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광두의 1년 후

코로나19 방역의 모든 것(下): 기득권 탈피가 시급하다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23년02월28일 14시54분

작성자

  • 이덕환
  • 서강대학교 화학‧과학커뮤니케이션 명예교수

메타정보

  • 0

본문

- 지금 보시는 것은 우리가 가장 많 사용하는 RT-PCR검사에 쓰는 기계다. 거는 제가 인터넷에서 구할 수 있는 작은 사진다. 여기에다 샘플을 1천개 상을 한꺼번에 집어넣어가지고 검사를 할 수 있는 장비가 우리나라에 많 보급 되어 있다. 장비는 중합효소를 사용하는 유전자 증폭 장비라고 알려져 있는데 온도를 높였다가 낮추는 과정을 반복해야 한다. 

 

- 액체 상태의 검체를 가열했다가 식혔다가 다시 가열하는 일을 반복을 하려면 시간 걸릴 수밖에 없다. 그래서RT-PCR장비는 훈련받은 전문가가 작동을 해야 하고, 시간 과거보다는 훨씬 줄었지만 그래도 현재 2시간 상의 시간 필요하고, 장비를 갖춘 곳으로 검체를 운반해서 검사를 한 다음에 검사자에게 통보를 해주는 절차가 필요하다. 

 

- 것은 지난여름부터 개발되기 시작한 소위 ‘신속 PCR’라는 방법에 사용하는 진단 장비다. 거는 손에 들고 있을 정도로 작게 만들 수 있고, 또 기존의 전원 필요 없 배터리만으로도 활용 가능하다. 장비는 코로나를 위해서 개발된 것은 아닌데, 장비도 역시 PCR라는 방법을 사용하는데, 중합효소증폭방식을 사용을 하는데, 차점은 기존의 RT-PCR처럼 검체의 온도를 높였다, 낮췄다를 반복하는 단계가 없 한번 가열해서 한 시간 정도 기계장치 안에다가 꼽아놓으면 결과가 나오는 런 방법다. 

 

- 게 작년 여름에 개발 돼가지고, 외국에도 수출을 하고 있는데 안타깝게도 국내에서는 응급진단용, 응급확인용으로만 제한적으로 허용 되고 있다. 그러다가 최근에 여주시(驪州市)가 신속PCR 진단키트의 효용성을 인지해 자체적으로 것을 활용하는 방법을 개발을 해 상당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질병관리청나 식약처에서는 것을 공식적으로 사용허가를 확실하게 내주지를 않고 있어서 좀 안타깝게 생각한다. 게 제도적으로 어떤 기득권을 가지고 있는 일부 분야에서 새로운 진단키트, 더 값 싸고 저렴한 진단키트의 등장을 가로막고 있는 것 아닌가, 런 의심 들기도 하는 그런 상황다. 

 

- 최근 신속PCR 키트에 대해서는 새로 취임한 황희 문화체육관광부 장관도 관심을 가지고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서 관광산업을 살려보겠다는 의지를 표시를 하고 있고, 서울대학교에서도 신속PCR 방법을 사용해서 학교수업을 정상화시키는데 도움 될 수 있도록 노력을 해 보겠다 런 의견들 제시가 되고 있어 관심을 끈다. 그러나 서울대학나 문화관광부의 요구도 쉽게 풀리지 않고 있어 안타까운 현실다.

 

-  뿐만 아니라 작년 9월부터 신속진단키트로 알려진 ‘항원, 항체키트’도 개발해 우리 사회가 적극적으로 활용을 해야 되겠다는 의견을 공개적으로 표출을 했는데, 아직도 선별진료소에서만 제한적으로 항원, 항체키트를 활용하고 있는 수준다. 

