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 아름드리

2030 글로벌 재생에너지 로드맵 (REmap 2030)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16년04월11일 20시16분

작성자

메타정보

  • 52

첨부파일

본문

 

[요약]

- 국제재생에너지기구는 REmap 2030 보고서에서 전세계 에너지 믹스에서 재생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을 2014년 18%에서 2030년 36%로 두 배 확대하려는 야심찬 목표를 설정하고 있으며, 또한 전세계적 슈인 기후변화 억제나 지속가능한 개발 목표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를 성취하는데 있어서도 REmap 2030은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것으로 전망

 

· 지난 18개월 동안의 유가 급락에도 불구하고, 재생에너지를 둘러싼 전망은 크게 바뀌지 않고 있는데, 2015년은 특별히, 전세계 재생에너지 투자와 태양광 및 풍력발전의 설비용량 신규 증가분 사상 최고 수준에 른 해로 기록되었으며, 지속적인 비용 하락에 힘입어, 재생에너지는 세계 곳곳에서 가장 경제적인 전력 생산 옵션으로 부상하고 있음

 

 ※ 2030년까지 글로벌 에너지 믹스에서 재생에너지의 비중을 두 배로 확대하려는 REmap 2030의 목표는 전세계 에너지 수요 증가세가 둔화될 경우, 보다 손쉽게 달성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에너지 수요 증가세는 세계 각국 얼마나 효율적으로 에너지를 용하는가, 에너지 효율화 성과에 크게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

 

· 재생에너지 기술의 확산 속도와 재생에너지 혁신 투자 역시 REmap 2030의 목표 달성 여부를 결정할 주요 변수로 작용할 것며, 에너지 효율화 증진, 재생에너지 기술 확산 및 투자 확대를 바탕으로, 재생에너지의 비중 두 배로 늘어날 경우, 전세계는 향후 50년 내에 탄소제로 에너지 시스템으로 전환될 수 있는 역량을 구축하게 될 것으로 전망

 

 ※ 하지만, 세계 각국 현재 시행하고 있는 재생에너지 육성 정책 그대로 유지될 경우, 재생에너지의 비중은 2030년에도 21%에 머물 것으로 분석되고 있는데, 는 REmap 2030의 목표 (36%)를 달성하기 위해서 전세계가 국제적 공조 체제 강화를 바탕으로, 보다 적극적인 재생에너지 지원 정책을 시급히 추진해야함을 의미

 

 ※ 글로벌 재생에너지 비중 두 배로 늘어난다는 것 곧 모든 국가에서 재생에너지 비중 두 배로 증가함을 의미하는 것 아님을 인식해야 할 것나,, REmap 2030 제공하는 정책 옵션 성공적으로 행될 경우, 2030년 전세계 대부분의 국가에서 재생에너지의 비중은 2014년 대비 20-70% 확대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발전 부문의 재생에너지 성장 전망은 여전히 매우 긍정적나, 유가 급락으로 인해, 운송, 난방 및 산업용 재생에너지 수요는 당초 예상을 밑돌 가능성 높아 보며, 는 결국 REmap 2030 목표가 달성되기 위해서는 발전 부문의 재생에너지 확산과 난방 및 운송 부문의 전기화가 더욱 강도 높게 추진되어야 할 필요성을 의미

 

 ※ 빌딩 및 산업용 재생에너지 시장의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각국 정부의 인센티브 정책 강화될 필요가 있으며, 구체적으로 기존 빌딩의 리모델링에도 재생에너지 인센티브 제공 확대되어야 하며, 재생에너지 미미한 항공산업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 대책도 강구되어야 할 것임

 

· REmap 2030의 목표는 2030년 전세계 재생에너지 소비 가운데 바오에너지의 비중 절반을 차지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으므로, 전세계 정부와 기업들은 항공, 물류, 운송, 제조업 등 전 부문에 걸쳐 차세대 액화 바오연료를 포함한 모든 바오에너지 자원의 적극적인 활용에 박차를 가해야 할 것으로 보임

 

 ※ REmap 2030가 목표한 바와 같 재생에너지 비중 2014년 대비 두 배로 늘어날 경우, 전세계 전력 생산에서 재생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5년 25% 미만에서 2030년 50%로 급증할 전망며, 빌딩, 산업 및 운송용 에너지 소비에서 재생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 역시 각각 57%, 35%, 16%로 대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

 

