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려있는 정책플랫폼 |
국가미래연구원은 폭 넓은 주제를 깊은 통찰력으로 다룹니다

※ 여기에 실린 글은 필자 개인의 의견이며 국가미래연구원(IFS)의 공식입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미·일·중·한, ‘경제노믹스’ 비교 분석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20년10월19일 17시10분

작성자

메타정보

  • 5

본문

세계 주요국들은 대통령 름을 딴 ‘노믹스’ 경제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대통령 름 앞에 노믹스를 붙인 것은 1980년대 감세정책을 통해 미국의 경제체질을 혁신적으로 바꾼 로널드 레인건 대통령의 경제정책을 ‘레거노믹스 (Reaganomics)’로 부르면서 비롯됐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트럼프노믹스(Trumpnomics)’는 ‘미국 우선주의’를 최우선으로 하고 있다. 성장률을 끌어올려 보다 많은 미국인에게 좋은 일자리를 만들어 주는 것 ‘트럼프 노믹스’다. 를 달성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공정한 무역을 통해 미국의 무역적자를 해소하고 제조업 일자리 창출에 중점을 둔다는 것다.

 

하지만 미국의 제조업은 지난 수십 년 동안 경쟁력을 잃었다. 1970년 42,400개 공장의 제조업 일자리 비중 26%에서 현재 8.5%로 내려갔다. 또한 지난해 비지니스 생산성은 1.9% 증가했지만 제조 생산성은 0.1%만 증가했을 뿐다. 제조업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중 역시 11.5%에 불과하다. 강력한 생산성 성장 없 제조업은 전 세계적으로 경쟁력 떨어지기 때문에 GDP보다 느리게 성장하게 된다.  

 

근본적인 원인은 첫째, 산업정책의 문제다. 경쟁력 있는 R&D 세금 인센티브, 교육 및 훈련 정책, 인프라 지원, 과학 및 기술 정책을 포함하여 제조 및 혁신을 촉진하기 위한 최상의 산업 정책을 마련하지 못했다. 둘째, 외국 국가들 무역 산업을 유치하고 성장시키기 위해 더 치열하며 불공정하게 경쟁하고 있다는 것을 간과하고 있었다. 가장 중요한 경쟁자는 중국으로 ‘중국제조2025’앞세워 첨단기술 산업을 선점하려고 막대한 투자를 하고 있다. 셋째, 서비스 일자리가 차지하는 비중은 80%지만 에 대한 대책 부족하다. 제조업 축소로 일자리를 사라지는 것 아니라 신산업과 IT 기술의 출현으로 일자리가 옮겨가고 있는 점을 간과하고 있다. 넷째, 상반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법인세와 소비세 감면을 통해 소비와 투자를 늘리는 방향으로 정책을 펴고 있다. 소비가 늘면 저축은 감소한다. 따라서 무역적자 축소와 세금 감면은 어울리지 않는 정책다. 마지막으로 투자 활성화로 생산성 늘면 해외 투자가 미국으로 몰린다. 그러면 달러 가치가 오르고 대미 수출 증가해 무역적자 폭은 커지게 된다. 무엇보다 트럼프가 주장하는 미국 우선주의는 자유무역을 옹호하는 전통 공화당의 경제 정책기조와는 확연히 다르다는 것다. 

 

결과적으로 ‘트럼프노믹스’는 서로 양립할 수 없는 경제 논리를 함께 담고 있다. 3대 핵심인 무역적자 축소와 세금감면, 투자 활성화는 동시에 실현하기 어려운 트릴레마(Trilemma)다. 11월 대선에서 트럼프 재선 여부에 ‘트럼프노믹스’ 성공 여부가 달려 있다.

스가베(스가+아베) 정권 출범했다. 스가 총리는 취임 전후로 ‘아베노믹스(Abenomics)’ 계승을 천명했다. ‘아베노믹스’는 잃어버린 20년으로 침체에 빠진 경제를 살리겠다는 아베 전 총리의 승부수다. 확장적 통화정책과 적극적 재정운용, 구조개혁의 세 가지 화살로 상징된다. 

