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려있는 정책플랫폼 |
국가미래연구원은 폭 넓은 주제를 깊은 통찰력으로 다룹니다

※ 여기에 실린 글은 필자 개인의 의견이며 국가미래연구원(IFS)의 공식입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强달러 지속, 그 원인과 전망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24년04월14일 17시10분
  • 최종수정 2024년04월14일 15시16분

작성자

  • 강태수
  • 카이스트 금융전문대학원 초빙교수, 전 한국은행 부총재보

메타정보

  • 5

본문

달러화가 강세를 어가고 있다. 4월 13일 원·달러 환율 1,375원을 돌파했다. 17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다. 4월 12일 현재 달러 인덱스 지수(DXY)도 106.01다. 지난해 12월 27일 100.99로 바닥을 친 후 상승세를 지속 중다. DXY는 주요 6개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낸다. 

3acfeccab8829d960a9176fd25e72513_17130704월 13일 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환율 우리나라만 절하되는 것 아니다." 또한 "과거와 달리 국민연금과 서학개미도 많고, 우리나라의 해외자산도 늘면서 환율 변화에 따라서 경제위기가 오거나 그런 상황 아니다"며 시장을 달래고 있다. 하지만 외환시장에서는 원/달러 환율 1,400원 돌파 가능성도 나오고 있다.

 

달러화 강세를 뒷받침하는 요소는 대략 다음의 다섯가지다.

 

①우선 미국 실질금리가 상승다. <아래 그림>에서 보듯 최근 10년물 미국 물가연동국채(TIPS: Treasury Inflation Protection Securities) 금리가 2009년 3월 후 최고 수준다. TIPS는 명목 국채금리에서 기대인플레션을 뺀 값다. 실질금리 대표 지수로 TIPS 가 활용되는 유다.

 

3acfeccab8829d960a9176fd25e72513_1713070 미국 실질금리가 상승하면 투자자 입장에서는 미국 자산 보유 유인 커진다. 또한 실질금리가 높다는 것은 경제활력도가 양호함을 시사한다. 미 달러화 자산에 대한 투자매력 증가한다는 의미다. 당연히 달러화 값 오르게 된다.   

  ​

②다음으로 중동지역 지정학적 불확실성 원인으로 지목된다. 서방 연합군과 예멘 후티 반군 간 홍해지역 무력 충돌로 중동에서 확전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에 따라 안전자산의 대표 격인 미 달러화에 대한 수요가 크게 늘고 있다. 

 

③미 연준의 금리인하 결정(pivot) 지체되는 것도 주요 유다. “경제가 강한 성장세를 보임에 따라 금리인하를 서두를 유가 없다. 인플레 2% 수준으로 하락할 것라는 확신을 가질 때까지 기다릴 수 있다”는 지난 3월 파월 미 연준의장 발언 결정적 계기다. 

 

  발언 후 시장 예상하던 ‘6월 금리인하 개시’ 가능성 늦춰지고 있다. 미 연준 기준금리가 2024년 말에는 4%까지 떨어진다는 것 3개월 전 시장전문가들의 예상다. 하지만 4월 들어선 2024년 말에는 4%까지 떨어진다는 것 3개월 전 시장전문가들의 예상었다. 하지만 4월 들어선 2024년말 4.75%를 기대하고 있다.(아래 그림 참조)

3acfeccab8829d960a9176fd25e72513_1713070
④글로벌 초과 유동성 감소도 달러화 강세 원인으로 꼽힌다. 코로나19 기간 중 대규모 달러화 유동성 전 세계에 공급됐다. 국제 금융시장에서 미 달러화의 지배적 지위가 대폭 강화됐다. 그러다가 2022년 3월부터 주요 선진국 중앙은행은 큰 폭의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했다. 