· 향후 15년 동안 글로벌 에너지 믹스에서 재생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 두 배로 늘어날 경우, 상당한 고용 창출 효과도 기대되는데, 즉 재생에너지 시장 확산으로 인해, 글로벌 재생에너지 밸류체인의 총 고용 규모는 2014년 920만 명에서 2030년 2,440만 명으로 두 배 상 급증할 것으로 전망

 

· 글로벌 재생에너지 5대 액션 플랜 제안

 

 ※ 각국 정부는 재생에너지가 공정한 경쟁을 할 수 있도록 에너지 시장의 왜곡을 바로 잡아야 할 것임. 는 화석연료 비용을 제대로 반영할 수 있는 탄소가격 도입과 재생에너지 정책 환경 개선을 통해 루어질 수 있을 것임. 아울러, 헬스케어나 기후변화 등의 외부 요인들을 에너지 가격 산정에 반영하는 시스템도 구축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함

 

 ※ 에너지 시스템의 신축성을 높고 재생에너지 자원의 가용성을 확대할 수 있는 대책도 마련되어야 함. 특히, 태양광 및 풍력 발전의 예측 가용성 확보와 전력 수급 균형을 도모하기 위한 그리드 통합에 전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으며, 에너지 수요 관리, 전력 저장 및 스마트 그리드 강화와 리얼타임 에너지 가격 산정 체제 확립도 시급히 요구됨

 

 ※ 세계 각국 정부와 기업들은 전세계 곳곳의 도시화 및 산업 발전 프로젝트에 적합한 재생에너지 냉난방 솔루션 개발과 확산에도 박차를 가해야 할 것임. 특별히, 재생에너지 사용 확대, 에너지 효율화 증진, 중앙집중식 에너지 시스템 구축, 잉여 전력의 냉난방 및 산업용 에너지 활용 등을 도모할 수 있는 대책 마련에 집중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평가함

 

 ※ 재생에너지 동력을 활용하는 운송 시스템 확충도 중요한 과제임. 전세계적으로 가속화되고 있는 도시화는 친환경 운송 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대폭 늘어나는 계기가 될 것임. 따라서, 세계 각국은 트램, 버스, 화물차, 승용차 등 모든 운송 수단에서 재생에너지가 연료로 적극 사용될 수 있도록, 관련 인프라의 설치 및 제도 정비에 만전을 기해야 할 것임

 

 ※ 지속가능하며, 경제적고, 신뢰할 만한 바어에너지 원료의 공급 역량 확보 역시 간과되어서는 안될 주제임. 를 위해서는 바오에너지 밸류체인을 확대하거나 수직적으로 통합하는 작업 우선 추진되어야 할 것며, 바오에너지의 교역을 촉진할 수 있는 정책 및 인프라 환경 구축도 반드시 뒤따라야 할 것으로 판단함 

 

ecfff44cf163bd56f890270094853122_1460372
ecfff44cf163bd56f890270094853122_1460372
ecfff44cf163bd56f890270094853122_1460372
 

[comment]

-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는 ‘2016년 세계 신재생에너지 산업 전망 및 슈’ (2016.1.20.)에서 우리 주력 수출산업 성장 정체에 빠져 새로운 유망 수출산업 발굴 필요한 시점으로, 신재생에너지 산업을 유망 수출산업으로 육성한 노력 필요하며,  fast-track 전략으로 신재생에너지 시장 개척을 위한 골든타임을 잡아야 한다는 점을 강조

 

· 세계 신재생에너지 산업은 2016년에도 양호한 성장을 지속할 전망

 

 ※ 새로운 에너지원에 대한 교체 수요는 저유가 상황에도 불구하고 신재생에너지 산업 성장의 동인 되고 있으며, 2016년에도 10% 대 양호한 성장을 어갈 전망 

 

· 新기후변화체제 출범으로 세계 신재생에너지산업의 성장성에 대한 기대감 한층 더 높아짐

 

 ※ 미국의 경우 저렴한 셰일가스 개발에 따른 가스발전 확대를 꾀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신규 발전설비의 80%가 태양광 및 풍력으로 건설 중며, 현 추가 지속될 가능성 높음

 

 ※ 세계 신재생에너지 시장에서 20%에 불과한 개도국 비중 2020년에는 30% 상 늘어나 신재생에너지 수요를 끌 것으로 전망

 

