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뉴스

헌재 "유산상속 강제하는 '유류분', 위헌·헌법불합치" 결정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24년04월25일 17시43분

작성자

메타정보

  • 0

본문

"패륜 가족에게도 상속, 상식에 반해"…법 개정 시한 주며 헌법불합치 결정

'형제자매 유류분'은 위헌으로 즉시 효력 잃어…1977년 제도 도입 후 첫 위헌

 

학대 등 패륜 행위를 한 가족에게도 의무적으로 일정 비율 상의 유산(유류분·遺留分)을 상속하도록 정한 현행 민법 헌법에 어긋난다는 헌법재판소 판단 나왔다.

아울러 같은 유류분을 형제자매에게도 주도록 보장하는 것은 그 자체로 위헌라고 결정했다.

헌재는 25일 재판관 전원일치 의견으로 유류분을 규정한 민법 1112조 1∼3호에 대해 2025년 12월 31일까지만 효력을 인정하고 그때까지 국회가 법을 개정하지 않으면 효력을 잃는 헌법불합치 결정을 내렸다.

형제자매의 유류분을 규정한 민법 1112조 4호는 위헌으로, 특정인의 기여분을 인정하지 않는 민법 1118조에 대해서는 헌법불합치 결정을 내렸다.

현행 민법은 자녀·배우자·부모·형제자매가 상속받을 수 있는 지분(법정상속분)을 정하고 있다. 피상속인 사망하면서 유언을 남기지 않으면 에 따라 배분한다.

유언 있더라도 자녀·배우자는 법정상속분의 2분의 1을, 부모와 형제자매는 3분의 1을 보장받는데 를 유류분라고 한다. 특정 상속인 유산을 독차지하지 못하도록 하고 남은 유족의 생존권을 보호하는 법적 장치로 1977년 도입됐다.

그러나 유류분 제도가 개인의 재산권을 지나치게 침해하는 등 사회 변화에 뒤떨어진다는 지적도 계속 제기되어 왔다.

헌재는 우선 "가족의 역할은 오늘날에도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상속인들은 유류분을 통해 긴밀한 연대를 유지하고 있다"며 유류분 제도 자체는 정당하다고 봤다.

또 가족 구성원별로 상속 비율을 획일적으로 정한 부분도 합리적라고 판단했다. 헌재는 "다양한 사례에 맞춰서 유류분 권리자와 유류분을 적정하게 정하는 입법을 하는 것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고, 법원 구체적 사정을 고려해 개별적으로 정하게 하는 것은 심리 지연과 재판비용의 막대한 증가 등을 초래할 수 있다"고 했다.

그러나 가족으로서 도리를 다하지 않는 구성원에게 유류분을 받을 권리를 빼앗는 보완 제도를 두지 않은 것은 헌법에 어긋난다고 봤다.

헌재는 "피상속인을 장기간 유기하거나 정신적·신체적으로 학대하는 등 패륜적인 행위를 일삼은 상속인의 유류분을 인정하는 것은 일반 국민의 법 감정과 상식에 반한다"며 "유류분 상실 사유를 별도로 규정하지 아니한 것은 불합리하다"고 했다.

다만 "위헌결정을 선고해 효력을 상실시키면 법적 혼란나 공백 발생할 우려가 있다"며 국회에 개정 시한을 부여했다.

형제자매에게 유류분을 보장하는 민법 1112조 4호는 위헌 결정으로 즉시 효력을 잃게 됐다. 헌재는 "형제자매는 상속재산 형성에 대한 기여나 상속재산에 대한 기대 등 거의 인정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유류분권을 부여하는 것은 그 타당한 유를 찾기 어렵다"고 밝혔다.

밖에 헌재는 공동상속인 중 상당한 기간 특별히 고인을 부양하거나 재산 형성에 기여한 사람(기여상속인)에게 고인 증여한 재산을 유류분 배분의 예외로 인정하지 않는 민법 1118조 일부에 대해서도 헌법불합치로 결정했다.

헌재는 "기여상속인 그 보답으로 피상속인으로부터 재산의 일부를 증여받더라도 해당 증여 재산 유류분 산정 기초재산에 산입되므로, 기여상속인 비기여상속인의 유류분 반환 청구에 응해 증여재산을 반환해야 하는 부당하고 불합리한 상황 발생한다"고 밝혔다.

헌재는 위헌·헌법불합치로 결정한 조항들에 대해 "불합리하고 부당해 로 인해 피상속인과 수증자가 받는 재산권의 침해가 공익보다 중대하고 심각하다"고 했다.

밖에 공익 기부, 가업 승계 등 목적으로 증여한 재산도 예외 없 유류분을 산정하기 위한 '기초 재산'에 포함하는 1113조 1항과 유류분권리자에게 손해를 가할 의사로 증여한 경우에는 증여분을 기초 재산에 포함하는 1114조는 합헌 판단을 받았다.

고인 생전에 공동상속인에게 증여한 재산(특별수익)은 증여 시기를 불문하고 기초 재산에 포함하도록 하는 1118조 일부, 유류분 반환 시 원물 반환을 원칙으로 하는 1115조도 합헌으로 결정했다.

유류분 제도는 1977년 도입된 뒤 한 차례의 개정도 없 현재까지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2010년과 2013년 헌재 심판대에 올랐으나 모두 합헌 판단을 받았다.

헌재는 2020년부터 접수된 개인 낸 헌법소원 심판 청구와 법원의 위헌법률심판제청 총 47건을 함께 심리한 뒤 날 결정을 선고했다.

<연합뉴스>​ 

0
  • 기사입력 2024년04월25일 17시43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