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려있는 정책플랫폼 |
국가미래연구원은 폭 넓은 주제를 깊은 통찰력으로 다룹니다

※ 여기에 실린 글은 필자 개인의 의견이며 국가미래연구원(IFS)의 공식입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포스트 평창” 뭣이 중헌디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17년08월14일 20시15분

작성자

  • 김낙회
  • 서강대 초빙교수, 前제일기획 대표이사 사장

메타정보

  • 29

본문

 

평창 동계 올림픽이 6개월 앞으로 다가왔다. 6년전 남아공 더반에서 2018년 올림픽 개최지로 평창을 결정했을 때 온 국민이 한호하고 열광했던 그 열기는 간데없고 국민들의 관심은 냉냉 하기만 하다.

 

 지난달 문체부에서 실시한 여론조사에 의하면 평창 올림픽에 관심 있다고 응답한 것은 35%, 직접 관람하고 싶다는 응답율은 7.9% 라고 한다. 그토록 온 국민이 염원했던 평창 올림픽이 왜 이렇게 천덕꾸러기의 대상이 되었을까?

 

몇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무엇보다 스포츠와 올림픽 관련 행사에 최순실 게이트가 연루된 것이 가장 크게 작용 했을 것이다. 헌정 사상 유례없는 대통령의 탄핵 정국에 이어 마치 스포츠가 비리의 온상이 된 것 같은 여론의 따가운 시선에 평창 올림픽 열기가 식은 게 아닌가 생각된다. 아울려 올림픽 유치에 혁혁한 공을 세운 기업들은 물론 올림픽 후원 기업 들마저 지원 의욕을 상실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되어있다.

 

두 번째로는 인천 아시안 게임이나 영암 F1 등 대형 스포츠 이벤트의 실패사례로 겪은 학습효과 때문이기도 하다. 매번 대형 스포츠 이벤트를 유치할 때마다 외치던 천문학적 경제효과는 어디로 가고 그 후유증으로 몸살 앓고 있는 지방 자치 단체가 많은 것도 사실이기 때문이다.

 

스포츠 신뢰와 열정 회복이 급선무

월드컵, 올림픽,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를 세계 3대 스포츠라고 하는데 우리나라는 88년 서울 올림픽에 이어 동계 올림픽을 포함 그랜드 슬램을 달성한 세계 5번째 나라가 되었다. 이미 한국은 세계 속에서 스포츠 강국으로 알려져 있고 스포츠 리더국으로 인정 받고 있다.  그런데 어렵게 3수 끝에 유치한 평창 올림픽을 국내 여건이 안 좋다고 그르칠 수는 없는 노릇이고, 국가 이미지를 위해서도 어떻게든 평창 올림픽을 성공 시켜야만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정부와 강원도의 의지가 무엇보다 중요하고 체육 정책의 투명성과 구체적 비젼 제시가 전제되어야 한다. 또한 최순실 게이트와의 연관성을 빨리 끊고 악령에서 벗어나 본래의 스포츠 정신과 국민 단합의 계기로 활용하는 분위기 조성이 필요하다. 

 

올림픽은 탄핵 정국과 정치권의 소모전에 지쳐있는 국민들의 우울한 정서를 시원하게 날릴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 줄 것이다. 우리는 이미 2002년 월드컵 때 붉은 악마의 위력을 체험 했고 월드컵을 통해 ‘할 수 있다’는 자신감과 국민 통합의 계기를 실감한 바가 있다. 문재인 대통령도 대선 공약으로 성공적인 평창 올림픽을 지원하겠다는 것을 명문화 했고 첫 휴가지로 평창을 찾은 이유도 강력한 실천 의지를 표방한 것으로 이해 하고 있다. 3수를 하면서 전 세계에 도전과 끈기를 보여준 것이 평창 유치의 비결 이었듯이 멋지고 완벽하게 올림픽을 치루어 내는 저력을 보여주는 것 또한 대한 민국의 국가 이미지를 위해 필요하다.