 ※ 중국은 석탄발전 과다에 따른 스모그 문제로 몸살을 앓고 있으며, 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태양광 발전을 확대해 나갈 전망

 

· 新기후변화체제 등장으로 세계 신재생에너지 시장은 빠르게 확대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세계 신재생에너지 시장 확보를 위한 국가차원의 노력 필요

 

 ※ 우리 주력 수출산업 성장 정체에 빠져 새로운 유망 수출산업 발굴 필요한 시점 

 

 ※ 재생에너지 분야에서 중국과의 격차가 커지고 있어 조금 더 시간을 지체한다며, 신재생에너지 산업에서 우리 입지는 더욱더 줄어들 것으로 예상 

 

 ※ 내수시장 활성화와 해외시장 개척을 동시에 추진하여 단기간 격차를 줄일 수 있는 전략 마련 필요

 

· 우리나라가 장점을 가지고 있는 에너지저장 기술과 융합을 통해 산업 경쟁력을 높여야함

 

 ※ 24시간 공급 가능한 보다 효율적인 에너지원 되기 위해선 에너지저장 기술과 결합 필수적며,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주도권은 얼마나 경쟁력 있는 융합기술을 개발하느냐에 달려 있음

 

 ※ 단순 제품 판매를 넘어 에너지저장 결합된 시스템을 개발하고 를 운영할 수 있는 솔루션을 개발해 세계 시장을 개척해야 함.

<그림 1. 2016년 세계 신재생에너지 시장 전망>

                                                  (단위 : GW)

 

          ecfff44cf163bd56f890270094853122_1460373 

              자료 : New Energy Finance, 전망은 수출입은행

 

<그림 4. 2040년 세계 태양광시장 전망>

 

ecfff44cf163bd56f890270094853122_1460373
 

             자료 : New Energy Finance 

ecfff44cf163bd56f890270094853122_1460373
 

- 에너지경제연구원은 ‘2016년 세계 권역별 주요 에너지 슈 전망’  (2016.1.8.)에서 주요 국가들의 에너지 현안 슈에 대해 소개

 

· 중국

 

 ※ 2016년에도 심각한 대도시 대기오염 문제 해결과 국제사회에 공표한 INDC 목표 달성 위해 비화석에너지 비중 증대와 비전통가스(청정석탄, 셰일가스, CBM 등) 개발 촉진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에너지 수급구조 개선 노력 가속화될 전망

 

 ※ 중국 정부가 2015년 하반기에 전기자동차 시장 육성을 위해 관련 정책을 잇따라 발표했고, 전기자동차 충전 인프라 확충 사업을 계속 추진하고 있어 관련 시장의 활성화가 예상됨

 

 ※ 일대일로(一帶一路, 실크로드 경제벨트와 21세기 해상 실크로드), 저우추취(走出去, 해외진출)를 통해 주변국 및 자원부존국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안정적인 석유・가스 수입루트를 확보하려는 정부 차원 노력 더욱 증대될 것임

 

· 일본

 

 ※ 센다원전을 시작으로 원전 재가동 점차 가속화되고 있는 가운데, 석유·가스 등 발전용 화석 연료 수입 감소하고 에너지 자급률 상승할 것임

 

 ※ 2016년 4월 전력소매시장 및 2017년 4월 가스소매시장 전면 자유화를 앞두고 에너지 및 비에너지 기업 간 합종연횡 더욱 활발해질 것임

 

 ※ 재생에너지발전 고정가격 매입(FIT) 실시 후, 태양광 편중 현상과 전력소비자들의 부담 가중 문제가 심각하게 나타났는데, 2016년에 FIT 제도의 개혁작업 구체적으로 추진될 것임

 

· 미국

 

 ※ 청정전력계획(CPP)에 대한 州별 준수계획안 제출 2016년 9월로 예정되어 있는데, CPP 시행에 대해 소송을 제기한 27개州는 고의적으로 부적절한 준수계획안을 제출하여 논쟁을 부추기려고 할 것으로 예상됨

 

 ※ 오바마 정부는 에너지·환경 분야에 신규 규제를 적극적으로 도입하려 할 것으로 예상됨

 

   ⇒ 석유·가스정에서의 가스 소각·방출 규제 초안 예정(토지관리국)

   ⇒ 국유지 내 유정에 대한 석유·가스 측정 규제 최종안 예정

 

