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이슈 TOP 10'은 빅데이터 전문회사인 (주)타파크로스(TAPACROSS)가 매주 조사해 발표하는 자료입니다.

2월 3주 TOP 10 키워드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15년02월23일 18시22분
  • 최종수정 2015년02월23일 18시22분

작성자

메타정보

  • 51

본문

123
1. 이완구 국무총리 취임(Buzz 80,304) - 왜곡된 언론관 등으로 부적격 논란을 빚어 왔던 이완구 국무총리 후보자가 지난 16일 인준 되었다. 이날 표결에는 새누리당 155인, 새정치민주연합 124인, 무소속 2인 등 총 281인이 참석했고, 찬성은 148표, 반대 128표, 무효 5표의 결과가 나왔다. 이후 23일 취임 후 처음으로 정부 세종청사에서의 공식 활동을 시작했다.
 
2. <킹스맨> 콜린퍼스(Buzz 77,757) - 영화 킹스맨이 설 명절 극가를 점령하면서, 주연 배우 콜린퍼스가 연일 화제다. 영화 속 그의 수트와 영국식 발음에 빠진 팬들은 그의 젊은 시절의 작품들까지 찾아보며 ‘콜린퍼스 앓이’ 중이다. 이런 기세를 몰아 이번 설 연휴에 청소년 관람불가 영화임에도 불구하고 누적 관객수 233만을 기록했다.
 
3. 겨울 황사의 습격(Buzz 22,916) - 22일 전국에 짙은 황사가 나타나 주의보가 발령됐다. 기상청은 서울과 경기도에 황사경보를 충청도, 전라도, 강원도, 경상북도 일부지역에 황사주의보를 발효했다. 이번 황사는 늦은 오후부터 점차 악화될 것으로 예상되며, 출근길에는 마스크를 꼭 챙겨 중금속 및 각종 오염 물질이 섞인 모래 먼지를 피하고, 가급적이면 외출을 삼가는 편이 좋다.
 
4. ‘저가 담배’ 해프닝(Buzz 18,484) - 담뱃값 인상의 후폭풍을 잠재우기 위해 여당에서 내놓은 ‘저가 담배’ 아이디어를 놓고 야당은 국민건강을 담보로 한 포퓰리즘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올 1월부터 세금을 올려 담뱃값을 인상하면서 시종 ‘국민건강 증진’을 이유로 내세웠던 것이 실상 국민들을 우롱한 것이 아니냐는 것이다. 이에 유승민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지난 22일 검토 차원에서 나온 이야기고 당 추진할 계획은 전혀 없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5. 새학기 시작(Buzz 14,713) - 3월 초 개학과 개강을 앞두고 SNS의 반응이 뜨겁다. 대부분의 반응은 개강과 개학이 싫다는 이야기였고, 특히 대학생들 사이에서 많이 퍼진 이야기는 ‘봉구스 밥 버거’ 가격 인상 건(RT 3,063)이었다. 이 밖에 매스미디어에서는 새학기를 맞은 초중고 학생들의 교복 준비, 감기 조심 등에 대한 내용들이 보도되었다.
 
6. <아빠를 부탁해>(Buzz 9,246) - SBS 예능프로그램 ‘아빠를 부탁해’가 설 연휴 기간 방송된 특집 예능프로그램 중 가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다. ‘아빠를 부탁해’는 50대 아버지가 20대로 성한 딸과 함께 시간을 보내며 서먹해진 부녀관계를 회복하는 콘셉의 프로그램이다. 부성애 코드가 시청자들에게 공감대를 높였다는 평이다. 
 
7. 박영옥 여사 별세(Buzz 5,680) - 김종필 전 국무총리의 부인 박영옥 여사가 향년 86세의 나이로 별세했다. 박 여사는 김 전 총리가 9선의 국회의원과 4개 정당 총재를 지내는 지난 64년 동안 곁에서 한결같이 그림자처럼 내조해온 것으로 평가 받고 있다.
 
8. 드라마 <펀치> 종영(Buzz 4,312) - 지난 17일 드라마 펀치가 자체 최고 시청률을 기록하며 종영했다. 그동안 펀치는 살아있는 캐릭터와 배우들의 명품연기로 호평을 받아 왔으며, 마지막회까지 이 같은 흐름을 잘 이어 나간 웰메이드 드라마로 평가 받고 있다. 
 
9. 다케시마의 날 규탄(Buzz 1,729) - 지난 22일 일본의 시마네현이 ‘다케시마의 날’ 행사를 강행한 가운데, 서울 도심에서 이를 규탄하는 집회가 열렸다. 일본 정부가 이 행사에 정부 고위급 인사를 참석시키며 이러한 행태를 3년째 반복하는 것에 대해 한국측 정부에서도 “역사 퇴행적 행위”라며 강하게 비판하고 나섰다. 한편, 다케시마 섬은 독도의 일본식 명칭이다.
 
10. 국세청 환급금(Buzz 965) - 국세청 세금 환급금 조회 서비스가 화제다. 국세 환급금은 세법 변경 및 초과납부, 감면액 등으로 인해 발생하며 그외 납세자 착오, 납세자의 세금부과 반발로 인한 조세심팜원에 불복 청구를 해 이겼을 경우에 발생한다. 현재까지 환급금 대상자는 39만명, 액수는 37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환급금 조회는 국세청 홈페이지의 국세 환급금 찾기 메뉴를 통해 조회가 가능하다.
 
51
  • 기사입력 2015년02월23일 18시22분
  • 최종수정 2016년02월26일 17시57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