 

500d47f6f591a60607ad418dfccb6e44_1502709
 

무엇을 남길 것인가

평창 성공을 위해 얼마 전 올림픽 시스템 전문가 샤플레와 서울대 임도빈 교수가 제안한 “평창 유산 관리 전담기구” 신설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올림픽 이후 지자체의 파산을 막고 장기적으로 올림픽 효과를 보기 위해서 올림픽 유산 활용방안부터 수립해야 한다는 것이다. 평창은 12개 경기 시설 중에 스피드 스케이팅, 하키센터, 알파인 스키장 등 3개 경기장은 아직도 활용방안이 없는 상태라고 한다. 실제로 1,260여억원이 들어간 강릉 스피드 스케이팅 경기 시설은 사후 활용방안이 없어 지역에서 냉동 물류창고로 사용하자는 제안을 받았다는 웃지 못할 씁쓸한 일도 있었다고 한다. 

 

벤쿠버의 스피드 스케이팅 경기시설은 리치먼드 오벌이 경기장 설계 단계부터 사후 활용방안을 마련했다. 빙상 트랙 철거 후 농구 배구코트와 체력단련 장을 갖춘 지역 종합 스포츠 센터로 수익을 내고 있다. 2016년 런던 올림픽 조직위는 올림픽 유산 관리조직을 운영하면서 1)영국의 스포츠 열정 회복 2)경제성장의 기회 마련 3) 사회 통합 및 공동체 참여 촉진 4) 런던 도시 재생 이라는 목표를 수립하고 사후 관리를 통해 효과를 극대화 했다고 한다

 

또한 지역 도시 재생 및 경제 활성화 방안의 수립이다. 이를 위해서는 1) 관광 인프라 확충을 위한 시책 지원, 2) 첨단 특화 산업 육성 3) 관광 홍보 프로그램 4) 지역 브랜드의 세계화 등을 준비해야 한다. 강원도내 수출 관광 사업체들을 연계하여 외국 바이어 초청 수출 상담, 카타로그 전시회, 관광 사업 홍보 등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액션플랜과 실천이 따라야 한다. 마침 차기 동계 올림픽 개최지가 북경이다. 북경 전지 훈련장으로서의 인프라와 서비스 시스템을 갖추고 이번 기회에 참가국들에게 강한 인상을 심어주는 것은 어떨까

 

마지막으로 국가 이미지를 개선하고 국가 브랜드를 업 시키는 계기로 활용되어야 한다. 국가 브랜드는 하루 아침에 이루어지지 않는다. 최근 들어 정부에서 국가 브랜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정부 차원에서 브랜드 관리를 시작한 것은 다행스런 일이다. 그러나 정권마다 홍보적 차원에서 이벤트 성으로 국가 브랜드를 다룬 감이 없지 않다. 이명박 정부에서 설치했다 없어진 “국가 브랜드 위원회” 가 그렇고 박근혜 정부 에서는”크리에이티브 코리아”라는 슬로건을 만들었다가 구설수에 오르다 흐지부지 된 것이 그 예다. 그러는 사이 한국 국가브랜드는 14년 세계 12위 에서 16년 19위로 추락 하고 있는 중이다.

 

 지금 세계는 우리를 어떻게 보고 있는가? 북한의 핵과 미사일 발사로 말미암아 일촉즉발의 안보 위기 상황으로 인식하고 불안한 시선을 주고 있다. 평창 올림픽은 안보불안, 정치 불안, 사회 불안, 경제 불안이 상존하는 한국의 국가 이미지를 개선하는 절호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 또한 스포츠와 5G등 가장 앞선 정보통신 기술을 접목시켜 평창 하면 다시 한 번  IT 강국이 떠오를 수 있도록 최첨단 기술 국가 이미지를 만들어야 하지 않을까

 

전세계가 참가하고 TV로 시청하는 지구촌 최고의 겨울 축제, 평창 올림픽. 국격을 세우고 세계 각국의 소비자들에게 국내 기업들의 해외 마케팅을 활용할 기회 이기도 하다.올림픽을 계기로 조성된 교통 관광 인프라를 최대한 살리고 지역 주민들의 성숙된 서비스 정신과 선진화된 의식으로 강원도의 미래 경제 활성화의 기틀이 될 수 있도록 포스트 평창의 효과 극대화를 위한 방안수립이 절대 필요하다. 경제, 외교 안보, 사회 문화 각 분야에서 성공적인 평창올림픽을 위해 머리를 맞대고 지혜를 모아야 할 때다. 시간이 별로 없다. “포스트 평창” 종합 대책을 위한 조직을 세팅하라. 그것도 반드시 정부 주도로.<ifs POST>

 

29
  • 기사입력 2017년08월14일 20시15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