 ※ 태양에너지 세제혜택(투자세액공제: Investment Tax Credit)을 2019년까지 연장하는 법안 통과됨으로써(2015.12) 2016년에 태양광 산업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됨

 

· 유럽

 

 ※ 영국은 2015년 재집권에 성공한 보수당 2기 정부의 긴축재정 기조를 어 향후 육상풍력,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에 대한 정부지원을 축소하는 한편, 셰일자원 개발 활성화, 석탄화력 발전 비중 축소 등의 에너지정책 노선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됨

 

 ※ 독일 정부는 에너지전환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는 한편, 재생에너지 지원에 따른 경쟁력 약화, 원전폐쇄비용 부담 등으로 경영난을 겪어 온 메저 에너지 기업은 시장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구조조정 행에 본격적으로 나설 전망임

 

 ※ 프랑스 정부는 에너지전환법 공포(2015.8) 후 자국의 에너지전환과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에너지효율 개선, 수송 및 대기오염방지, 순환경제, 재생에너지 등 여러 부문에 걸쳐 기후·에너지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계획임

 

· 아시아 및 호주

 

 ※ 인도는 COP21 협정에 따른 INDC 행의무에도 불구하고 석탄 생산 및 소비를 계속해서 증대시킬 것으로 전망됨

 

 ※ 인도네시아는 가스수요 증대에 대비하여 LNG 수입・판매 사업자 선정과 수입터미널 추가 확충을 포함한 LNG 수급 안정화 정책을 적극 추진할 것으로 전망됨

 

 ※ COP21 파리협정 체결 후 대내・외적으로 호주의 친석탄 에너지정책에 대한 압박 가중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근본적 산업구조개혁 없 기존 에너지정책 기조가 크게 변화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됨 

ecfff44cf163bd56f890270094853122_1460373
 

- REN21(21세기를 위한 재생에너지 정책 네트워크)은 ‘2015 재생에너지현황보고서’ (2015.6.18.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녹색에너지전략연구소 번역)에서 2014년에는 재생에너지 시장 성장하면서 전 부문에서 개발과 보급에 상당한 진전 나타났으며, 또한 수송과 난방부문의 전기화(electrification)는 미래 기술간 융합 잠재력의 높은 가능성을 나타냈다는 점을 강조

 

· 발전: 석탄과 가스의 추가용량보다 더 많은 재생에너지용량 추가됨

 

 ※ 2014년 재생에너지는 전세계 신규설비용량 순 추가의 약 58.5%를 차지. 모든 지역에서 신규설비가 상당히 증가했고, 풍력, 태양광, 수력 대부분을 차지. 2014년 말, 재생에너지는 전세계 발전용량의 약 27.7%를 차지했는데, 전력의 약 22.8%를 공급할 수 있는 양

 

 ※ 호주, 유럽, 일본, 북아메리카에서는 주거지형 프로슈머(자신 쓸 전기를 생산하는 전기고객)의 수가 상당히 증가. 2014년에 전세계 대기업과 공공기관들은 재생에너지 전력을 구매하거나 자가설비에 투자하는 등 상당한 기여를 함

 

· 냉난방: 느린 성장, 하지만 큰 잠재력-에너지 전환의 핵심

 

 ※ 2014년 세계 최종에너지소비의 약 절반은 건물과 산업에 필요한 열을 제공하기 위해 들어감. 중 약 8%를 현대적인 재생에너지(대부분 바오매스)가 차지

 

 ※ 유럽에서 재생에너지는 지역냉난방시스템에 더 많 통합되었고(공급 수요를 초과할 때 지역냉난방시스템을 용하여 재생에너지 전기로 생산된 열을 흡수), 하브리드시스템을 용하여 다양한 열에너지 기기를 작동

 

· 수송: e-mobility가 급성장하는 가운데, 바오연료가 주도

 

 ※ 수송부문의 정책, 시장, 산업의 주요 관심은 액체 바오연료임. 수송부문에서 재생에너지 비중은 아직 크지 않고, 그 중에서도 액체 바오연료가 대부분을 차지

 

 ※ 바오연료를 위한 신규시장과 신기술 개발(상업용 항공기들 항공용 바오연료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은 2014년에도 지속되었고, 바오메탄은 차량연료로 사용되고 있음. 열차, 경전철, 트램, 2륜 및 4륜 전기차 전기공급 확대는 재생에너지가 수송에 통합될 수 있는 기회를 넓히고 있는 중 

