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미래연구원은 국민행복에 도움이 되는 사회적 담론 형성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상세검색

이은창 전체검색 결과

게시판
1개
게시물
4개

1/1 페이지 열람 중


News Insight 게시판 내 결과

  • 중국에 뒤처진 조선업 가치사슬 종합경쟁력, 새로운 한국형 해양전략 필요 새창

    - 2023년 조선업 가치사슬 종합경쟁력, 중국이 1위로 우리나라를 추월- 중국 종합경쟁력 1위는 중국 정부 ‘해양 굴기’ 노력의 결과- 국가주도 중국의 강력한 산업생태계로 한·중·일 외 경쟁국 없어- 초격차 경쟁력 확보 및 우방국과의 협력을 위해서는 조선을 지렛대로 해운, 국방, 선박금융 등 관련 산업을 아우르는 한국형 해양전략의 수립이 시급미중분쟁, 우-러 전쟁와 같이 글로벌 분쟁이 지속되는 가운데, 미국과 유럽에서는 조선업의 중국 의존에 따른 우려가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우려를 반영하는 듯 우리나라가 유지하던 조선산업 가치사…

    이은창(leeeunchajg) 2024-05-14 17:04:00
  • 2024 주요 산업 전망<4>조선1) 새창

    2023년 동향 및 진단2023년 해운시황은 세계 경제 불안, 특히 중국 부동산 침체와 전쟁 등으로 낮은 수준을 유지했다. 높은 선가, 컨테이너선 시황 약세 전환, 환경규제 대응 불확실성 요인도 지속되면서, 세계 선박 발주량(10월 누적)은 전년동비기 23.5% 감소한 3,369만CGT였다. 우리나라와 중국은 각각 893만CGT(-41.5%), 1,933만CGT(-8.8%)를 수주했는데, 중국이 57.4%의 시장점유율을 보이면서 시장을 주도했고, 우리나라는 26.5%, 일본은 6.5% 점유에 그쳤다. 우리나라의 수주 점유율이 낮아진…

    이은창(leeeunchajg) 2024-01-16 17:10:00
  • <특집 2023 주요 산업 전망> (5) 조선 새창

    2022년 동향 및 진단2022년 해운시황은 세계경제둔화와 항만체선완화로 컨테이너선과 벌크선이 악화됐고, 유조선은 선복량 증가둔화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교역구조 재편으로 개선됐다. 전방산업 시황 변화와 높은 선가, 환경규제 대응 불확실성 등으로 세계 선박 발주량(10월 누적)은 전년동비기 27.6% 감소한 3,475만CGT였는데, 우리나라와 중국이 각각 1,465만CGT(-8.1%), 1,581만CGT(-33.6%)를 수주했다.우리나라 42.4%, 중국 45.5%의 시장점유율을 보이면서 양국이 조선 시장을 주도했고, 일본…

    이은창(leeeunchajg) 2023-01-17 10:22:06
  • <2023 신년 특집> 주요 산업 전망 (5) 조선 새창

    2022년 동향 및 진단 2022년 해운시황은 세계경제둔화와 항만체선완화로 컨테이너선과 벌크선이 악화됐고, 유조선은 선복량 증가둔화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교역구조 재편으로 개선됐다. 전방산업 시황 변화와 높은 선가, 환경규제 대응 불확실성 등으로 세계 선박 발주량(10월 누적)은 전년동비기 27.6% 감소한 3,475만CGT였는데, 우리나라와 중국이 각각 1,465만CGT(-8.1%), 1,581만CGT(-33.6%)를 수주했다. 우리나라 42.4%, 중국 45.5%의 시장점유율을 보이면서 양국이 조선 시장을 주도했고, …

    이은창(leeeunchang) 2023-01-10 16:4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