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광두의 1년 후

[辛경제] 역대 한국경제 위기와 극복의 교훈<11>1989년 3저 호황의 절벽...환율에 울고 웃다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23년02월28일 09시53분

작성자

  • 신세돈
  • 숙명여자대학교 경제학부 명예교수

메타정보

  • 0

본문

-  85년도 위기 후 한국경제는 1986~1988년까지 역사상 유례없는 대호황(3저호황) 찾아왔고, 종합주가지수가 150에서 1989년 4월 1일에는 1007.77을 기록할 정도였다. 1988년은 우리나라에서 올림픽 열린 해다.

 

- 그렇게 잘 나가던 경제가 바로 1년 만인 89년도에 경기가 추락을 하면서 성장률 뚝 떨어진다. 경제성장률 1988년도 12%에서 89년도에 7.1%로 4.9%p가 추락했다. 시속 120km로 달리던 자동차가 갑자기 시속 70km로 떨어졌으니 충격 컸다.

 

- 원인 뭔가 들여다봤더니 4.9%p 떨어지는 것 100% 고스란히 수출 때문었다. 소비는0.8%p 오르고, 투자는 –0.3%p를 기여했으나 무시할 정도.

 

- 당시 정부나 한국은행의 통화정책은 뭐했나? 그냥 손 놓고 있었다는 게 맞는 표현다. 본원통화 증가율은 –5.1%p였고, 정부재정의 성장기여도는 –0.2%p였다.

 

- 수출은 왜 부진했나? 역시 환율 때문다. 위기 1년 전인 1988년도에 당시 노태우 정부가 달러당 800원 가까 하던 환율을 600원대로 내려 원화강세를 만들었다. 에 반해 1985년에 뤄졌던 플라자 합의(일본엔화 고평가)가 끝나면서 일본 엔화는 달러당 120앤에서 140엔대로 오히려 평가절하가 됐다. 우리나라 수출가격경쟁력에 심대한 타격을 준 것다.

 

- 그렇다면 위기극복은 어떻게 뤄졌나. 1989년도 경제성장률 7.1%에서 1990년에 9.9%로 2.8%p가 높아졌다. 는 2.8%p 가운데 내수의 성장 기여도는 오히려 –0.3%P였고, 수출은 2.6%p를 기여했다. 

 

- 때 정부는 기여했나? 재정역할은 성장률에 거의 기여를 못하고, 오롯 민간부분에서 성장률 높아졌다. 본원통화는 증가율 12.2%p가 올라가 통화정책은 상당한 기여를 한 셈다.

 

- 앞서 89년 위기는 원화의 고평가 때문에 초래됐다고 했는데, 위기극복도 노태우정부가 환율을 올려(원화평가 절하) 수출 회복돼 뤄진 것다. 환율에 울고 환율 때문에 웃은 경제였다. 1985년 경제위기와 1989년 위기는 매우 유사한 점 많다.

 

- 런 관점에서 우리가 꼭 언급하고 넘어가야 할 것 있다. 1990년도에 우리 경제가 수출 때문에 살아났다고 했는데 사실 1991년도, 1992년도에 노태우 정부는 경기를 살리기 위해 분당·일산으로 대표되는 1기 신도시 건설, 즉 주택 200만호 건설에 방점을 두었다. 그러나 결과적으로는 200만호를 다 짓지도 못했고, 건축자재가격 상승, 인건비 상승 등 여러 가지 부작용 나타나면서 경기를 살리는 데 크게 기여를 못했다. 그것 바로 다음에 말씀드릴 1992년도 위기로 들어가게 되는 계기가 됐다. ​ 

0
  • 기사입력 2023년02월28일 09시53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