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 시기 이슈가 되는 정책체감에 대한 국민의견을 수렵하기 위해 비정기적으로 실시됩니다.

2014 주요 정책효과 체감 조사결과 보고서 2 - 국가 혁신 중심 -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14년11월04일 14시56분
  • 최종수정 2014년11월04일 14시56분

메타정보

  • 48

첨부파일

본문

“정치(인)가 변해야 나라가 산다.” 2040대상 주요정책 체감도 조사 결과 “가 많이 변해야 하는 집단, 정치인 ” 68% “국가혁신 주도는 대통령(실) 38%로 가 많아. “김영란법이 부정부패 줄일 수 있다” 긍정43% 부정57% 경제혁신 3개년계획, “공공부문개혁이 가 중요하다.” 1. 박근혜 정부의 국가혁신에 대한 정책체감도 조사결과 “정치(인)가 변해야 국가혁신이 이뤄진다는 인식이 팽배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미래연구원이 여론조사기관인 (주)베스트인사이트에 의뢰해 전국의 2040세대 1,007명을 대상으로 ‘2014 주요 정책효과 체감조사-국가혁신을 중심으로-’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조사됐다. 2. 이번 조사에서 국가혁신을 위해 가 우선시되어야 할 과제로 ‘정치혁신/정치인의 변화를 꼽은 응답자가 47.9%로 가 많았고, 다음으로 관피아 척결(30.1%), 정부조직 개편(10.2%), 국민의식 개혁(9.6%)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국가혁신을 위해 가 많이 변해야 하는 집단을 물어본 결과, 응답자 3명중 2명인 68.3%가 정치인(국회의원, 지자체, 지방의회의원)을 꼽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관료(공무원, 공기업) 18.5%, 법조인 4.9%,기업인 ,언론인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3. 국가혁신을 누가 주도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좋은 지에 대한 질문에 2040 응답자의 38%가 ‘대통령(실)’을 꼽았으며, 그 다음으로 ‘범국민 위원회(27.2%)’, ‘입법부(12.8%)’, ‘NGO(8.9%)’, ‘국무총리(실)(6.5%)’ 등이 차례로 지적됐다. 4. 정부조직법 개정안에 대한 인지도를 알아본 결과, 2040 응답자의 57.4%가 ‘알고 있다’라고 응답함. 반면, ‘모르고 있다는 응답은 42.6%로 조사됐다. “정부조직 개편이 국민의 안전을 이전보다 효과적으로 보할 수 있느냐?”는 질문에 ‘그렇다’는 긍정적 응답은 27.1%로 조사되었으며, ‘그렇지 않다’는 부정적인 응답은 72.8%로 나타났다. 5. 최근 논의되고 있는 전관예우 금지 및 공직자 취업제한 강화 법안 등이 부정적 관료주의의 적폐를 해소할 수 있는가? 라는 질문에, ‘그렇지 않다’라는 응답은 59.1%로 ‘그렇다’라는 응답(40.9%)에 비해 약 19%p정도 높게 나타나, 2040들은관료주의의 적폐 해소 가능성에 대해서는 다소 부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소위 김영란법안이라 ‘부정청탁 금지 및 공무원의 이해충돌방지 법안’이 공직자 부정부패를 줄일 수 있는가?를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42.7%가 ‘그렇다)’라고 응답하였으며, ‘그렇지 않다’라는 부정적인 태도는 57.2%로 조사됐다. 6. 올 2월 박대통령 취임 1년에 맞춰 발표한 ‘경제혁신 3개년 계획’에 대한 인지도를 알아본 결과, 2040 응답자의 절반 이상인 64.5%가 ‘모르고 있다’라고 응답하였으며, ‘알고 있다’는 응답은 35.5%에 불과했다. 박대통령의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의 세부 과제에 대한 중요도를 질문한 결과, 응답자의 40.4%가 ‘공공부문(기관) 개혁’이 가 중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원칙이 바로 선 시경제(19.8%)’, ‘사회안전망 확충(15.2%)’, ‘청년/여성 고용률 제고(15.2%)’ 등의 순으로 응답자가 많았다. 7. 정부의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이 우리나라 경제 활성화에 효과가 있을 것인가 ?라는 질문에, 2040 응답자의 절반이 조금 넘는 53.0%가 ‘효과가 없을 것 같다)’고 응답했다. 반면, ‘효과가 있을 것 같다는 응답은 41.2%로 나타났으며, ‘잘 모르겠다’는 5.9%로 조사돼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8.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의 세부 과제 중 추진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는 과제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41.9%가 ‘공공부문(기관) 개혁’을 가 많이 지적하였으며, ‘원칙이 바로 선 시 경제(17.8%)’, ‘사회안전망 확충(11.7%)’, ‘청년/여성 고용률 제고 98.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9. 이 조사는 20세 이상, 49세 이하의 성인 남녀 1,007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한 온라인 조사결과를 집계한 것으로 표본오차는 95% 신뢰구간에서 ± 3.09 %p 이다. 10. 이 조사결과는 비교적 젊은 층이면서도 우리사회의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2040세대를 대상으로 하고 있어 전 국민 여론조사와는 다른 결론이 도출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해서 판단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경제발전과 사회의 혁신 동력을 찾아내기 위해서는 이들의 생각과 의식을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점에서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여론조사보다 훨씬 큰 의미를 지닌다고 볼 수 있다. 그런 점에서 정책당국이 정책 수립과 추진에 많이 참고하기를 기대한다.​
48
  • 기사입력 2014년11월04일 14시56분
  • 최종수정 2016년02월26일 18시31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