 

· 바오매스에너지: 열, 발전, 수송을 위한 바오매스

 

 ※ 바오-열 포트폴리오의 구성은 지역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는데, (미국처럼) 산업에서 대규모로 생산되기도 하고, (중국처럼) 가정용 소규모 바오 소화장치의 수가 크게 늘기도 함. 전세계 바오-전력 생산량은 약 9% 증가했다. 추가설치용량은 중국, 브라질, 일본 많고, 상대적으로 추가용량은 적었지만 발전량은 미국과 독일 높음

 

· 지열에너지: 느리지만 꾸준한 성장

 

 ※ 2014년에는 약 640MW가 신규설비가 추가되어 누적용량 12.8GW에 달했고, 약 74TWh의 전력을 생산. 지열산업은 프로젝트개발에 따른 위험에 지속적으로 직면하고 있고, 개도국과 선진국에서는 리스크를 완화하기 위한 노력 진행 중

 

· 수력발전: 재생에너지 중에서 아직은 가장 거대함

 

 ※ 2014년에는 약 37GW의 신규설비가 추가되어 전세계 총용량은 약 1,055GW에 달했고, 발전량은 3,900TWh로 추정. 중국(22GW)은 지금까지 가장 많은 용량을 설치했고, 브라질, 캐나다, 터키, 인도, 러시아에서도 상당한 용량 추가되었음

 

· 해양에너지: 지체된 전진 하지만 전도가 유망함

 

 ※ 해양에너지 용량은 대부분 조력 발전용량며, 2014년에도 약 530MW 수준에 머물렀음. 신규설비는 모두 일종의 실증프로젝트였으며, 두 개의 파력개발회사가 어려움에 직면했고, 해양에너지 분야에서 해당사자들을 엮어 문제해결과 협력을 추구하는 목적에서 유럽해양에너지포럼 발족

 

· 태양광발전: 신규시장으로 급속하게 확산

 

 ※ 태양광은 설치비용 하락으로 보조금을 받지 않고도 화석연료와 비용경쟁 가능해졌음. 2014년에 약 40GW의 설비가 보급되었고, 누적 설치량은 약 177GW에 달해 새로운 기록을 달성했는데, 신규설비는 대부분 중국, 일본, 미국에 설치

 

· 집광형태양열 발전: 기술과 기기의 다각화

 

 ※ 집광형태양열 발전시장은 다른 재생에너지 시장보다 아직 미숙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10년간 높은 성장세를 보여 총용량 4.4GW(27% 성장)에 달함. 포물선 구유형 발전소가 계속해서 기존용량의 대부분을 차지했지만, 2014년에는 기술 다각화로 세계최대 선형프레스넬 발전소와 타워형 발전소가 건설됨

 

· 태양열냉난방: 신규시장의 성장과 기존시장의 둔화

 

 ※ 태양열 기술 보급은 유럽과 중국시장의 침체로 2014년에도 성장 둔화. 태양열 집열기 누적용량은 2014년 말 약 406GWth에 도달했고(공기식 집열기는 추가로 2GWth 늘어났다), 로써 연간 약 341TWh의 열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으며, 중국은 태양열 집열기 시장의 약 80%를 차지

 

· 풍력발전: 신규 전력생산을 위한 가장 저렴한 선택지

 ※ 전세계 풍력시장은 다시 반등하여 2014년 말 51GW를 신규설치 함으로써(모든 재생에너지 기술 중에서 최고용량) 누적 설치량은 370GW에 달함. 해상에서는 약 1.7GW의 추가용량 전력망에 연결되어 해상풍력 설치량은 8.5GW를 넘어섰음 

ecfff44cf163bd56f890270094853122_1460373
ecfff44cf163bd56f890270094853122_1460373
ecfff44cf163bd56f890270094853122_1460373
 

- Duke대학의 Center for Sustainability and Commerce는 ‘바오기반 경제를 지향해야 하는 유: 급부상하고 있는 바오경제의 기회’ (2014.6.15.)에서 바오경제를 지속적으로 확장시키는 과정에서 여러 난제에 직면할 수 있는데, 러한 난제에는 기후 및 심각한 기상 영향의 증가, 수자원 부족 및 시장의 안정성 문제 심화가 있으며, 무엇보다도 바오기반 제품을 만드는 데 필요한 원료(raw material)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방안을 찾아야 한다는 점을 제기

