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려있는 정책플랫폼 |
국가미래연구원은 폭 넓은 주제를 깊은 통찰력으로 다룹니다

※ 여기에 실린 글은 필자 개인의 의견이며 국가미래연구원(IFS)의 공식입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월街 Watch] “소프트 랜딩은 결코 필연이 아니다”(Soft Landing Is ‘in No Way Inevitable’ ) - Tom Barkin (리치몬드 연은 총재)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24년01월14일 16시27분
  • 최종수정 2024년03월15일 10시23분

작성자

  • 신세돈
  • 숙명여자대학교 경제학부 명예교수

메타정보

  • 2

본문

5f0266f1aae34a2d18d35e5b679ea030_1705205
5f0266f1aae34a2d18d35e5b679ea030_1705205
5f0266f1aae34a2d18d35e5b679ea030_1705205
[4] 이 주의 WS 초점 :  톰 바킨(리치모든 연방은행 총재)이 말하기를 

                       “소프트 랜딩은 결코 필연이 아니다”

               Fed’s Tom Barkin Says Soft Landing Is ‘in No Way Inevitable’

  

■ 금리 인상의 숨은 (경기침체) 효과와 가격선도 기업들의 (과도한) 가격인상은

  인플레가 가라앉으면서 2024년 경기를 연착륙 기대를 위협하고 있다고 연준관리가 지적함.

 

  - 톰 바킨(리치몬드 연방은행 총재) : 

                              “ 수 십 년 간 가격결정력이 없었던 기업으로써는 

                                고객이나 경쟁자가 그들의 손을 꺾기 까지는 

                                가격인상을 마다하지 않을 것”  

    “After decades without pricing power, businesses won’t want to back down from 

     raising prices until their customers or competitors force their hands,” 

 

                               “연착륙 가능성이 더 높아졌다고 볼 수도 있지만

                                그러나 결코 필연적이라고 볼 수는 없다”   

 

                   “a soft landing is increasingly conceivable but in no way inevitable.”

 

■ 2024년 교체되어 FOMC에 새로 의결권 위원으로 들어오는 4인은 :

 

      ◼ 라파엘 보스틱 아틀란타 연방은행 총재 

      ◼ 로레타 메스터 클리블랜드 연방은행 총재

      ◼ 메리 달리 센프란시스코 연방은행 총재

      ◼ 톰 바킨 리치몬드 연방은행 총재

       

■ 대다수 경제학자들은 실업과 심리 위축을 유발하는 경기침체 없이 

   경기는 저하되면서 물가 목표 2%를 달성하고 있는 것으로 믿음.

 

    - 그러나 그동안의 (여러 번의) 금리인상에 따른 기업과 소비자의 시차효과 때문에

     2024년 실업율이 높아지면서 경제는 위축될 것으로 믿고 있음.

     

   -  톰 바킨 : 그동안의 통화긴축의 효과는 결국에는 경제에 영향을 지금보다는 더 심하게 미치게 될 것“  

       “the net impact of all this tightening will eventually hit the economy harder than it has to date. ”

 

■ 목표 인플레를 3%로 변경하는 것에 대해서 바킨 총재는 단호히 반대했음.

   

   - 톰 바킨 : “ 답은 아니다다.  연준 최고 자산은 신뢰다.    

                 목표를 달성하기도 에 변경하는 것은 신뢰를 무너뜨리는 일이다. 

 

                  “The answer is no. Credibility is the Fed’s key asset. 

                   Changing the target before reaching it risks that credibility.” 

 

5f0266f1aae34a2d18d35e5b679ea030_1705206
5f0266f1aae34a2d18d35e5b679ea030_1705206
5f0266f1aae34a2d18d35e5b679ea030_1705206
<ifsPOST>

 

 

2
  • 기사입력 2024년01월14일 16시27분
  • 최종수정 2024년03월15일 10시23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