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S특별기획

[IFS 특별기획] 흔들리는 산업경쟁력, 어떻게 해야 하나? (8) 본문듣기

기계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15년05월02일 22시04분
  • 최종수정 2015년05월02일 22시04분

메타정보

  • 54

첨부파일

본문

“초심으로 돌아가 뿌리산업 기반확충이 중요”
스마트 부품·비 기술개발로 고부가가치화 촉진
대ㆍ중소기업 동반성, 산업혁신운동 3.0 지속 추진   
중심 인력수급 및 양성체계 구축 
 
1. 기계산업은 광의의 개념에 있어 한국표준산업분류(KSIC) 상 5대 업종을 포함(수송기계, 전기기계, 금속제품, 정밀기계, 일반기계)하고 있으나, 협의의 개념으로는 건설·공작·섬유·냉동공조·농기계 등 신성산업의 설비를 공급하는 핵심 기반산업(기둥산업)으로서 선진국형 고부가가치 산업, 제조업의 기반산업, 미래창조주력산업, 산업간 파급효과 큰 산업, 기계산업 경쟁력이 국가 브랜드 가치와 직결되어 있다.
 
2. 기계산업의 발전과정은 60년대(태동단계) → 70년대(생산인프라구축) → 80년대(자립기반구축) → 
   90년대(기술기반구축) → 2000년대(산업고도화) → 2010년대(산업융합화)를 거쳐 왔으며, 현황으로서 생산 및 종사자가 2012년 생산 102조원(연평균 9.9%), 고용 30만 4천명(연평균 3.2%)이고,  교역량이 2013년 수출 464억불(연평균 14.0%), 무역수지 117억불(‘04 흑자전환)이며,  세계 일반기계시에서 위치는 ‘00년 : 15위(1.75), ’06년 : 10위(2.2%), ‘08년: 9위(2.4%), ’13년: 8위(3.3%)를 차지해 왔다.
 
3. 그러나 작금 기계산업은 다음과 같은 환경변화와 문제점을 안고 있다.
 
  (1) 대외환경변화에 있어, 기계산업 글로벌 수출 시 경쟁 심화,  비관세무역기술벽(TBT) 증가와 함께 중국의 부상으로 주요 수출시에서 우리기업 경쟁력 약화 및 일본 엔저 지속으로 인한 경쟁력 약화를 겪고 있으며, 한·중·일 FTA와 TPP 참여 추진(예상), 비관세 벽 증가로 기술종속 → 수출환경 악화 → 기술유출 → 경쟁력 약화의 악순환이 예상된다. 
 
  (2) 융·복합화 및 고부가가치화가 진행됨에 따라 선진국은 원천기술 및 융·복합화 기술을 바탕으로 신 성 비 산업을 주도하고 있으나, 우리는 완제품, 부품소재는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지만 비는 기술력 및 국산화율 미흡, 수출이 늘어도 고용 없는 성 심화가 지속되고 있어 국산화율 제고가 시급히 필요하다.
 
  (3) 기계산업의 서비스화로 서비스 경쟁력이 기계산업의 핵심 가치로 부각되고 제조업의 부가가치 사슬 구조가 변화하는 가운데 국내 기계산업 서비스 업체들의 영세성 및 중고기계 유통구조 취약, 기계설비 유통활성화 및 수출 촉진을 위한 인프라 부족이 나타나고 있다.
 
  (4) 기술 고도화로 단일기업간 경쟁에서 생태계(기업 네트워크 )간 경쟁으로 전환됨으로 하여 중소기업은 연구개발 및 자본투자의 한계로 생산성 정체 지속, 대기업 및 중소기업간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5) 청년인력의 유입이 가 낮고 인력 수급의 양적·질적 부족현상이 발생하는 가운데 우리나라는 고령화가 세계에서 가 빠른 속도로 진행됨에 따라 현중심 인력공급기반 허약이 빠르게 나타나고 있다. 
 
4. 따라서 이러한 시점에서 국내 기계산업 발전을 위한 대책으로는, 
 
  (1) 대외환경 변화 대응할 수 있는 기계산업 역량 강화방안으로서, 전략적 해외시 진출 및 마케팅 활동 지원을 확대하고, 중국의 가격경쟁력, 일본의 고도기술에 대응 할 수 있는 핵심 기계·부품의 기술개발 지원 확대가 필요하며, 해외규격인증 획득지원 및 주요 해외규격인증과 상호인정협정(MRA) 확대가 필요하다. 
 
  (2) 기계산업 융ㆍ복합화 및 고부가가치화 촉진방안으로서, 스마트공에 필요한 스마트 부품·비 기술개발 지원과 함께 기계산업 핵심비ㆍ부품ㆍ기계요소 산업을 육성하고 4대 분야 13개 창조경제 산업엔진에 필요한 핵심비 기술개발을 추진하여야 한다.
 
  (3) 지속적인 기계산업 서비스화 추진을 위해 R&D 기획, 설계, 공정최적화 등 기계산업 가치사슬 전반부에 걸친 서비스화를 추진하여야 한다.
 
  (4) 대ㆍ중소기업 동반성 추진과 함께 2~3차 중소기업의 혁신활동을 지원하는 산업혁신운동 3.0의 지속적인 추진이 필요하다.
 
  (5) 현중심 인력수급 및 양성체계 구축을 위해 산업계 주도의 인력수급 및 양성체계를 구축하고 현중심의 직업능력개발훈련을 확산시켜야 한다. 
 
 
 
 
 
첨부: 1. <기계 산업의 경쟁력 현황, 전망 및 발전방안> 내용 요약
      2. 주제발표 내용
      3. 토론 내용 
 
 
참고동영상:  知특강 흔들리는 산업 경쟁력 어떻게 해야하나?(8)기계  
54
  • 기사입력 2015년05월02일 22시04분
  • 최종수정 2018년11월02일 11시18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