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미래연구원은 국민행복에 도움이 되는 사회적 담론 형성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상세검색

고려대 교수 전체검색 결과

게시판
1개
게시물
37개

4/4 페이지 열람 중


김광두의 1년 후 게시판 내 결과

  • 청년 고용문제, 이대로 둘 것인가? 새창

    2008년 9월의 “리만 도산”으로부터 시작되었던 세계 금융위기도 어느덧 5년이 지났습니다. 이 지난 5년 동안 우리 경제에는 어떤 변화가 있었을까요? 우리 경제는 위기를 제대로 극복한 것일까요? 일본과 영국은 경제규모가 2012년에도 2007년 수준을 회복하지 못한 것에 비교한다면 동기간중 약 15% 정도 경제규모가 커진 우리나라 경우는 성공적으로 세계 금융위기를 극복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입니다. 또 실업률은 지난 8월 실업률은 2008년 8월 3.1%보다 0.1% 낮은 3.0%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겉장…

    김 동원, 고려대 초빙교수(admin) 2013-10-08 22:42:54
  • 명암이 엇갈린 두 나라 10년 이야기 새창

    영국 경제에 대하여 2012년 12월 6일자에 “When the sunshine breaks through..”(언제 해 뜨는 날이 올 것인가?)라는 기사로 빈정거렸던 The Economist 지가 금년 3월 16일자에는 “Germany’s labour market Wunderreform”(독일의 노동시장, 놀라운 개혁)이라는 기사로 독일의 노동시장 개혁을 칭찬했다. 영국 경제는 2012년 GDP가 아직도 세계 금융위기 전인 2007년 수준을 회복하지 못한 반면에 독일의 GDP 규모는 2007년 수준보다 3.5% 증가하여 유럽의 두…

    김 동원, 고려대 석좌교수(admin) 2013-09-21 16:56:45
  • 중국경제 먹구름이 다가온다. 유비무환 새창

    국제통화기금(IMF)은 최근 중국경제의 경착륙위험을 경고했다. 중국이 구조개혁은 뒤로 미룬 채 돈을 풀어 경기부양을 하면 5년 이내에 경제성장률이 4%대로 반토막 난다는 것이다. 2008년 세계경제위기 이후에 중국정부는 대규모 재정지출과 신용팽창을 통해 경기를 떠받쳐 왔는데, 그 부작용으로 과도한 부채와 과잉설비라는 구조적 취약성이 노정되고 있다. 이를 방치하면 중국경제가 큰 위기에 빠질 것임은 분명하다. 이는 1990년대의 한국과 닳은 꼴이다. 한국도 대기업의 과잉부채와 방만투자를 방치했다가 외환위기를 겪었던 것이다. 문제는 중국…

    이 경태, 고려대 삭좌교수(admin) 2013-07-28 07:12:35
  • 전자금융거래법/전자서명법 개정을 촉구한다 새창

    현재 국회에는 전자금융거래법/전자서명법 개정안이 상정되어 있다. 일각에서는 이 법안들이 마치 공인인증제도를 폐지하거나, 익숙하게 사용해 오던 공인인증서 등의 보안 기법을 '갑자기' 바꾸게 되어 혼란을 초래하지 않을까 염려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염려는 이 법안 내용을 오해한 탓이다. 전자금융거래법 개정안은 "금융위원회는 보안기술이나 인증기술의 공정한 경쟁을 저해하거나, 특정 기술 또는 서비스의 사용을 강요하여서는 아니 된다"라는 내용이 전부다. 지난 10여 년 동안 정부는 금융거래에 공인인증서를 반드시 사용하…

    김 기창, 고려대 교수(admin) 2013-06-21 00:50:15
  • Servitization 새창

    기업 경쟁력의 초점은 시대가 변함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화해 왔다. 예전에는 ‘원가의 최소화’가 중요했지만, 점차 ‘품질의 최대화’로 초점이 옮겨졌다. 그러다가 80년대에는 다양한 고객의 욕구를 충족시켜야 하는 ‘유연성’이 중요해졌고, 90년대에는 고객 욕구를 빠른 시일 내에 충족시킬 수 있는 납기가 중요해졌다. 그러다가 2000년대에는 ‘서비스’의 중요성이 아주 커졌다.예를 들어, iPod의 성공은 iTunes라는 서비스가 있었기에 가능했다. 제품과 서비스의 상승효과로, 지난 10년 간 무려 100억 곡 이상의 음악이 다운로드되었고…

    박 광태, 고려대 교수(admin) 2013-06-09 10:24:01
  • 기업 수익성 악화와 부실 위험 새창

    - 2012년 12월 결산법인 624개사를 분석하면 놀라운 사실이 드러난다. 우선 삼성전자의 영업이익은 전년도 대비 89.7%가 상승했으나 삼성전자를 제외한 나머지 623개사의 영업이익은 21.5%가 감소했다. 또한 상위10개사의 영업이익은 2011년 대비 약 13.6%가 증가했지만 상위10개사를 제외한 나머지 기업들의 영업이익은 2011년 대비 23.1%가 감소했다. 이것은 한국경제의 상위10개사에 대한 의존도가 훨씬 더 심화되었다는 것이다. - 또한 이자보상배율(영업이익을 통해서 이자를 얼마나 낼 수 있는가의 비율)을 살펴보면 …

    김 동원, 고려대 초빙교수(admin) 2013-05-29 05:52:58
  • 공정사회 구현 새창

    대한민국 사회에서 각종 차별이 존재하는 것은 엄연한 현실이다. 이러한 차별을 없애고 사회통합의 위한 열쇠는 바로 공정사회 건설에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한다. 공정사회 건설로 인해 이념 계층, 세대, 지역갈등 해소의 출발점이 되어야 할 것이다. 사회가 공정하면 소속감과 동질감이 높아져 갈등이 해소되고 사회통합이 이루어질 것이다. 공정한 경쟁을 위한 사회적 제도는 보육과 교육의 기회를 균등하게 제공하는 복지정책이다. 이를 위해서 사회지도층이 먼저 공정사회를 위해 모범을 보여야 할 것이다. 공정사회는 경쟁촉진적인 정책에 대한 지지를 높여 …

    이 경태, 고려대 석좌교수(admin) 2013-04-02 22:5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