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계산에서 바라본 세계

국가의 미래를 향한 첫 걸음

※ 여기에 실린 글은 필자 개인의 의견이며 국가미래연구원(IFS)의 공식입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우울증 권하는 사회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19년11월22일 17시00분

작성자

메타정보

  • 7

본문

한국사회의 고질병, 우울증


우울증을 키워드로 하는 사회적 이슈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한국사회의 이면에 우울증이 상당 부분 자리 잡고 있는 것 같다는 느낌을 받는다. 「오늘은 내 마음이 먼저입니다」, 「죽고 싶지만 떡볶이는 먹고 싶어」와 같은 책들이 최근 서점가에서 꾸준히 베스트셀러에 올랐다. 두 책 모두 우울증이나 불안증세를 내용으로 다루고 있다. 방송에서 우울증 경험을 털어놓는 연예인도 증가하고 있다. 우울증세로 병원을 찾는 사람들도 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우울증으로 병원을 찾는 환자 수는 2012년 591,276명에서 2016년 한 해 643,102명으로 4년 사이에 약 5만 명 이상이 증가했다. 약 3년이 지난 올해에는 그 수가 더욱 증가했을 것으로 보인다. 보건복지부가 2015년에 발표한 ‘국가정신건강현황보고서’에 따르면 성인 100명 중 5명은 살면서 한 번이라도 주요 우울장애를 겪는다.

 

우울증은 성격이나 기분이 아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우울증’이라는 표현을 쓰지만, ‘우울장애’라는 표현이 정식 명칭에 가깝다. 일반적으로 2주 이상 거의 매일, 하루 중 대부분의 시간을 우울해하고 의욕이 없으면 우울장애로 진단한다. 보통 우울증에 걸린 사람들이 하루 종일 펑펑 울거나 격정적으로 슬픔을 표현할 것이라 오해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우울증의 가장 큰 특징은 공허함, 무기력함, 의욕상실이라고 할 수 있다. 사람들은 우울증이 그 사람의 성격적인 특성이나 기분을 드러내는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우울증은 만성적인 성격이 아니다. 우울증을 앓고 있는 환자의 경우, 몇 개월간 우울했다가 다시 증세가 완화되고 그 이후 우울증이 재발하는 상황을 자주 겪는다. 증세의 호전과 악화가 반복된다는 점에서 우울증은 성격이나 기분장애가 아니라 질병이라 할 수 있다. 

 

한국형 우울증으로 곪아가는 사람들


한 사람이 느끼는 우울증세는 그 사람의 만성적 성격이 아니라, 호전 가능성이 있는 질병의 증상이라는 점에서 우울증의 관리와 치료 방식이 굉장히 중요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사회에서 최근 몇 년간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는 ‘한국형 우울증’은 그 문제가 심각하다. 한국형 우울증의 특징은 전체 인구 중 우울증세를 느끼는 사람의 비율은 높으나, 치료를 받는 사람의 비율이 현저하게 낮다는 점이다. 우리나라의 우울감은 다른 나라에 비해 굉장히 높다. 통계청이 2015년 말 발표한 한국사회동향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한 달간 우울감 경험이 있었다고 밝힌 비율이 13.2%였으며, 이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에서도 높은 편에 속한다. 전 연령층 중에서, 20~30대의 우울증 발병률의 증가 폭이 가장 크다는 것도 심각한 문제이다. 하지만 우울증세를 치료받는 사람들의 비율은 굉장히 낮다. OECD에 따르면 우리나라 정신의료서비스 이용률(우울증, 불안장애, 알코올 장애 등 모든 정신질환의 총합)은 15.3%에 불과하다. 미국(39.2), 뉴질랜드(38.9%) 등과 비교해보아도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다. 

 

우울증 권하는 사회, 한국의 우울증 괴담


우울증 치료를 기피하는 태도는 한국 사회의 우울증에 대한 냉소적 인식과 잘못된 이해에서 비롯된다. 어찌 보면 한국사회가 사람들에게 우울증을 ‘권하고’ 있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우울증을 둘러싼 잘못된 인식과 괴담들을 정리해봤다.

 

오해 1. 우울증=정신력이 약한 것?