 

1985년 플라자 합의 후 심화된 엔고 상황을 통화 공급을 통해 엔저로 유도했다. 8년간 달러대비 엔화 가치가 약 22% 절하됐다. 수출 증가돼 기업은 수익성 대폭 개선됐다. 친(親)기업 정책으로 기업 투자에 나서며 고용시장 회복돼 대졸자 취업률 100%를 기록했다. 

하지만 재정 상황은 악화됐다. 경제를 살리기 위한 재정확대 정책으로 국가 채무 비율은 급증했다. 재정 포퓰리즘(Populism)으로 국가 채무비율 10년 전에 비해 두 배 상승한 225.3%다. 자 지출을 제외한 기초재정수지도 만성 적자 상태다. 

 

‘아베노믹스’는 절반의 성공었다. 경제 성장은 회복되었고 디플레션으로부터 탈출했다. 여성 중심으로 일자리가 크게 늘어 고용률 8년 전보다 4.1% 증가한 60,6%로 높아졌다. 재정적자를 크게 신경 쓰지 않고 정부 주도로 재정을 분배하는 정책을 마다하지 않은 결과다.

 

‘스가노믹스(Suganomics)’는 어떨까. 아베 없는 친 아베 내각에서 ‘스가노믹스’는 어떻게 전개될까. 아베 신조 전 총리는 좌파적 정책을 마다하지 않았지만 스가 요시히데 총리는 신자유주의 경제를 강조하고 있다. 아베는 안보 중시파지만 스가 총리는 경제 중시파다. ‘스가노믹스’의 경제 성장 전략은 경쟁과 규제개혁 두 개의 핵심 축으로 경제성장을 추구한다. 경제와 산업구조, 인구 변화가 비슷한 일본의 경제정책을 주시해야 한다.

 

시진핑(習近平)의 ‘시코노믹스(Xiconomics)’는 성장 담론으로 ‘신창타(新常態)’ 론에 바탕을 둔다. ‘신칭타’의 특징은 산업구조 전환다. 첫째, 성장 속도 변화다. 고속성장에서 7-8%대 중·고속성장으로 전환다. 둘째, 성장 방식 변화다. 규모와 속도를 중시하는 것에서 품질과 효율을 중시하는 것으로 바꾼다는 것다. 셋째, 경제구조 조정 방식의 변화다. 생산량과 생산 능력을 확대하는 걸 위주로 하지 않고, 재고를 조정하는 동시에 우수한 생산을 늘리자는 것다. 넷째, 성장 동력의 변화다. 자원과 저비용 노동력 등 생산요소 의존 아니라 기술혁신으로 성장하는 것다. 마지막으로 에너지를 토대로 신 산업선점다. 결과적으로 성장의 속도는 늦추되 성장의 질과 지속 가능성에 중점을 두겠다는 새로운 포석 ‘신창타(New Normal)’다.

 

‘시코노믹스’는 공급 측 개혁, 국유기업 개혁, 금융리스크 방지, 부동산 시장 안정, 일대일로 (一帶一路) 등 핵심 정책을 대대적으로 추진한다. IMF는 중국은 신종 코로나 바러스 감염증 (코로나19) 충격 속에서도 중국 올해 4%대 경제 성장률을 달성할 것으로 내다봤다. 하지만 세계 경제 성장률은 –4.9%로 예상했다,

 

문재인 대통령의 ‘J노믹스(Jnomics)’는 재정확대 정책을 기반으로 하면서 소득주도 성장, 혁신 성장, 공정 경제로 압축 된다. 를 ‘J 노믹스’로 통칭한다. 문정부는 일자리 정부를 표방했다. J가 문재인 대통령의 름의 니셜 아니라 일자리(Job) 약자길 바란다. 

