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려있는 정책플랫폼 |
국가미래연구원은 폭 넓은 주제를 깊은 통찰력으로 다룹니다

※ 여기에 실린 글은 필자 개인의 의견이며 국가미래연구원(IFS)의 공식입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News Insight 목록

전체 3,898 (380 페이지)
  • 방사선과 건강

    • 조경희
    •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 2014년 10월 24일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 현장의 오염수 유출에 따라 일본산 수산물에 대한 많은 우려가 있었다. 지금도 대부분의 사람들은방사능이라는 물질에 조금이라도 노출되면 당장 큰 병이 걸릴지 모…
  • 헌법재판소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 임지봉
    • 서강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 2014년 10월 22일
    서울에서는 지난 달 28일부터 나흘간 우리 헌법재판소 주최로 세계헌법재판회의가 열렸다. 세계헌법재판회의 3차 총회이기는 하나, 이 회의체가 정식 회의체로 출벌함 이후로는 처음 열리…
  • 비합리적 신념 점검하기

    • 나은영
    • 서강대학교 지식융합미디어학부 학장
    • 2014년 10월 21일
    우리는 간혹 어떤 선행사건(Antecedents) 때문에 부정적 결과(Consequences)가 나왔다고 생각하지만, 사실은 그 사이에 있는 비합리적 신념(Belief) 때문에 그…
  • 시간제 일자리 성공의 조건은?

    • 유경준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인력개발학과 교수
    • 2014년 10월 20일
    현 정부의 '고용률 70% 달성을 위한 로드맵'의 핵심은 시간(선택)제 일자리의 확대다. 집권초 로드맵에서는 향후 성장과 소득 분배 개선의 핵심 요소인 고용률 70% 달성을 위해 …
  • 2015년 세계 경제, 수요 부족으로 저성장

    • 김영익
    • 서강대학교 경제대학원 교수
    • 2014년 10월 19일
    최근 각 연구기관이 2015년 경제전망을 연이어 발표하고 있는데,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낮춰가고 있다. 이에 따라 세계 주가가 큰 폭으로 하락하는 등 글로벌 금융시장이 불안하게 움직…
  • ‘통곡의 바다’와 ‘바다주권’ 수호 해경은 ‘해체’가 아니라 ‘바른 해경’으로 거듭 태어나야한다

    • 최양부
    • 전 대통령 농림해양수석비서관
    • 2014년 10월 16일
    ‘통곡의 바다’에 던져진 해경세월호참사로 우리 바다가 분노와 통곡으로 들끓고 있던 지난 5월 19일 박근혜 대통령은 대국민담화를 발표하고 ‘느닷없이’ 해경해체를 선언했다. 통곡의 …
  • 계층 이동의 사다리가 부러진 사회

    • 김경근
    •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 2014년 10월 14일
    외환위기는 우리 사회에 깊고 뼈아픈 상흔을 남겼다. 날로 심화되는 양극화의 그늘 아래 많은 사람들의 삶이 절망의 나락으로 떨어졌고, 사회 전반에 분노와 불안이 만연하게 되었다. 교…
  • 재벌, 변한 것과 변하지 않은 것

    • 김상조
    • 한성대 교수, 경제개혁연대 소장
    • 2014년 10월 13일
    현대차그룹이 한전 부지 인수의 후폭풍으로 홍역을 치르고 있다. 감정가의 3배가 넘는 10조 5,500억원의 낙찰가, 입이 딱 벌어지는 금액이다. 달러로 환산하면, 100억불…. 내…
  • 최 부총리 추가부양책, 묘수(妙手)인가 악수(惡手)인가?

    • 김동원
    • 전 고려대학교 초빙교수
    • 2014년 10월 12일
    민간투자와 내수 회복세가 예상보다 부진한데다 엔저 충격에 대한 대응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정부는 경기부양을 위해 하반기에 방출하기로 계획했던 정책자금 규모를 당초 계획한 26조원…
  • 자동차의 진화와 유저 드라이버 시대의 도래

    공상과학영화나 광고 속에서 봐 왔던 미래의 자동차 세상이 눈앞에 펼쳐지기 시작했다.전기차의 상용화 바람에 이어, 얼마 전 무인자동차의 시범운행이 성공적으로 끝나면서 상상 속의 자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