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미래연구원은 국민행복에 도움이 되는 사회적 담론 형성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상세검색

디지털 전체검색 결과

게시판
1개
게시물
174개

18/18 페이지 열람 중


보고서 게시판 내 결과

  • 2013년 문화체육관광부 업무보고 평가서 (관광분야) 새창

    [보고서3] 문화체육관광부 관광분야 업무분석 보고서 문화예술체육관광분과 정책 전반에 관한 의견 ∘현 정부의 문화‧관광분야의 큰 방향성과 목표를 제시했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으며, 제시된 방향에 따른 세부 정책 마련이 필요 ∘문화체육관광부의 주요정책방향인 “문화융성과 문화가 있는 삶”의 하위정책과제 중 하나인 “경제를 키우는 문화” 아래 제시된 ‘고부가가치 산업육성’은 앞으로 관광분야 정책 전개에 있어 중요한 기조가 될 것이라 판단됨 ∘관광분야정책 전반에서 “산업”적 측면에 대한 인식이 상당히 부족하다고 판단됨 ∘지금까지 고부가가…

    문화예술체육분과(admin) 2013-11-30 23:36:36
  • 소프트웨어산업 육성의 성공조건 새창

    (보고서의 내용은 동영상으로도 제작되어 있습니다. http://ifs.or.kr/bbs/board.php?bo_table=board_tech&wr_id=8) 우리나라의 소프트웨어 산업은 한마디로 매우 열악하다. OECD 19개국 중에서 14위에 불과하다. 시장규모도 20조원 수준으로 작아서 全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 불과하고 그 성장률은 1% 내외다. 우리나라 소프트웨어 기업은 대체로 영세하고 글로벌 경쟁력이 취약하다. 대부분 매출 10억원 미만 기업들이다, 소프트웨어 기업의 낮은 수익성은 소프트웨어 개발자에 대한 낮…

    김 진형, KAIST 교수(admin) 2013-05-01 01:01:37
  • 콘텐츠 산업의 일자리 창출 정책 새창

    콘텐츠 일자리 창출 추진 비전 창조적인 일자리를 선도하여 우리나라를 창조경제로 변화시키고 글로벌 콘텐츠 강국 실현 추진 목표 : 콘텐츠 산업에서 10만명의 일자리 창출 (2013-2017) 콘텐츠 일자리 창출 추진 방향을 크게 두 가지로 본다면, 첫째로 ‘공급주도형 정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즉, 재정지출을 확대하는 수요 유도형보다는 신규 고용을 조건으로 하거나 직접 일자리를 만드는 정책이 효율적이라는 의미다. 둘째로, ICT 생태계, 즉 C-P-N-D 생태계에서 그동안 P N 중심이었다면 이제는 P N 과 함께 C…

    김 대호, 인하대 교수(admin) 2013-04-28 08:11:18
  • 창조경제와 그 성공조건 새창

    ‘창조경제’란 무엇일까? “창조력, 응용력, 실천력 등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면서 중소‧벤처기업의 창업이 활성화되고, 중소‧대기업 간의 상생구조가 정착되어 일자리 창출형성장이 선순환되는 경제”로 정의하고자 한다. 특히 디지털 시대에서는 실물자산, 금융자산보다 지식자산의 중요성이 더 커지게 되는 경제구조가 될 것이다. 창조경제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7가지 여건조성이 매우 중요하다. ① 창조활동의 위험부담을 흡수할 수 있도록 경제적 여건을 만들어야 함. ② 기술과 아이디어의 융합을 이끌어 갈 창조적 인력의 …

    김 광두, 국가미래연구원 원장(admin) 2013-04-02 17:2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