 

‘J노믹스’의 핵심은 사람 중심 경영다. ‘J노믹스’ 집권 1년 차인 2017년에는 3.2% 경제 성장률을 기록하고 국민소득 3만 달러를 돌파하면서 성공적으로 출발하는 듯했다. 하지만 후 대외 경제 여건 악화와 반(反)기업·친노조 정책, 최저임금의 급격한 인상, 주 52시간 시간제를 무리하게 추진해 소득주도 성장의 성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정부는 산업, 노동시장, 공공부문, 인구구조 및 기술변화, 규제혁신과 사회적 자본 축적 등 5대 혁신과제를 중심으로 구체적 실천 과제를 만들어 성장률을 높겠다고 선언했다. 하지만 국민 체감할 수 있는 성과는 아직 나타나고 있지 않고 있다. 주어진 시간은 그리 많지 않다. 

 

그렇다면 주요국의 ‘경제노믹스’가 주는 교훈은 무엇일까. 첫째, 정부는 재정 여건을 고려해 효율적으로 예산을 집행해야 한다. 국가 채무가 지난 3년간 104.6조원 올해는 111조원나 증가할 전망다. 문제는 재정지출증가율과 경제성장률 비슷한 수준을 보다가 2017년 후부터 눈에 띄게 재정 건전성 무너지고 있다는 것다. 재정지출 증가율은 경제성장률 보다 빠르게 증가하여 그 격차가 작년에 10.6배로 확대되었다. 올해는 4차 추경 편성으로 전년대비 15.1% 상 증가하는데 반해 경제성장률은 마너스다. 정부 부채 GDP 비율 올해 8% 올라 50%에 른다. 문제는 중장기적 재정 건전성다. 정부가 재정지출을 늘리더라도 생산적인 지출로 민간 경쟁에 활력을 되살려야 경제성장 가능하다. 

 

둘째, 글로벌 가치사슬(GVC : Global Value Chain) 약화에 따른 부정적 영향을 극복해야 한다. 주요국 중 GVC가 높은 한국은 위험요인을 최소화하고 기회요인을 극대화해야 한다.

미·중 기술패권 다툼 격화로 GVC 악화가 가속화 된다. 한국도 향후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지역 블록화 방식으로 GVC가 재구조화 되는데 대비해야 한다.

 

셋째, 포스트 코로나 후 글로벌 산업지형 재편에 대비해야 한다. 고부가가치 산업의 핵심 공정 R&D에 집중 투자해야 한다. 여기에 더해 FTA(자유무역협정) 교역규모를 늘려야 한다. 현재 협상을 진행 중인 국가만 59개국다. 세계 주요국은 한국 경제 영토에 포함되어 있다. 들만 합쳐도 전 세계 GDP의 77%가 넘는 규모다. 경제 영토를 넓혀 나가야 한다.  

 

넷째, 한국 팬데믹 후의 글로벌 경제 환경에서 우위를 선점해야 한다. 글로벌 기업은 번에 중국에 대한 신뢰가 많 떨어졌다. 우리는 코로나19 대응과정에서 매우 신뢰할 수 있는 국가로 여겨지고 있기 때문에 많은 글로벌 소비자와 기업가들 한국을 인정하고 있다. 향후 국내에서 세재혜택과 기업하기 좋은 노동환경 조성된다면 글로벌 기업들을 유치할 수 있다. 코로나19 사태 극복과정에서 증명된 ‘K-방역’ 우수한 시스템을 세계시장 도약의 발판으로 삼아 진출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기업의 투자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한국의 경제 성장 구조는 투자주도 체재의 성격 강하다. 대기업, 중소기업, 자영업 간 삼중 구조로 얽혀있다. 현재의 어려운 한국 경제를 타파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민간의 역할을 구분해야 한다. 기업은 노조와 규제에 막혀있다. 정부가 규제를 풀어 기업의 기(氣)를 살려줘야 한다. 성과로 ‘J노믹스’ 의 정당성을 입증해야 한다. 코로나 경제시대 ‘코로노믹스(Coronomics)’에 대응해야하는 절박한 시기다.

<ifsPOST>​ ​ 

5
  • 기사입력 2020년10월19일 17시10분

댓글목록

토토사이트님의 댓글

토토사이트

The content is so positive, I feel that my heart is warming every moment I read it. Even if you read the article about totosite twice or three times, it's not a waste of time at all.
https://blogfreely.net/poiupoiu4/meijeototosaiteuwa-meogtwigeomjeungsaiteu-bigyo-haeboj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