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려있는 정책플랫폼 |
국가미래연구원은 폭 넓은 주제를 깊은 통찰력으로 다룹니다

※ 여기에 실린 글은 필자 개인의 의견이며 국가미래연구원(IFS)의 공식입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News Insight 목록

전체 7 (1 페이지)
  • 기업과 세상의 속도: 음악과 춤의 사이

    • 최성환
    • 고려대학교 경제학과 객원교수
    • 2022년 07월 25일
    세계가 4차산업혁명 기술 꽃피울 때 한국은 ‘땅파기’에 열중했다2000년대 중후반 글로벌 기술 기업들의 흐름을 되짚어 보자. 2005년 12월 동영상 공유사이트 유튜브가 공식 서비…
  • ‘한일관계 악화가 우리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과 전망’-GFIN 긴급좌담회 내용을 중심으로

    • 최성환
    • 고려대학교 경제학과 객원교수
    • 2019년 07월 22일
    GFIN(경제금융협력연구위원회)은 지난7월15일 ‘한일관계 악화가 우리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과 전망’을 주제로 긴급 좌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좌담회는 ▲김광두 국가미래연구원장…
  • 5저(低) 3고(高)시대와 음악과 춤 사이

    • 최성환
    • 고려대학교 경제학과 객원교수
    • 2018년 10월 30일
    국제통화기금(IMF)은 이달 초 내놓은 세계경제전망에서 우리 경제의 올해와 내년 성장률을 하향조정했다. 우리나라의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4월 전망치 3.0%에서 2.8…
  • 일본의 사례로 본 고령화와 세대 갈등

    • 최성환
    • 고려대학교 경제학과 객원교수
    • 2018년 05월 23일
    ‘노후난민, 하류노인, 노인파산’최근 일본에서 쏟아져 나오는 신조어(新造語)들이다. 이들 신조어의 공통점은 현역으로 소득을 얻고 있을 때는 그런대로 괜찮은 삶을 살다가 은퇴한 후 …
  • 고령화시대의 3가지 오해와 진실

    • 최성환
    • 고려대학교 경제학과 객원교수
    • 2017년 10월 17일
    ‘노후파산, 하류노인, 폭주노인, 졸혼(卒婚), 무연(無緣)사회, 고독사’고령화비율, 즉 총인구 중 65세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27%대로 세계에서 가장 고령화된 일본에서 쏟아져…
  • 행복한 은퇴와 5F

    • 최성환
    • 고려대학교 경제학과 객원교수
    • 2017년 03월 09일
    “제 은퇴 준비는 어떻게 하면 될까요?”은퇴연구소장이 된 이후 가장 많이 받는 질문이다. 이에 대한 필자의 대답은 언제나 “은퇴하지 마십시오”로 같다. 그러면 돌아오는 반응도 언제…
  • 지속가능한 한국 경제와 글로벌 대기업

    • 최성환
    • 고려대학교 경제학과 객원교수
    • 2016년 01월 14일
    국제통화기금(IMF)의 최근 전망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은 2017년 3만 달러를 넘는데 이어 2019년이면 G7국가인 이탈리아를 따라잡는다. 우리나라의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