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미래연구원은 국민행복에 도움이 되는 사회적 담론 형성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상세검색

격차 전체검색 결과

게시판
17개
게시물
1,057개

18/106 페이지 열람 중


News Insight 게시판 내 결과

  • 빅데이터 분석으로 본 2022년 대선 새창

    데이터는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대통령 선거일이 한 달여 앞으로 다가왔다. 설 민심이 분수령이 될 것이라는 전망들이 많았다. 설 민심의 최대 화두는 ‘정권연장’이냐 ‘정권교체’냐로 집약되는 가운데 민생, 코로나 방역, TV토론, 야권 후보 단일화 등이 거론됐다. 누가 이번 대선에서 최후 승자가 될까?  선거 결과를 예측하는 방법은 크게 전통적인 여론조사 방식과 빅데이터 분석 방법이 있다. 빅데이터 분석은 세대와 성별, 지역 등에 따라 표본 추출을 하는 여론조사와는 달리 온라인에 올라온 텍스트만 분석한다. 지난 2016년 미국 대선에서…

    김형준(db827) 2022-02-06 17:10:00
  • 메타버스, 밝음이 있으면 어둠도 있다. 새창

    메타버스 세상은 제2의 자아(alter-ego)라 불리는 아바타를 통해 세상과 소통하는 새로운 세계를 말한다.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의 “레디 플레이어 원”이라는 영화에서와 같이 인간은 가상세계와 현실세계에서 동시에 생활을 하게 된다. 이런 세상은 머나먼 미래가 아니라 이미 우리 곁에 와 있다. 이로 인해 권력은 국가, 언론, 자본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누가 그 세계에 얼마만큼 참여하는지가 중요해졌다.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암호화폐의 비트코인이나 온라인 게임의 로블록스, 메신저의 카카오, 라이프 로깅의 페이스북 등 이 모두가 힘…

    이상근(slee1028) 2022-01-23 17:10:00
  • <신년특집:2022년 사회정책> ‘사다리 복지’로 계층 간 이동성을 제고하자. 새창

    요즈음 복지 지출을 크게 늘리겠다는 대선 후보들의 공약이 빈번히 제시되고 있다.그러나 그 내용을 보면 우선순위가 현재의 생계비를 지원해주는 프로그램에 주어지고 있다.이런 성격의 복지 프로그램들은 취약계층의 생활에 도움을 준다. 특히 코로나19로 생존권에 위협을 받고 있는 현 상황에서 이런 도움은 절실하다. 그러나 시야를 좀 넓고 길게 보면 이것이 최선일까? 취약 계층의 사람이나 소상공인들이 평생을 복지비로 살아간다면 생계는 유지하겠지만, 희망과 보람이 없는 삶이 아닐까? 현재는 취약한 상황에 있다하더라도 이 사람이 미래에 좋은 일자…

    김광두(kidoo) 2022-01-11 17:10:00
  • 경제개발5개년계획 수립 60주년과 오징어 게임 새창

     “1961년 5·16혁명 직후에는 그 간의 정치·사회적 불안정에서 벗어나 경제번영을 달성함으로써 우리도 잘 살아 보자는 범국민적인 개발의지를 점화시키기 위한 노력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개발의지를 생산적으로 결집하고 경제개발을 계획적이고 체계적으로 추진하고자 하는 정책발상은 바로 경제계획의 도입과 경제기획원의 창설로 구체화되었다. 이에 따라 1961년 경제기획원이 창설되었으며, 이와 동시에 제1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의 수립작업에 착수하여 1962년 1월 5 일 이를 확정 발표하였다”     1962년은 임인년(壬寅年)이었…

    김동원(dwkim) 2022-01-07 20:30:00
  • <신년특집:2022 정치> 대통령선거 전망과 새 정부 국정 향방 새창

    올해는 대한민국 ‘대전환의 시대’ …국가 운명을 좌우할 ’중대 선거‘의 해​ ‘검은 호랑이 해’인 ‘임인년(壬寅年)’ 새해가 밝았다. 올해는 대한민국이 ‘대전환의 시대’를 맞이해야 할 중대 시기다. 올해 치러지는 대선(3월9일)과 지방선거(6월 1일) 결과가 이런 대전환의 방향과 내용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그런 의미에서 올해 양대 선거는 향후 국가 운명을 좌우할 ’중대 선거‘(critical election)’임에 틀림없다. 미국에선 대공황 시절에 민주당 루즈벨트 대통령 후보가 큰 정부와 뉴딜 정책을 내세워 승리한…

