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계산에서 바라본 세계

국가의 미래를 향한 첫 걸음

※ 여기에 실린 글은 필자 개인의 의견이며 국가미래연구원(IFS)의 공식입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상대평가를 멈춰라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16년12월16일 19시09분

작성자

메타정보

  • 36

본문

 길었던 대학생들의 학기가 끝나가며 기말고사 및 종강의 시간이 다가왔다. 시험기간에는 평소에 관심 없던 것들이 갑자기 신기해지는 등, 많은 심리적 압박을 견뎌내기 위 저마다의 생각들이 있었을 것이다. 오죽했으면 ‘공부 빼고 다 재밌는’ 기간이라고 불리겠는가.

 

 시험 직전의 절박 상황이 다가올 때, 종종 학생들이 모인 장소에서는 이러 얘기를 어렵지 않게 들을 수 있다. “내일 보는 과목 절평이라 괜찮아.”라던가, “21명이라 상평이야. 절평이었으면 좋겠다.”같은 대화로 역시나 공부를 피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상평, 절평’이란 상대평가와 절대평가를 줄여서 이야기하는 것으로 요즘 학생들의 줄임말 사용의 예다.

 

상대평가 제도

 

 90년대 후반에 등장하기 시작하여 2010년 이후로는 대부분의 대학에서 상대평가 제도를 채택하고 있다. 이른바, ‘학점 부풀리기’로 대학들에서 성적을 너무 잘 주는 바람에 능력 있는 학생들 뽑고 싶어 하던 취업시장에서의 경쟁력이 모호해진 것이다. 그래서 상대평가를 통해 경쟁심을 고취시키고 각자 공부를 더 열심히 하도록 조치 것이 도입이 된 이유라고들 다.

 

 절대평가로 시행되던 시기에는 절반이상이 A학점을 받는 등의 학점 인플레이션이 심했다. 강의를 이끄는 교수 입장에서는 학점을 잘 주지 않을 경우, 신청하는 학생들이 줄고 결국 폐강에 이르게 되는 사태를 막기 위해 학점을 잘 주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A대학의 경우에는 하위 5%에게 무조건 D를 부여하는 방식을 쓴다. B대학은 A학점과 B학점을 합쳐서 70%를 유지하는 상대평가제다. 각 대학마다 ‘상대평가’라는 이름으로 시행되고는 있지만 방식은 천차만별이다. 부분적으로 소규모 강의인 경우에는 절대평가를 도입하고 있는 대학도 있다.

 

진정 상대평가제인가

 

 선의의 경쟁을 강화시켜 공부의지를 높일 것만 같은 상대평가 제도는 본래의 취지를 잃어버린 것 같다. 상대평가를 도입했더라도 그 부여하는 폭이 상위 70%까지 B학점 이상을 부여하는 등 여전히 학점 인플레이션에 대 이야기는 끊이지 않는다. 2012년 교육과학기술부와 국대학교육협의회의 4년제 일반대학 182개교의 2011년 학점분포 현황을 보면 이를 확실히 알 수 있다. 

 

 82개교 졸업생의 졸업평점 평균 분포는 A학점 34.2%, B학점 55.2%이다. 즉, 89.4%가 B학점 이상이다. 2010학년도 B학점 이상 비율 90.9%과 엇비슷 수준이다. 반면 C학점은 10.0%, D학점은 0.6%에 불과했다. 그 결과, 본인이 정 학과의 학습 커리큘럼 내에서 배우고 싶은 강의를 선택해서 듣고자 하는 학생들보다는, 학점을 잘 주는 강의를 듣게 된다.

 

fa0ec4fc4fb749ec12e18d22591da9ba_1481882
 

대학의 본질을 파악하라

 

 대학에서 학생들의 학업에 대 성취도는 강의를 담당 교수가 판별다. 그러나 상대평가제는 담당교수의 평가 방식이 대학에서의 기준에 의해 다소 무시될 수 있는 상황이 주어질 수 있다. 또, 인원수에 관계없이 모두가 일정 이상의 수준을 달성했음에도 불구하고, 기대 이하의 성적을 받게 되는 경우도 존재다.

 

 대학은 앞으로의 사회구성원이 되기 위 인재양성의 장이다. ‘경쟁’이라는 단어가 과연 대학생활에서 필요가. 본질적으로 우리나라의 침체된 경제상황과 취업에 대 불안함이 개선되어야 하겠지만, 그 전에 대학의 본질에 대해 다시 번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2015년 2학기부터 고려대학교는 일부 교양과목을 제외 과목에서 원칙적으로 상대평가를 없앴다. 학업에 충실하고도 낮은 점수를 받을 수밖에 없었던 학생들의 입장과 학점 비율의 제 때문에 동점을 받은 우수 학생들에게도 불리 평점을 줘야했던 교수들의 입장이 반영된 것이다. 

 

 2014년에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은 Pass와 Non-Pass만 나누는 체제로 바꾸었다. 그 결과,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는 크게 늘어나게 됐다. 또 전통적으로 의대생들에게 부족 요소로 꼽혔던 협동심과 학습동기까지 상승했다. 다수를 실패자로 만들어야 했던 상대평가제의 가장 큰 요인은 다시 언급하지만 ‘학습의욕 고취’에 있다. 그러나 연세대의 의대사례를 통해 지켜보면 그것이 기우일 수 있다는 생각이 든다.

 

 물론 절대평가가 항상 좋은 것이라 말할 수 없다. 하지만 대학에서의 교육은 사회에서의 어떤 지정된 위치로 보내기 위함이 아니라, 고등 교육을 받아 해당 분야에서의 전문성을 올리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선발’을 위 시험이라면 상대평가제가 사용되어도 좋지만 성취도의 ‘확인’을 위 부분에서도 필요가?

 

 무경쟁체제에서 각박해져가는 현대 우리의 삶에서, 우수 자와 우수하지 못 자를 가르는 것이 대학에서의 본질인가. 현재 학습의욕이 상대평가제를 통하여 고취되고 있는지 확인을 해볼 필요가 있다. 어느 대학에서의 교수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학생들의 학습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가장 적절 평가방법은 절대평가다. 상대평가로 인해 학업에 충실하고도 낮은 점수를 받을 수 있다는 주장에 동의다. A, B 비율로 불편을 겪을 때도 있다. 하지만 본교의 상대평가 위주의 평가 방식은 ‘어쩔 수 없는 선택’이다.” 사회로 나아갈 대학생들의 동료애 등의 따뜻 정서가 평가를 통 경쟁에 휩쓸려 난도질당하는 일이 없도록, 지금 시행되고 있는 상대평가제는 적절 보완이 필요하다.​ 

36
  • 기사입력 2016년12월16일 19시09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