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려있는 정책플랫폼 |
국가미래연구원은 폭 넓은 주제를 깊은 통찰력으로 다룹니다

※ 여기에 실린 글은 필자 개인의 의견이며 국가미래연구원(IFS)의 공식입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세종의 정치리더십 - 외천본민(畏天本民) <37>국토를 제대로 지켜라.(III) 대마도정벌과 왜구대책 ②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22년09월16일 17시10분

작성자

  • 신세돈
  • 숙명여자대학교 경제학부 명예교수

메타정보

  • 0

본문

 [대마도 정벌의 출사표]

 

지난 번 도체찰사 이종무에게 명하여 대마도 도주에게 한 번 경고를 한 바 있었지만 이제 제대로 된 정벌을 감행하기에 앞서 태종은 정벌의 대의명분을 천하에 포고하였다. 군사를 앞세우는 것이 내키지는 않지만 죄를 다스리기 위해서는 정벌이 부득이 한 이유를 분명하게 밝혔다.  

 

   “군사를 동원하고 무력을 행사하는 것은 예로부터 성현이 경계하는 바요

    죄를 토벌하려고 군사를 동원하는 것도 제왕이 노릴 것이 못된다.(중략) 

    대마도는 본래 우리 땅이나 험한 벽지에 있고 어려움이 많아 그들 원하

    는 대로 거주하게 뒀더니 끝내 개같이 도둑질하고 쥐같이 훔쳐대어

    경인년부터 변경에서 방자하게 뛰놀더니 군민을 죽이고 사내들을 포획     

    하며 가옥을 불 질러 과부와 고아들이 바다를 바라보며 우는 곡소리가     

    그칠 날이 없구나. 뜻있는 사람과 어진 사람들이 팔뚝을 걷고 탄식하며     

    여러 해 적의 살을 씹고 그 가죽을 덮고 자기를 생각하였다.

    (窮兵黷武 固聖賢之所戒 討罪興師 非帝王之獲己 (中略) 對馬爲島 本是我      

    國之地 但以阻僻隘陋 聽爲倭奴所據 乃懷狗盜鼠竊之計 歲自庚寅 始肆跳     

    梁於邊徼 虔有軍民 俘虜父兄 火其室屋 孤兒寡婦 哭望海島 無歲無之 

    志士 仁人 扼腕歎息 思食其肉而寢其皮 蓋有年矣: 세종 1년 6월 9일)”

 

섬뜩할 정도의 분노가 스며들어 있는 포고문이다. 그리고는 일일이 왜적의 침범 사례를 들었다. 병자년 동래침입과 병술년 전라도 침입, 무자년 충청도 및 제주 살육사건을 낱낱이 지적하며 저들의 죄상을 드러내었다. 이제 이들을 토벌하지 않는 것은 사람의 도리가 아니라 선언했다.

 

   “은혜를 잊고 의를 거슬러 하늘의 법도를 어기는 것이 매우 심하다. 내가

    생명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한 사람의 사는 장소라도 잃으면 위 아래로      

    원성을 살까 두려워하였는데 하물며 왜구들의 방자한 탐독으로 수없는      

    사람을 죽이고 천벌을 서둘러 자청하였으니, 이것을 용인하고 가서         

   정벌하지 않는다면 어찌 나라에 사람이 있다고 하겠는가. 농사철에 장군      

   에 명하여 군사를 내어 죄를 바로 잡으니 이 역시 부득이 한 일이다.    

    (其忘恩背義 悖亂天常 豈不甚哉 以予好生之心 苟有一夫之失所 猶恐獲戾      

     于上下 矧今倭寇肆行貪毒 賊殺群黎 自速天禍 尙且容忍 不克往征 猶爲國      

     有人乎 今當農月 命將出師 以正其罪 蓋亦不得已焉爾矣    : 세종 1년 6월 9일)”

 

