실린 글은 필자 개인의 의견이며 국가미래연구원(IFS)의 공식입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News Insight 목록

전체 4 (1 페이지)
  • 만성부실기업의 영향과 대책

    • 이지언
    •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2024년 05월 25일
    <요약>▶ 2019~2023년 기업대출은 명목GDP보다 3배 이상 빠르게 증가하였고, 만성부실기업 (3년연속 이자보상비율<100%, 부채비율>200% )의…
  • 만성부실기업 증가가 투자 · 고용에 미치는 영향

    • 이지언
    •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2024년 04월 13일
    본고는 만성부실기업이 실물경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에 대해 분석한 학술논문을 소개하고자 함. 논문에서는 만성부실기업은 생산성이 낮은 가운데 업종 내 과잉투자를 유발해 정상기업의 투…
  • 이자보상비율 기준 부실기업 부채 증가에 따른 위험 분석

    • 이지언
    •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2024년 02월 18일
    기업부채가 경제성장 대비 과도하게 늘어나는 가운데 이자보상비율이 매우 낮은 부실기업의 부채가 총부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게 증가하고 있음. 업종별로 보면 부동산업, 건설업 부채의…
  • 기업부채 리스크와 여신 건전성 추정

    • 이지언
    •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2023년 09월 13일
    최근 기업부문의 부채 리스크(부도확률)를 측정한 결과 부실기업(부도확률 >10%) 부채가 매우 빠르게 증가하는 가운데 부동산업, 운수업, 건설업의 부실이 가장 큰 것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