 

  에 더해 양적긴축(QT: quantitative tightening)을 병행했다. 미 연준 자산은 2022년 4월 8.97조 달러에서 2024년 3월 7.5조 달러로 줄었다. 유럽중앙은행(ECB)도 같은 기간 8.7조 유로에서 6.7조 유로로 축소됐다. 글로벌 유동성 감소로 금융 여건 긴축되자 위험회피 현상 확산됐다. 안전자산인 달러화에 대한 글로벌 수요가 증가한 것다.

 

⑤미국 경제의 높은 성장세도 강(强)달러화 지속의 원동력다. 낙관적 소비자 분위기, 제조업에 대한 미 정부 보조금, 노동시장 호조 등 지속되고 있다. 특히 기준금리 인상으로 인플레션은 진정세를 보임에도 노동시장 실업률 높지 않은 특 현상(immaculate disinflation) 주목받고 있다. 처럼 고금리 여건 속에서도 미국 경기가 강한 성장세를 유지하는 유로 미국 중립금리(r*) 상승 지적된다. 미 연준은 ‘기준금리(r)의 중립금리(r*) 상회’ 여부(r-r*>0 또는 r-r*<0)가 통화정책 스탠스 판단기준임을 강조한 바 있다. 기준금리(현재 5.5%)가 그대로인 상태에서 2.5%대로 추정되는 중립금리(r*)가 오르면 금융긴축의 정도가 완화됨을 의미한다.

 

시사점과 전망

 

안정세를 유지하던 인플레 최근 다시 반등하는 조짐다. 스라엘-하마스간 전쟁에 따른 유가 인상 압력, 미 볼티모어 교량붕괴에 따른 공급망 훼손 등 글로벌 인플레션을 올리고 있다. 금세라도 내릴 것 같던 인플레 끈덕지게 어지는 것다(sticky inflation). 

 

에 따라 높은 금리가 상당 기간 계속될 거라는 주장 나온다(‘higher for longer’). 기준금리를 내리기는커녕 더 올려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윌리암 더들리(William Dudley) 전 뉴욕연준 총재도 그중 하나다. 제미 다먼(Jamie Dimon) JPMorgan Chase회장은 끈적한 인플레션과 고금리가 길게 지속된다고 본다. 그는 “8% 상의 금리 상황도 감안해야 한다”는 입장다. 모두 달러화 강세 지속을 시사하는 주장들다.

 

달러화 강세는 각국 중앙은행, 정부에 두통거리다. 외채부담 큰 나라들 위험에 처할 우려가 크다. 더욱 달러 강세의 근저에 ‘실질금리 상승’ 있다는 점은 각국 정부의 재정정책 운용을 크게 제약할 것으로 보인다. 과거 초저금리 시절에는 경제성장률(g) 금리(r)를 크게 웃돌았다( r < g ). 정부지출 늘어 재정 적자라도 GDP 대비 국가부채 비율은 오히려 떨어지던 때다.  

 

 (국가부채 방정식)

Dt / Yt (국가부채 비율) = [Dt-1/Yt-1 × (1+r) / (1+g)] + Bt/Yt

B: 재정 적자, r: 실질금리, g: 실질 GDP​

 

실질금리가 오르면 상황은 과거와 정반대로 돌아간다. 국가부채 폭증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영국 파낸셜타임즈는 GDP 대비 미 국가부채를 그대로 두면 2060년까지 폭증한다고 추정한다. 장기적으로 달러화 강세가 지속되기 어려워 보유다.

 

3acfeccab8829d960a9176fd25e72513_1713071
글로벌 강(强)달러는 우리나라에도 큰 도전다. 원·달러 환율 상승 압력 상당 기간 지속될 것 우려된다. 는 수입 물가 상승과 달러화 표시 부채에 대한 상환 부담 증가 등을 초래한다. 물가 목표 2% 달성을 코앞에 두고 복병 나타난 것다. 당국 위기관리 능력을 보여줄 때다.

<ifsPOST>   ​

5
  • 기사입력 2024년04월14일 17시10분
  • 최종수정 2024년04월14일 15시16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