 

- 지금 우리의 코로나19 감염상황은 작년 2월, 3월하고는 상황 달라졌다. 작년 2월, 3월까지는 감염자의 숫자가 극도로 제한적었고, 그리고 감염집단 별도로 있었다. 인천공항, 신천지, 태원 등 렇게 감염집단 특정되어 있었다. 그래서 거기 감염자를 한 명 찾으면,그와의  밀접접촉자를 가려내서 밀접접촉자 중심으로 추적을 하면 대부분의 감염자를 찾아낼 수 있었다. 그게 우리가 1차 감염을 한 한달 남짓한 기간 동안에 해결할 수 있었던 열쇠였다. 게 소위 방역에서는 ‘검사와 추적’라고 하는 단계다. 

 

- 그런데 시간 흐르면서  사정 달라졌다. 지금은 은밀한 감염 확산되고, 소위 사회적 감염 일상화 되어버린 그런 단계기 때문에 단계에서는 조금 다른 전략 필요하다는 게 일반적인 방역의 원칙다. 지금까지 해온 ‘검사-추적’하는 전략만으로는 대응하기가 굉장히 힘들어졌다. 

 

- 사회적 확산단계가 되면 방역전략도 ‘검사-추적’에서 ‘감시-완화’단계로 전환 돼야 한다는 게 방역의 기본적인 원칙다. 그런데 안타깝게도 우리는 지난해 3월 1차 확산 그리고 7, 8월에 2차 확산을 지나서 작년 11월에 3차 확산 시작되었는데도 아직도 우리 사회는 여전히 ‘검사-추적’ 방법에 집착을 하고 있다. 방역단계를 ‘감시-완화’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꼭 필요한 것 ‘값 싸고, 신속한 진단키트’다. 그런데 우리는 작년 2월부터 항원, 항체 키트. 그리고 작년 여름부터는 신속 PCR 진단키트를 가지고 있었는데도 불구하고, 또 그것을 해외에 수출을 해서 다른 나라에서는 그 진단키트를 사용해서 상당히 성과를 거두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그런 진단키트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않고 있다. 안타까운 일다. 감시-완화의 전략은 런 면에서 크게 차가 난다. 

 

- 여기 지금 25라는 숫자가 쓰여 있는 그림 하나 있는데, 여기 동그라미가 사람다. 그런데 사회적 감염의 경우에는 감염자들 사회 전체에 퍼져있게 되는데 균일하게 퍼져있는 경우라면 특별히 다른 전략 필요 없겠지만 대부분의 경우에는 감염자들 특정한 지역, 특정한 집단에 몰려 있기 마련다. 그러니까 그 감염자들 집중되어있는 지역나 집단나 어떤 영역을 파악을 해서 그 부분에 대한 집중적인 방역 전략 필요한 거다. 

 

- 그런데 여기 지금 빨간색 놓여있는 부분 위쪽 왼쪽에 있다. 만약에 선별 진료소를 오른쪽 아래쪽에 가서 선별진료소를 운영을 해봤자 아무 소득 없다. 그냥 비싸고 시간 꽤 오래 걸리는, 2시간 상 걸리는 진단 방법을 계속 낭비적으로 사용을 하는 거다. 진단 비용만 들어가는 게 아니라 인력도 피로의 단계에 접어들게 된다. 렇게 아무 대책 없 맹목적인 선별 진료소 운영으로는 왼쪽 상단에 있는 집단감염 부분을 찾아내기가 어렵다. 

 

- 현재 우리나라가 사용하는 방법으로는 감염자 한명을 찾아내기 위해서 한 70여명을 검사해야 한다. 한명을 검사하는데 한 6만원 정도의 진단키트 비용 들고, 그 다음에 인건비, 다른 부대비용도 사용해야 되고, 또 검사시간만 2시간고, 검체를 진단장치가 있는 곳으로 보내서 검사하기 까지는 거의 하루 가까운 시간 걸린다. 그리고 진단키트만 한 6만원 드니까 양성 감염자 한명을 찾아내기 위해서 진단키트 비용만 한 500만원 가까운 비용을 들고 있는 거다.

 

-결론적으로 질병관리청과 정부가 우리의 방역대책을 ‘검사-추적’에서 속도가 빠르고 비용 저렴한 ‘감시-완화’ 단계로 적극적으로 전환하는 노력 필요하다. (끝)​ 

0
  • 기사입력 2023년02월28일 14시54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