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미래연구원은 국민행복에 도움이 되는 사회적 담론 형성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상세검색

양 전체검색 결과

게시판
24개
게시물
8,688개

832/869 페이지 열람 중


김광두의 1년 후 게시판 내 결과

  • 신속 PCR로 대면사회 앞당겨야 새창

    1. 오늘은 대면사회로 가는 길, 그 길로 빨리 갑시다 하는 말씀을 드리겠다. 특히 코로나 진단 시간을 굉장히 단축시키는 그러한 신종 PCR 진단 키트가 성공을 거두고 있다는 소식이다. 기존 PCR로서는 최소 6시간이 소요되는데 신속 PCR의 경우에는 그 소요시간이 절반 정도이고, 비용도 저렴하다.2. 그런데 지금은 전국적으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일부 제한적으로만 사용토록 제한하고 있다. 이를 빨리 개선해야 코로나19 극복과 대면사회 회복에 도움이 될 것이다.3. 신속PCR 진단 키트를 활용해서 성공한 사례는 많다. 일단 영국의 경우…

    공명재(mj123) 2023-02-28 14:56:28
  • 코로나19 방역의 모든 것(下): 기득권 탈피가 시급하다 새창

    - 지금 보시는 것은 우리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RT-PCR검사에 쓰는 기계다. 이거는 제가 인터넷에서 구할 수 있는 작은 사진이다. 여기에다 샘플을 1천개 이상을 한꺼번에 집어넣어가지고 검사를 할 수 있는 장비가 우리나라에 많이 보급이 되어 있다. 이 장비는 중합효소를 사용하는 유전자 증폭 장비라고 알려져 있는데 온도를 높였다가 낮추는 과정을 반복해야 한다.- 액체 상태의 검체를 가열했다가 식혔다가 다시 가열하는 일을 반복을 하려면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다. 그래서RT-PCR장비는 훈련받은 전문가가 작동을 해야 하고, 시간이 과거…

    이덕환(duckhwan) 2023-02-28 14:54:05
  • 코로나19 방역의 모든 것(上): 진단키트의 종류와 특성 새창

    - 지난해 11월부터 시작된 3차 감염의 실마리가 잘 풀리지 않고 있다. 오늘은 코로나19 방역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가 하는 것을 진단시약, 진단키트 그리고 정부의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 측면에서 간단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세계적으로 지금 코로나19, COVID-19의 감염 상황은 빠르게 진정국면에 접어들고 있다. 마찬가지로 작년 11월부터 시작된 세계적인 3차 확산이 최악의 경우에는 하루에 한 80만명 정도가 감염자가 발생하다가 지금은 한 30만명 수준으로 떨어졌다.- 우리의 경우는 상황이 다르다. 지금 하루 약 500~600명…

    이덕환(duckhwan) 2023-02-28 14:51:13
  • 코로나 이후의 고령사회, 어떻게 대처해야 하나? 새창

    - 오늘은 코로나 사태 이후 고령사회에 어떤 변화가 예상되고,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에 대해 말씀드리고자 한다. 코로나 이전에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쳤던 감염병은 2000년도 초반의 사스를 비롯해 메르스, 독감, 에볼라가 있었다.- 치사율은 사스가 10%, 메르스는 30%, 독감은 약 0.1~0.2%였는데 에볼라는 치사율이 50%로 아주 무서운 질환이었다. 거기에 비해 코로나는 치사율이 2% 정도로 낮지만 감염력이 매우 높다. 코로나가 국제적으로 알려지게 된 것은 2019년 12월 31일에 중국에서 WHO에 괴질이 생겼다고 보고하면서부…

    박상철 전남대학교 석좌교수(admin) 2023-02-28 14:43:48
  • [설날 특집] 백세시대의 장수식단(長壽食單)은 무엇일까요? 새창

    - 이 시간에는 코로나 사태에 100세 시대라는 것을 내용으로 이야기를 하면서 우선 장수식단이란 것이 무엇인가? 우리 전통식단이라는 것이 장수식단으로서의 의미가 있는가? 그런 내용을 전하고자 한다.- 제가 장수(長壽)라는 것을 설명하면서 “이것은 ‘집짓기’다. 기초가 튼튼해야 하고, 기둥이 튼튼해야 하고, 지붕이 튼튼해야 한다”고 설명한다. 기초라는 것은 뭐냐? 고정인자, 예를 들면 유전자, 남자, 여자, 또는 성격, 또는 그 지역의 사회적인 문화, 생태환경. 이런 것이 기초적인 여건이다.- 그 다음에 개인적인 여건을 말할 수 있는…

