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미래연구원은 국민행복에 도움이 되는 사회적 담론 형성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상세검색

진 전체검색 결과

게시판
24개
게시물
11,393개

1,121/1,140 페이지 열람 중


김광두의 1년 후 게시판 내 결과

  • 통일의 길(上), 통일은 왜 대박인가? 새창

    한반도선화재단 박세일 이사장님으로부터 '통일의 길(上), 통일은 왜 대박인가?'에 대한 말씀을 들어봅니다.한반도문제 전문가들은 대체로 2가지 견해를 가지고 있다.그 중 첫 번째 견해가 한반도에 통일의 기회가 가까워지고 있으며 통일이 되면 남과 북의 경제가 욱일승천(旭日昇天)할 것이라는 것이다. 경제의 성장세는 결국 투자와 소비의 증가를 어떻게 만들어 내느냐에 달려있다. 투자는 고용을 일으키고, 고용은 소득의 증가를 일으키며, 소득증가는 소비의 증가로 이어져서 다시 새로운 투자를 일으키는 이러한 경제의 선순환구조를 만드는 것이 투자…

    박 세일, 한반도선진화재단 이사장(admin) 2015-08-13 18:45:43
  • 방위사업청 비리 근절되어야 한다 새창

    방위사업청(DAPA: Defense Acquisition Program Administration)은 2006년 1월 1일 국방부 외청으로 설립되었으며, 방위력 개선사업, 군수물자 조달, 방위산업 육성 등을 주 임무로 하고 있습니다. 통상 무기획득 업무는 소요기획, 획득, 운영유지, 분석평가 등 네 단계로 이루어집니다. 소요기획이란 육해공 각 군이 필요한 무기체계들을 기획하여 올리면 합참이 취합하여 최종적인 소요계획을 확정하는 과정입니다. 획득 단계는 재정, 예산, 집행 등으로 세분되는데, 재정계획을 수립하고 예산을 타내며 그 …

    김 태우, 동국대학교 석좌교수(admin) 2015-08-12 20:41:50
  • 광복 70주년과 3포세대 새창

    광복 70주년을 맞아 무언가 정리가 필요가 시점이 아닌가 해서 이야기를 드리고자 합니다. 돌이켜 보면 광복 70년의 지난 세월 동안 대한민국은 일제 식민지의 암울한 시대와 광복, 민족의 분단, 6.25 동란, 그리고 가난하고 어려운 시대를 견디면서 가난한 신생 후국에서 현재 1인당 국민소득 3만 불로 선국 수준에 육박하는 국가로 발전했습니다. 2차 대전이전 후국 중에서 전후에 선국이 된 나라는 싱가폴을 제외하고는 단 한 나라도 없었다는 사실을 고려해 본다면, 선국의 문턱에 이른 대한민국의 발전은 오바마 대통령이 아버지의…

    김동원, 고려대학교 경제학과 초빙교수(admin) 2015-08-08 22:09:27
  • [보수보 2차토론회] 토론_재벌 소유 지배 구조는 기업 국가 경쟁력에 독인가, 약인가? 새창

    “오너십은 기업·국가발전의 원동력이다”당면한 경제난, 재벌의 약탈적 지배구조 때문 만인가?향후 10년 한국경제 가장 큰 위험 ‘재벌3,4세 승계문제’연기금 등의 주주권 행사 통해 외부통제 강화해야 ▲김영배 한국경영자총협회 부회장어느 생태학자의 얘기에 따르면 지구상 존재하는 생물은 몇천만년의 화를 거쳐 가장 경쟁력 있는 모습으로 지금 존재한다는 것이다. 우리 기업이 몇 개의 1등 세계경쟁력을 갖춘 결과도 숱한 경쟁을 통해 살아남은 그런 살아있는 증거가 아닌가 싶다. 오너십은 대한민국 경제 발전의 원동력이라고 생각한다. 오너의 기여는…

    국가미래연구원(admin) 2015-08-01 20:42:44
  • [보수보 2차 토론회] 재벌의 소유지배구조는 기업 국가경쟁력에 독인가 약인가 새창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김우 교수님,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김우찬 교수님의 '재벌의 소유 지배구조는 기업국가 경쟁력에 독인가 약인가' 발제입니다. -국가미래연구원 ifs.or.kr-참고 보고서:1) 한국형 소유지배구조의 모색2) 재벌의 소유구조 그 문제점과 개선방안​

