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려있는 정책플랫폼 |
국가미래연구원은 폭 넓은 주제를 깊은 통찰력으로 다룹니다

※ 여기에 실린 글은 필자 개인의 의견이며 국가미래연구원(IFS)의 공식입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News Insight 목록

전체 431 (19 페이지)
  • 2020년대 헬스케어와 의학 분야의 혁신전망

    • 오태광
    • 국가미래연구원 연구위원,주)피코엔텍 상임고문,전 한국생명공학연구원장
    • 2021년 02월 18일
    디지탈시대를 살아가면서 온갖 노력을 함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내지 못해 미래의 성장엔진인 디지털 바이오 기술융합기반의 경제를 완벽하게 진입하지 못하고 있다. 미래…
  • 신축년(辛丑年) 엿보기

    • 김동원
    • 전 고려대학교 초빙교수
    • 2021년 02월 09일
     2021년 신축년, 신(辛) 자의 훈(訓)은 “매울 신”이지만, ‘辛’자는 ‘罪’자에서 변형된 글자로 옥편을 찾아보면 ‘고생 한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축(丑)은 역학(易學)에…
  • <신년칼럼> 생각의 힘으로 건너가자

    • 최진석
    • 전 한국의희망 상임대표, KAIST 김재철AI대학원 초빙석학교수,(사)새말새몸짓 이사장
    • 2021년 01월 01일
    1987년1월15일 박종철 열사가 물고문을 받다 사망에 이르렀다. 당시 치안본부는 "'턱'하고 치니 '억'하고 죽었다"고 발표하였다. 32년 후, 2019년12월…
  • [2021 국제정세 ] ① COVID-19 팬데믹과 신흥안보

    • 이대우
    • 세종연구소 명예연구위원
    • 2020년 12월 31일
      이 글은 세종연구원이 발간하는 [정세와 정책 2020-특집호-제35호]에 실린 것으로 연구소의 동의를 얻어 게재합니다.​   2019년 말 중국 우한에서 발생한 COVID-19…
  • 스가 총리의 신자유주의 개혁노선과 한일관계 향방​

    • 이면우
    • 세종연구소 부소장
    • 2020년 12월 22일
       ​이 글은 세종연구소가 발간하는 [세종논평 No.2020-33](2020.12.21)에 실린 것으로 연구소의 동의를 얻어 게재합니다.​  일본의 스가 내각에 대한 지지율이 등…
  • 美 바이든 대통령 당선자의 코로나19 퇴치계획과 백신정책

    • 오태광
    • 국가미래연구원 연구위원,주)피코엔텍 상임고문,전 한국생명공학연구원장
    • 2020년 11월 25일
    미국 대통령 당선자인 조 바이든은 후보 시절부터 후보 공약에 포함시키어 선거 동안 강력하게 주장해온 “코로나19 퇴치계획”(Beat COVID-19)을 국정 최우선과제로 발표하였다…
  • 백신 유통과 접종 후 사망사고

    • 김태진
    • 수원대학교 화학공학과 교수
    • 2020년 11월 11일
    지난 2018년도에 미국질병관리본부에서 밝힌 바에 의하면 백신은 5가지가 있다. 1. 살아있으나 약화시킨 백신, 2. 비활성화 백신, 3. 독성 백신, 4. 부차성 백신, 5. 결…
  • 법과 제도에 대한 ‘신뢰’가 통합과 번영의 조건

    • 예병일
    • 플루토미디어 대표
    • 2020년 09월 30일
    정치의 기본은 ‘신뢰’다.법에 대한 신뢰, 정책과 제도에 대한 신뢰, 정치인에 대한 신뢰가 정치의 근간이다.법은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공평하게 적용된다는 신뢰, 정부의 정책은 믿고 …
  • 오늘의 한국, 70년대 유신시대가 아니다

    • 김광두
    • 국가미래연구원 원장, GFIN 이사장
    • 2020년 09월 19일
    -이재명 지사의 폭력적 독재를 경계한다​-태조 이성계와 무학대사의 대화 한 토막을 소개해 보면….“이 ; 오늘 대사를 보니 꼭 돼지 같구려.무학 ; 전하께서는 꼭 부처처럼 보이십니…
  • 북한의 권력변동과 위임통치론- 정부는 김정은 대신 김여정과의 남북정상회담을 추진 중인가

    • 장성민
    • 세계와 동북아 평화포럼 이사장
    • 2020년 09월 02일
    북한체제는 당(黨)이 국가권력의 핵심이다. 북한에서 당은 모든 영역을 장악해 온 영도(領導)집단이며 권력의 중추이다. 그래서 국가의 성격을 말한다면 ‘당국가’ 혹은 ‘당 중심국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