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미래연구원은 국민행복에 도움이 되는 사회적 담론 형성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상세검색

최 전체검색 결과

게시판
1개
게시물
4개

1/1 페이지 열람 중


정책체감조사 게시판 내 결과

  • 2015 상반기 2040 주요 정책효과 체감 조사 결과 보고서 (1)공무원 연금 및 증세 중심 새창

    공무원연금 개혁 ‘너무 불충분하다’ 75.7%응답자 90.7%가 국민의견수렴 ‘부족했다’무상복지 재원 세 부담 ‘의향이 없다’ 55.5%지난해 하반기(64.3%)보다줄어 증세 불가피성 인식 높아져증세 우선순위 법인세, 상속․증여세, 소득세, 부가가치세 順1. 근 국회를 통과한 공무원 연금 개혁 내용에 대해 ‘너무 불충분하다’는 2040세대들의 평가가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이러한 공무원연금 개혁안을 마련하는데 있어서 국민 의견수렴 등 소통 노력이 너무 부족했다는 지적이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2. 국가미래연구원이 여론조사 기관…

    소통팀, 국가미래연구원(admin) 2015-07-01 19:58:24
  • 2014 주요 정책효과 체감조사 결과 보고서 (2)경제정책 중심 새창

    경제정책 운용 “잘 못하고 있다.”는 평가 높아 내수활성화 시책 “성과 없었다.” 80% 저소득층 월세 대책 “부담경감 효과 없을 것” 74% 지역혁신센터 “창조경제실현 도움 되지 않을 것” (64%) 부정적 경제 발전 위한 창조경제 패러다임 필요성, 갈수록 낮아져 1. 박근혜정부의 전반적인 경제정책 운용평가에서 “잘 못하고 있다”는 응답이 72.6%로 높게 나오고 있고, 특히 창조경제에 대한 이해도가 여전히 낮을 뿐만 아니라 대통령 임기 내 실현도 어려울 것이라는 응답이 전체의 78%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2. 특히 경환 …

    국가미래연구원(admin) 2014-12-14 22:28:20
  • 2014상반기 2040주요정책효과_체감조사보고서(1) 국가혁신중심 새창

    조사 결과 요약 1. 국가혁신에 대한 인식 2040을 대상으로 정부의 국가혁신정책 추진에 대한 인지도를 알아본 결과, ‘알고 있다(매우 잘 알고 있다 + 약간 아는 편이다)’라는 응답은 44.8%로 ‘모른다 (전혀 모른다 + 약간 알지 못하는 편이다)’는(55.2%) 응답보다 10.5%정도 낮은 것으로 나타남. 정부의 국가혁신정책의 효과 예상에 대한 질문한 결과, 2040 전체 응답자 4명중 1명 정도인 26.2%만이 ‘효과가 있을 것이다(매우 그렇다 + 약간 그런 편이다)’라고 긍정적으로 응답한 반면, ‘효과가 없다(전혀 그렇지 …

    국가미래연구원(admin) 2014-11-29 08:34:33
  • 2014 주요 정책효과 체감 조사결과 보고서 2 - 국가 혁신 중심 - 새창

    “정치(인)가 변해야 나라가 산다.” 2040대상 주요정책 체감도 조사 결과 “가장 많이 변해야 하는 집단, 정치인 ” 68% “국가혁신 주도는 대통령(실) 38%로 가장 많아. “김영란법이 부정부패 줄일 수 있다” 긍정43% 부정57% 경제혁신 3개년계획, “공공부문개혁이 가장 중요하다.” 1. 박근혜 정부의 국가혁신에 대한 정책체감도 조사결과 “정치(인)가 변해야 국가혁신이 이뤄진다는 인식이 팽배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미래연구원이 여론조사기관인 (주)베스트인사이트에 의뢰해 전국의 2040세대 1,007명을 대상으로 ‘2014 …

    국가미래연구원 소통팀(admin) 2014-11-04 14:56: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