    국가미래연구원(admin) 2015-08-01 20:39:22
  • 북유럽을 가다 7 - 핀란드 고용정책 '성장동력을 찾아라' 새창

    다음은 지난해 8월 학계‧연구기관‧정부(창조일자리 그룹) 등 국가미래연구원 일자리팀 관계자들이 핀란드 고용경제부를 방문, 관계자들과의 면담을 통해 ‘핀란드의 고용정책’에 대한 설명과 토론을 토대로 작성한 보고서로 우리나라 고용정책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이 크다고 판단해 여기에 간추려 소개한다. 면담자는 △ Kimmo Ruth(Labor Market Counselor) △ Sakari Immonen(Head, Enterprise and Innovation Dept., Ministry of Employment and…

    국미연 일자리팀(admin) 2015-07-30 20:12:19
  • 북유럽을 가다 6 - Boxing & Dancing 스웨덴 노총 LO 새창

    스웨덴에는 3가지의 노동조합이 있다. 불루칼라 근로자들의 조직체인 LO, 사무직 근로자들의 조직체인 TCO, 공무원 및 전문직 근로자들의 조직체인 SACO가 그것이다.스웨덴의 노사관계는 ‘Boxing & Dancing'이라는 말로 표현된다. Boxing & Dancing이란 노동조합이 fighting만을 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임금협상을 할 때에도 사용자의 경영권에 대항하기 위해서 파업을 무기로 싸우는 것이 아니라 근로자의 실제적인 이익을 위해서 사용자단체와 사회적 파트너로서 협의하고 공동결정을 한다. 실…

    국미연 일자리팀(admin) 2015-07-29 16:05:58
  • 북유럽을 가다 5 - 스웨덴 혁신청 VINNOVA 새창

    스웨덴은 세계혁신순위 1위, 2009년 유럽 국가혁신순위 2위, 2010/2011년 국제경쟁력순위 2위를 차지하고 있음. GDP의 3.7%를 R&D에 투자하고 있으며, 년간 전체 R&D 투자금액이 1,180억 크로네 수준임.스웨덴의 혁신 키워드는 협동(collaboration)이며, 이를 주도하고 있는 것이 스웨덴 혁신청 VINNOVA임. VINNOVA는 연구개발과 연계한 혁신을 촉함으로써 경제성장과 번영을 달성하고자 설립한 정부기구임.o 스웨덴의 경쟁력 있는 기업 및 산업 부문에 연구개발자금을 지원하고 필요한 네트…

    국미연 일자리팀(admin) 2015-07-29 16:04:59
  • 북유럽을 가다 3 - 네덜란드 경제의 심장 SER (사회경제위원회) 새창

    1950년 설립된 공공기관인 네덜란드 사회경제위원회(SER, Social and Economic Council of the Netherlands)는 국가적, 국제적 이슈들에 대한 사회적 동의를 가져오는데 도움이 되도록 사용자대표, 노조대표 및 독립적 전문가그룹으로 구성된 정부 및 의회에 대한 자문기구임. 재원은 상공회의소를 통하여 조달함. 노동재단(Labor Foundation)과 더불어 국가적 차원의 협의기구임. 네덜란드 노동문제 협의 단계 1) 기업차원(company level): works councils -노동 관련 이슈로는…

    국미연 일자리팀(admin) 2015-07-28 20:13:08
  • 북유럽을 가다 2 - 스웨덴 ICT의 메카_KISTA Science City 새창

    스톡홀름 발전 모델, KISTA Science City 대기업과의 협력이 필요 정부, 산업, 그리고 교육의 삼중 나선간 협력 클러스터를 개발하기 위한 방법을 강구하기 위해 일렉트럼 재단 일을 시작하는데 도움을 주고, 시작과 동시에 간섭을 하지 않는다 한 방울로 큰 변화를 이끌어 내는 촉매제 1. 스톡홀름 발전 모델 - 스톡홀름은 인구가 적은 조그만 나라의 조그만 도시이다. 그렇기 때문에 스웨덴 회사들이 처음에는 정부 산하 기관의 도움으로 성장을 이루어 내지만, 회사가 커질수록 스톡홀름에 본사를 두기가 어려워지기에 정부와의 협력이 아…

    국미연 일자리팀(admin) 2015-07-27 20:49: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