 

· 2015년까지 바오기반 화학 물질은 화학 시장의 10%상을 차지할 것으로 보며, 폴리유산(polylactic acid; PLA)나 폴리히드록시알카노에트(polyhydroxyalkanoates, PHA)와 같 상업화된 폴리머(polymer)는 경제시장에서 미 강력한 입지를 굳히고 있으며 연간 10-30% 범위의 성장률을 보고 있음

 

 ※ 2012년에 PLA와 녹말기반(starchbased) 폴리머는 바오분해성(biodegradable) 물질 총 소비량의 각각 47% 및 41%를 차지

 

· 바오기반 제품란 상업적 및 산업적으로 모두 사용되는 제품을 의미하며, 제품 전체 혹은 상당 부분오성/재생가능성 농업 재료 혹은 산림 재료로 만들어진 것임

 

 ※ 바오폴리머(biopolymer)는 석유화학 재료를 일부 대체하는 데 사용할 수 있음. 바오폴리머는 식물, 수목, 박테리아, 조류(algae)나 기타 바오원에서 추출한 고분자(macromolecule)며, 화학결합에 의해 연결된 분자들구성하는 긴사슬 형태를 함. 바오폴리머는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것고, 여러 가지 다양한 과정(예: 식물의 유전 변형, 탄수화물 변환(starch conversion) 및 미생물 변환(microbial conversion))을 통해 생산할 수 있음

 

 ※ 바오플라스틱은 전체 혹은 일부가 재생가능원(renewable resource)로 루어진 플라스틱을 의미. 바오플라스틱에는 녹말플라스틱, 셀룰로오스 중합체(cellulosic polymer), PLA, 바오기반 1, 3-프로판디올(PDO)에서 기인한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염산(PTT), 폴리아미드(나일론), 폴리하드록시알카노에트(PHAs), 폴리에틸렌(PE), 바오기반 PE에서 기인한 폴리비닐염화물(PVC), 기타 바오기반 열가소성수지(폴리부틸렌 테레프탈염산, PBT), 폴리부틸렌 호박산염(PBS), 폴리에틸렌 테레프탈염산(PET), 폴리에틸렌코소솔비드 테레프탈염산 폴리머 (polyethylene-co-isosorbide terephthalate polymer, PEIT), 폴리에스터 기반 PDO, 바오기반 폴리올에서 기인한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R), 마지막으로 바오기반 열경화성수지가 있음. 전 세계 플라스틱 시장에서 바오플라스틱은 300,000 메트릭톤에 달하는 비중을 차지

 

 ※ 바오공정(bioprocessing)에는 다양한 요소들을 사용하는데, 에는 미생물, 효소 및 펩타드(petide)가 포함된다. 효소는 생물학적으로 생산되는 단백질로서 스스로를 변형하거나 파괴하지 않고도 ‘화학 과정의 촉매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바오공정에서는 효소가 화학변형을 촉진시켜 다양한 유형의 화학물질을 생산하는 능력을 활용함. 효소는 식량, 직물(textile), 가죽제품, 펄프(pulp)와 제지, 곡물 및 세제를 공정하는 데 산업적으로 사용. 전형적으로 효소는 탄수화물 기질(carbohydrate substrate)의 발효작용을 통해 생물학적으로 생산

 

· 바오기반 시장의 시장 비중을 높려고 노력하는 주된 유는 미국의 석유 의존성을 낮추기 위해서 임. 뿐만 아니라 바오기반 제품을 널리 사용할 경우 농촌 경제를 재활성화시키는데 도움 될 수 있으므로  촌의 정부 보조금에 대한 의존성을 완화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지역 내  생 자원에 기반한 자급자족 부문을 창출하는 데에도 도움 될 수 있음

 

 ※ 바오기반 제품의 구입률을 증대시키는 데 있어서, 공공 물품 조달 시 정부가 의무적으로 특정량만큼의 바오기반 제품을 구매하도록 하는 것은 계속해서 지원되어야 함. 그러나, 바오기반 제품을 구매하려는 미국 소비자가 점차 많아지고 있는데, 는 구매 결정시 환경영향을 고려하는 대중의 인식 고취되고 있기 때문 

ecfff44cf163bd56f890270094853122_1460373
ecfff44cf163bd56f890270094853122_1460373
 

52
  • 기사입력 2016년04월11일 20시16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