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뉴스

'수출 훈풍' 4월 취업자 26만명↑…실업자 증가폭 3년만에 최대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24년05월17일 09시38분

작성자

메타정보

  • 0

본문

제조업 취업자 10만명 늘어…고용원 없는 자영업자 9만4천명 감소

 

취업자 수 증가 폭이 20만명대를 회복했다. 수출 호조의 훈풍 속에 제조업 취업자가 10만명 늘었고, 돌봄 수요도 증가한 결과다.

동시에 실업자는 8만명 이상 증가하며 3년2개월만에 대 증가 폭을 기록했다.

17일 통계청이 발표한 '4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15세 이상 취업자는 2천869만3천명으로 1년 전보다 26만1천명 증가했다.

올해 1~2월 30만명대를 유지했던 취업자 수 증가폭은 3월 17만3천명으로 급감했다가, 3개월 만에 증가세로 돌아서며 20만명대를 회복했다.

연령별로 보면 청년층(15∼29세) 취업자가 8만9천명 감소했고, 40대 취업자도 9만명 줄었다.

30대는 13만2천명, 50대는 1만6천명, 60세 이상은 29만2천명 각각 증가했다.

산업별로는 수출 호조 및 반도체 경기 회복의 영향으로 제조업 취업자가 10만명 늘었다. 2022년 11월 10만1천명 이후로 1년 5개월 만에 가장 큰 증가 폭이다.

서운주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지난해 기저효과와 수출 호조세의 영향으로 제조업 취업자가 5개월 연속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9만3천명), 정보통신업(6만8천명)도 취업자가 늘었다.

사업지원 및 임대서비스업(-6만6천명)과 교육 서비스업(-4만9천명), 도매 및 소매업(-3만9천명)은 취업자가 감소했다.

종사상 지위별로는 상용직이 29만3천명 늘었고, 임시직도 20만명 증가했다. 일용직은 14만7천명 줄었다.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 수는 9만4천명 감소했다. 2018년 10월 10만1천명 감소 이후 5년 6개월 만에 대 감소 폭이다.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 수는 1년 전과 같은 수준이었다. 무급가족 종사자는 1만명 증가했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63.0%로 1년 전보다 0.3%포인트(p) 상승했다. 1982년 7월 월간 통계 작성 이후 4월 기준으로 가장 높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69.6%로 1989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4월 기준으로 고치를 기록했다.

실업자는 8만1천명 늘어 2021년 2월(20만1천명) 이후 3년 2개월 만에 대 증가 폭을 기록했다. 실업자는 지난해 11월 이후 6개월째 증가세다.

연령별로 보면 60대 이상 실업자가 3만9천명 늘어 가장 많이 증가했다. 40대와 50대도 각각 1만1천명, 2만6천명 실업자가 늘었다.

실업률은 3.0%로 1년 전보다 0.2%p 상승했다.

서운주 국장은 "2022년과 2023년 코로나19 회복 국면에서 실업자가 굉장히 많이 줄었던 것이 누적된 영향으로 보인다"며 "60대의 경우 인구가 증가하면서 취업자와 실업자가 같이 늘어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0
  • 기사입력 2024년05월17일 09시38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