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기에 실린 글은 필자 개인의 의견이며 국가미래연구원(IFS)의 공식입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2분기가 더 좋지 않을 것이라는데 …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20년04월23일 13시25분

메타정보

  • 5

본문

지난 1분기 경제성률이 전기 대비 -1.4%로 집계됐다. 한국은행은 23일 코로나19 충격으로 2020년 1분기의 국내총생산(GDP) 증가율 잠정치가 이같이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이는 세계금융위기를 겪었던 2008년3분기의 –3.35 이후 11년 3개월 만에 가 낮은 성률이다.

 

 마이너스 성의 배경은 그동안 국민들이 체감한대로다. 자가 격리와 사회적 거리두기 등으로 관광 여행 음식 숙박 등 서비스분야의 민간소비가 극심하게 감소된 데다 각국의 국경봉쇄 등으로 인한 수출입 위축 등이 마이너스 성의 주축을 이뤘음은 지극히 당연한 결과다.

 

 한편에서는 우리의 1/4분기 마이너스 성은 중국에 비해 훨씬 충격의 강도가 낮은 ‘선방’을 한 셈이라는 분석도 있다. 중국은 얼마 전 국가통계국이 발표한 1분기 성률은 전년 동기 대비 –6.8%로 전기대비로는 무려 –9.8%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한국경제는 2분기가 더 큰 충격으로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는 게 많은 전문가들의 우려다. 민간소비는 앞으로 다소 늘어나는 상황이어서 크게 우려되지는 않지만 제조업 생산과 수출이 2분기에 보다 큰 영향을 보일 것으로 전망하는 사람들이 많다.

 

다만 정부가 발표한 항공, 해운 ,조선, 자동차 등 이른바 기간산업지원 대책을 얼마나 실효성 있고 신속하게 집행할 수 있느냐에 따라 산업활동의 흐름이 달라질 가능성은 있다. 또 정부의 긴급재난지원금 집행, 공용안정대책 등 이른바 ‘한국판 뉴딜’정책이 어떤 모습으로 산업현에 뿌리내릴지에 따라 경제활력 저하의 정도는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더구나 아직은 코로나19가 언제 어떻게 다시 되살아날지 모르는 형국이어서 올해 한국은 물론 세계경제의 위축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IMF는 지난 14일 세계경제가 1930년대 대공황 이후 최악의 침체를 맞았다며 올해 세계경제성률을 –3.0%로 전멍했고, 한국의 성률도 –1.2%로 전망한 바 있다. 다만, 미국(-5.9%), 일본(-5.2%), 독일(-7.0%), 영국(-6.5%), 프랑스(-7.2%), 이탈리아(-9.1%) 등 주요국들이 모두 큰 폭의 마이너스 성을 할 것으로 IMF는 내다봤는데 주요20개국(G20) 가운데선 한국의 성률 전망치 하락 폭이 가 작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마이너스 성의 성적표를 받아든 정책당국에 한 가지 덧붙이고 싶은 것은 고용확대의 기반은 민간 기업들의 일자리 창출로 이뤄져야 지속 가능하다는 점을 염두에 두지 않으면 안 된다는 점이다. 재정으로 일자리 창출이 불가피하다고는 하지만 일 년 12달 중에 4개월도 지나지 않은 시점에서 3차례의 추경을 통해 재정지원을 확대하려는 것은 깊이 생각해 볼 문제다. 긴급한 코로나 대책 때문에 어쩔 수 없다고는 하지만 ‘우선 먹기는 곶감이 달다’고 나중에 재정악화가 두고두고 부작용을 낳을 경우 더 큰 손해를 볼 수 있다는 점도 정책당국이 명심할 일이 아닌가 싶다.<ifsPOST>​ 

5
  • 기사입력 2020년04월23일 13시25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