    박상철 전남대학교 석좌교수(admin) 2023-02-28 14:22:28
  • 올해 주택 경기전망과 부동산 투자전략 새창

    - 오늘 세 가지 관점에서 얘기를 나누고자 한다.첫째는 지금이 집을 살 때인가? 팔 때 인가? 집이라는 주어를 부동산으로 바꿔도 된다. 부동산 매매의 시기선택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는 지역 선택에 관한 문제이다. 내가 지금 집을 산다면, 어느 지역의 집을 살까? 세 번째는 집이 여러 채가 있는 다주택자인 경우 어떤 주택을 보유하고, 또 어떤 주택을 팔아야 할까? 결국 상품선택의 문제다.- 우선 도시공학에서 지역은 ‘성장지역’이냐, ‘비성장지역’이냐로 나눈다. 또 비성장지역은 ‘쇠퇴지역’이냐, ‘축소지역’이냐로 나뉜다. 답은 당연히…

    고종완(kojw) 2023-02-28 14:17:48
  • 코로나 시대 주식투자 성공비결(下) 높은 수익 올리는 방법 새창

    - 두 번째 얘기는 우리가 주식을 왜하는가? 어떻게 하는 게 좋겠는가라는 부분이다. 우리가 주식을 하는 이유는 돈 좀 벌어가지고 차 바꾸거나 소고기 사먹으려고 하는 것은 아니다. 백세시대에 노후를 대비해 자산을 계속 쌓아 나가는 것이다. 금리가 낮고, 부동산은 오를 대로 올랐기 때문에 좋은 주식을 차곡차곡 적금 넣듯이 쌓아가야 한다. 40~50년 가지고 가도 망하지 않을 주식이어야 한다. 그래서 초우량주식을 모아야 한다.- 미국 같은 경우는 상장기업은 정말로 초우량주식들만 모아놨다고 보면 된다. 미국은 GDP를 집계하면서 기업의 이…

    서철수 미래에셋리서치센터장(admin) 2023-02-28 14:09:24
  • 코로나 시대 주식투자 성공비결(上) 어떤 주식을 골라야 하나? 새창

    - 주식투자를 왜 하는지, 또 어떻게 하면 비교적 안정적이면서도 많은 수익을 얻을 수 있을지 그런 방법들에 대해서 짧게나마 제 소견을 말씀드리겠다.- 지난 2020년은 한국 주식시장에 있어서 큰 의미가 있는 해였다. 근 20년 가까이 한국가계는 주식시장에서 특히 거래소 시장에서는 많이 빠져왔다. 그 공백에 2000년대 초반부터 외국인이 들어와 시장을 좌지우지 하다시피 했다.- 그런데 2020년도부터, 특히 코로나가 터진 이후부터 한국의 가계가 우리 주식시장에 컴백하기 시작을 했다. 이와 같은 적인 확대뿐만이 아니라 실제로 시장의 …

    서철수 미래에셋리서치센터장(admin) 2023-02-28 14:05:16
  • 나무와 숲과 사람 사는 이야기 새창

    - 평생을 산업연구원이라는 곳에서 산업연구를 했던 사람이기 때문에 저 자신을 흔히 산업전문가라고 소개를 하고 있다. 산업연구원에서 원장(院長)까지 포함해서 37년 근무했으니까 산업전문가라 할만하다. 그런데 오늘은 나무에 대해서 말씀드리고자 한다.- 나무라는 것이 과연 우리에게 어떠한 존재인가. 우리 원시의 조상들은 아마 나무에게서 처음으로 효용을 느낀 건 자기를 쫓아오는 맹수로부터 달아날 수 있는 안식처 정도의 효용을 가졌던 것 같다. 그 다음은 바로 연료로서 대단히 큰 효용을 얻었다. 예를 들자면 음식을 끓이면서, 혹은 추위를 피…

    김도훈(hoon123) 2023-02-28 12:56:05
  • '세대 1주택' 재산세·종부세 이야기 새창

    ◈ 오문성 한여자대학교 세무학과 교수◈ 진행 : 김선우◈ 일시·장소 : 2021.1.8. 국가미래연구원 스튜디오-(김) 요새 1세대 1주택자의 세금이 많이 늘었다는 이야기가 많다. 한여대 세무회계과 오문성 교수님 과 이 문제를 풀어 보자.▲(오) 우리가 지금 일상생활에서 1세대 1주택, 1가구 1주택 이런 말들을 많이 하는데 세법에서 쓰고 있는 용어로는 ‘1세대 1주택’이 맞다. 한 세대가 한 주택 보유하고 있는 경우를 말하는데 깊이 들어가면 세제적용의 내용이 굉장히 복잡하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1세대 1주택에 대해서는 세금을 …

    오문성(cpaos) 2023-02-28 11:48: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