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기에 실린 글은 필자 개인의 의견이며 국가미래연구원(IFS)의 공식입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추(秋)장관 사의(辭意)와 검찰총장 정직 2개월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20년12월16일 20시47분

작성자

메타정보

  • 0

본문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헌정사상 초유의 윤석열 검찰총장 징계가 검사징계위원회의 ‘2개월 정직’의결안대로 최종 확정됐다. 추미애 법무부장관 사의를 표명했다는 청와대의 공식발표도 함께 나왔다. 

정만호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16일 저녁 브리핑을 통해 문 대통령 날 오후 6시 30분에 징계안을 재가했고, 추 장관은 문 대통령에게 사의를 표명했다고 전했다. 윤 총장 직무정지는 대통령 재가와 동시에 효력을 발생했다.

 

날 문 대통령은 "추 장관의 추진력과 결단 아니었다면 공수처와 수사권 개혁을 비롯한 권력기관 개혁은 불가능했을 것"라며 “거취 결단에 대해 높 평가한다.”고 밝히고 “숙고해 수용 여부를 판단하겠다”고 밝혔다는 설명다.

문 대통령은 또 "검찰총장 징계라는 초유의 사태에 르게 된 데 대해 임명권자로서 무겁게 받아들인다. 국민께 매우 송구하다"며 "검찰 바로 서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혼란을 일단락 짓고 법무부와 검찰의 새 출발을 기대한다"고 강조했다고 정 수석은 설명했다.

 

‘추·윤(秋·尹)전쟁’으로까지 불리던 법무부장관과 검찰총장 간의 갈등 정리돼 가는듯한 느낌지만 그동안의 불필요한 갈등과 국민 분열, 그리고 국력낭비를 생각하면 너무 늦은 감 없지 않다. 그나마 정도로 수습국면에 들어간다면 다행지만 매끄럽게 마무리될지는 좀 더 두고 볼 일다.

 

윤 총장측은 추미애 장관의 사의표명과는 무관하게 법적 대응에 나설 것라고 밝히고 있다. 그러나 과연 어떤 식으로 진행 될지는 사태의 진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도 변수로 남아 있다. 윤 총장측은 검사징계위원회의 징계결정으로 “검찰의 정치적 중립성, 독립성과 법치주의가 심각하게 훼손됐다"며 "헌법과 법률에 정해진 절차에 따라 잘못을 바로잡을 것"라고 말한 바 있어 쉽게 물러서기도 명분 마땅치 않은 것 또한 사실다.

 

윤 총장 찍어내기를 위해 그렇게 소란을 피웠던 더불어민주당의 처신은 어떻게 진행될 것인지, 또 그 반대편에서 열을 올린 국민의힘 등 어떤 반응과 해법을 내놓을지도 주목해볼 대목 아닌가 싶다.

제발 정쟁(政爭) 아니라 국민들의 생명 걸린 코로나 위기극복과 서민생활 안정을 위해 발벗고 나서주기를 기대해 본다.

 

 

 

 

0
  • 기사입력 2020년12월16일 20시47분
  • 검색어 태그 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