    김형준(db827) 2022-01-03 17:10:00
  • 디지털, 풀어야 할 노동의 근본적인 이슈 제기 새창

    2021년에 일과 노동에서 가장 큰 변화를 가져온 요인은 코로나19였다. 2016년 다보스 포럼에서 인공지능과 로봇 등의 디지털 기술의 발전에 의하여 5년 내 일자리 500만 개가 사라질 것이라고 전망하여 충격을 줬던 적이 있다. 당시는 전망에 불과했지만, 코로나19 팬데믹은 전세계에서 5억의 일자리를 감소시켰다고 세계노동기구(ILO)는 밝혔다.  그런데 사회적 거리두기에 따른 일자리 감소는 모든 일자리에 동등하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미국 노동부 장관을 역임한 로버트 라이시 교수는 코로나19로 인해 불평등이 더욱 심화돼 '노동 …

    이명호(myungholee) 2021-12-21 17:00:00
  • [FED WATCH 특집] 파월의장의 기자회견 Q&amp;A; 전문 새창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이후 15일(현지시간) 발표한 성명에서 자산매입 축소 속도를 현재의 2배로 높여 내년 3월 테이퍼링을 마무리하기로 했다. FOMC 위원들의 향후 금리 수준 전망을 나타내는 점도표(dot plot)에서는 내년 세 차례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까지 확인됐다. 18명의 위원 중 다수가 내년 기준금리가 0.75∼1.00% 수준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는데, 현재 미국 기준금리(0.00∼0.25%)를 고려하면 0.25%포인트(p)씩 세 차례 올릴 수 있다는 뜻이다. 파월 의장은…

    신세돈(seshin) 2021-12-16 15:19:00
  • 국가채무 1200조엔 넘는 일본, 재정파탄 피할 수 있나 <하> 저축-투자 불균형 시정이 답(答)이다 새창

    여야 포퓰리즘의 합창으로 성장전략과 재정건전성은 뒷전   아소정부의 경제부양정책 실패로 집권여당 자민당은 야당의 정권교체 공세에 적극적 조직적 대응이 어려웠고 정권재창출의 의지도 약했다. 2009. 9월 야당인 민주당에 의한 정권교체가 오히려 당연시 되었다. 동시에 일본이 처한 시대적 상황에 대한 민주당의 기본인식도 자민당과 사뭇 달랐다. 자민당은 공공사업과 공급경제학 입장에서 사회안전망 확립보다 경제활성화를 우선함으로써 고용 없는 성장, 수요부진 속에서 오늘날 working and housing poor 로 대변되는 격차사회, 성…

    김도형(dhkim) 2021-12-07 16:50:00
  • 국가채무 1200조엔 넘는 일본, 재정파탄 피할 수 있나 < 중> 적자대국은 ‘언제부터, 왜’ 새창

      일본은 언제부터 적자대국이 된 것일까. 앞에서 본 적자국 순위에서 사용되고 있는 국가채무잔고 수치를 본다면 일본은 80년대까지는 50~70% 수준을 유지해 왔다. 그러나 90년대 들면서 지난 20년간 일거에 2배로 급증했다. 90년대 후반에서 지금까지 일본의 재정운용은 적자재정의 지속이었다.   구조개혁 없는 대규모 경기부양책이 구조적 재정적자 키워   아시아금융위기 직전까지 20조엔, 99년 전후 최대불황 극복 시 38조, 고이즈미 구조개혁형 경기호황 시 25조~35조, 세계금융위기 극복 시 54조, 민주당 정부 때 45조, …

    김도형(dhkim) 2021-12-06 17:10:00
  • 위기의 ​가계부채, 해부와 해법 <5-중​> 부채 누적의 부작용과 문제점 ②​ 장기적 관점 새창

    3. 경제구조의 왜곡    부채 상환능력 이상으로 빚이 쌓이게 되면 빚을 진 사람 입장에서는 일할 의욕을 잃게 된다. 가계부채가 누적된다면 빚이 많은 가구가 늘어나고 일할 의지가 약화되는 가구가 점차 많아지는 문제에 직면하게 될 것이다.    또 다른 측면에서는 “한탕”을 노리는 경향이 강화될 수도 있다. 많은 빚을 진 채무자는 부채를 상환하기 위하여 위험도가 높은 프로젝트를 선택하려 할 것이기 때문이다. 지금의 “영끌” “빚투” 등의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 이러한 경향의 예로 볼 수 있다 1).     장기 투자 여력이 위축되…

    이종규(jglee) 2021-12-06 16:3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