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려있는 정책플랫폼 |
국가미래연구원은 폭 넓은 주제를 깊은 통찰력으로 다룹니다

※ 여기에 실린 글은 필자 개인의 의견이며 국가미래연구원(IFS)의 공식입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News Insight 목록

전체 6 (1 페이지)
  • 최근 수출 증가의 특징과 유의점

    • 지만수
    •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2024년 05월 19일
    최근 반도체의 수출 회복 및 자동차 수출의 지속적 증가가 수출 증가에 크게 기여한 가운데 전기차 수출이 증가하는 등 기술적 변화에 대응한 수출품목의 고도화도 나타나고 있음. 또한 …
  • 중국경제 위기 양상에 대한 이해

    • 지만수
    •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2024년 03월 12일
    2023년 중국경제, 위기론 속에서 5.2% 성장2023년 중국은 5.2% 성장했다.중국정부가 당초 제시했던 5% 성장 전망을 실현한 셈이다. 2023년 내내 중국 경제위기론이 회…
  • 중국, 민관협력사업(PPP) 신(新)가이드라인 발표

    • 지만수
    •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2024년 02월 19일
    2023년 11월 3일 국가발전개혁위원회가 “정부와 사회자본 협력 실시를 위한 새로운 메커니즘 가이드라인”을 발표하였음. 이는 그동안 민관협력사업(PPP)이 지방공기업 중심으로 진…
  • 중국 노동집약적 업종 수출 동향과 시사점

    • 지만수
    •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2023년 10월 31일
    고도성장에 따른 빠른 임금상승 등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노동집약적 업종의 수출이 코로나19 경제위기를 전후하여 다시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음. 한국과 일본 등 선발국에서는 임금…
  • 중국 외자기업 유치정책 변화의 내용과 의미

    • 지만수
    •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2022년 12월 01일
    ► 중국이 제조업 외자기업에 대해 국내 상장 및 회사채 발행 지원, 정부조달 시장 참여, 토지사용 혜택 제공 등을 포함하는 강력한 외국인 투자유치 정책을 발표하였음. 미중 분쟁과 …
  • 대분열 시대의 천하양분(天下兩分), 복합위기의 정점

    • 지만수
    •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2022년 11월 16일
    '2023년 한국경제 대전망' 2023년은 대분열과 천하양분 시대이자, 그 속에서 진행되는 복합위기의 정점을 가계와 기업이 냉철하게 판단하고 가늠할 수 있느냐와 복합적 전환을 이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