우울증세를 앓고 있는 환자들이 전문정신의료서비스 이용을 기피하는 가장 큰 이유는 사회적 인식 때문이다. 우울증세를 보인다고 고백하면, “네가 마음이 너무 여려서 그래.”, “요즘 안 힘든 사람이 어디 있어?”라고 냉소적인 인식을 보이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한국사회 특유의 집단주의적 사고방식도 이러한 인식에 한몫한다. 직장에서 혹은 학교에서, 개인적인 사정으로 정신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고백하는 순간, ‘프로페셔널하지 못한 사람’이라는 낙인이 찍혀 버린다. 우울증은 뇌 속에서 사고와 판단 등을 담당하는 전두엽과 수면 및 기억을 담당하는 변연계의 기능이 저하되어 발생한다는 점에서 명백히 ‘질병’이다. 우울증은 환자의 자의와 무관한 객관적인 질병으로 인식되어야 하며, 우울증 환자를 대하는 태도가 그 사람의 정신력에 대한 비판으로 이어져서는 안 된다.

 

오해 2. 우울증과 질병코드

한국사회에서 20~30대 연령층의 우울증 발병 증가율이 가장 높음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한 적절한 치료가 늦어지는 이유 중 하나는 ‘질병코드’ 때문이다. 취업시장에 뛰어든 청년층 사이에서는 ‘정신과 진료 기록이 있으면 취업하기 어렵다’는 소문이 돈다. 따라서 청년들은 정신과 진료기록을 ‘F코드’(정신 및 행동 장애)가 아닌 ‘Z코드’(일반장애)로 기재함으로써 우회적으로 숨기려 한다. 그러나 중요한 점은, 약물 처방전의 경우 F코드에만 의료보험이 적용된다는 것이다. 결국, 진료기록을 Z코드로 기재하게 되면 비보험 처리 상태로 약물 처방을 받기 때문에 금전적인 부담이 배로 늘어나고, 이는 정신과 진료 자체를 포기해버리는 현상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그러나 정신질환 진료 기록은 취업에 아무런 불이익도 주지 않는다. 의료법 제21조 제1항에 따르면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의료인이나 의료기관의 종사자가 환자의 동의 없이 제삼자가 환자의 진료기록을 열람하거나 발급받을 수 없기에, 회사가 구직자의 과거 정신 병력이나 진료기록을 임의로 조회할 수 없다. 

  

오해 3. 항우울제는 평생 먹어야 한다? 

항우울제의 부작용에 대한 괴담도, 우울증의 확실한 치료 방법 중 하나인 약물복용을 주저하게 만드는 요인이다. 항우울제를 끊기가 어렵다는 소문이 있으나, 항우울제에는 중독성이 없다. 또, 항우울제의 복용이 두뇌 기능이나 정상적인 성 기능을 저해한다는 소문이 있지만, 이는 과장된 면이 크며, 전문의와의 상담을 통해 분명히 관리할 수 있는 문제이다.

 

우울증이 정말 마음의 감기라면


흔히 우울증을 마음의 감기라고 비유한다. 이러한 비유에는 우울증을 바라보는 한국 사회의 두 가지 전제가 내재한 듯하다. 감기는 누구나 쉽게 걸릴 수 있다는 점에서 우울증 또한 누구에게나 발병할 수 있다. 그러나 저러한 비유에는 감기가 개인의 잘못된 건강관리에서 비롯된 것처럼, 우울증 또한 한 사람의 유약한 심리 상태에서 비롯한 자의적 결과라는 시선도 내재하여있는 것 같다. 우울증은 전문적인 치료와 관리가 필요한 질병이다. 이를 다르게 말하면, 우울증은 여타 질병과 마찬가지로 적절한 치료와 관리를 받으면 충분히 개선될 수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한국 사회는 우리 곁의 소중한 사람들을 우울증이라는 병으로 인해 잃은 경험을 종종 겪어왔다. 우울증과 정신과 치료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바뀌어야만 더 이상 그들을 잃지 않을 수 있다. 내 주변에 우울증세로 도움의 신호를 보내는 사람은 없었는지, 나는 그들에게 어떤 눈빛을 보냈는지부터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 

7
  • 기사입력 2019년11월22일 17시00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