삼군도체찰사 이종무는 세종 1년(1419) 6월 17일 9명의 절제사를 거느리고 거제도를 떠나 바다로 향하였다. 경기도 병선이 10척, 충청도 32척, 전라도 50척, 경상도 126척 합계 227척의 대 함대와 총 1만 7천 285명의 장군 병사를 이끌고 바다로 나아갔다. 그러나 거센 바람으로 곧 되돌아왔다. 이틀 뒤 6월 19일 오전 9시 다시 대군과 대 함대가 거제도 남쪽 주원방포(지금의 한산도 추봉리)를 떠나 대마도로 나아갔다. 다음날 오전 11시경 아군 병선 10척이 먼저 대마도에 도착하여 보니 섬사람들이 자기네 편들이 도적질하여 돌아오는 줄 알고 크게 환영하러 나왔다가 혼비백산 도망하였다. 아군 군사가 길을 나누어 수색하여 선박 129척을 빼앗아 20척을 제외하고는 모두 불 태웠으며 적 114명을 베었다. 포로 21명과 중국인 억류자 131명을 거두었고 이어 적의 통로를 막고 보급로를 차단해 들어갔다.

 

한편 태종은 기다려도 군사가 출정했다는 소식을 받지 못하자 형조참판 홍여방을 체복사(군사책임을 추궁하기 위해 파견되는 특명관리)로 보내어 지체하고 있는 장군을 추궁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그 때 마침 유정현의 출정소식이 들어와 듣고 홍여방 보내기를 그만 두었지만 또 다시 병선이 거제에 머물고 있다는 보고가 들어오자 병조정랑 권맹손을 보내 장수를 다그치는 교서를 내려 보냈다.

 

   “이번 달 11일은 출정의 길일인데도 여러 장수들이 출정을 하지 않았고

    12일에 발선하여 거제에 머물렀는데 17일 또 병선을 출정하지 않고서

    여러 장군이 말하기를 17일 출정했으나 역풍을 만나 거제로 돌아왔다고      

    하는데 이 모든 것이 군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일인데 어찌 경은 

    소상히 이를 보고하지 않았는가. 위 각일에 지체한 사유와 역풍의 진위     

    를 속히 파악하여 보고하고 또 장군의 발선을 독려하라.  

    (今月十一日甲申 乃發船吉日 而諸將不肯發船 十二日乙酉 

    乃發船到巨濟至 十七日庚寅又不肯發船 且諸將報云 十七日發船 

    以風逆還巨濟 此皆行軍大事 卿何不分辨以啓乎 右各日遲留事有及

    逆風眞僞 其速分辨以啓 且宜督諸將發船 : 세종 1년 6월 20일)”

 

이 사건으로 과거 투항해 조선에 살던 왜인 평도전 말만 믿고 발선을 미적대던 성달생, 이사검, 이덕생 등은 의금부에 내려져 처벌받게 되었다.

 

III.3 제 2차 대마도 정벌계획

 

제 1차 대마도 정벌로 아군에서는 180명의 전사자가 발생했다. 그리고 규슈지역 토호들의 위협으로 대마도를 완전히 정복하지도 못했고 또 도주 종정성(宗貞盛 혹은 도도웅와)의 항복을 받아낸 것도 아니었다. 게다가 철병한 바로 그 날 7월 3일 중국을 노략질하던 왜선이 황해도 소청도에 나타났고 다음날에는 안흥량(지금의 태안반도 안흥)에서 배 9척을 노략질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한참 전쟁의 승리를 축하하고 장수들에게 술과 상으로 위로하던 태종은 화가 치밀어 올랐다. 유정현 삼도도통사에게 명하여 이정무가 다시 도체찰사로서 중군절제사 우박과 권만, 중군절제사로 박실과 박초, 우군절제사 이순몽과 이천을 거느리고 다시 대마도로 향할 것을 지시하였다. 그리고 다른 함대를 별도로 구성하여 각 군이 25척의 병선으로 중군절제사 박성양, 좌군절제사 유습 그리고 우군절제사 황상이 협공하도록 명령했다(세종 1년 7월 7일).

      

우의정 이원이 이런 태종의 생각을 말렸다. 군사들의 예기가 시들해졌고 선박의 장비도 파손되었으며 무엇보다 태풍철이라 천기를 예측하기 매우 어려우므로 바람이 잦아질 때를 기다리자고 건의했다. 그럴듯한 이야기라고 생각한 태종이 박은과 상의하니 박은은 예정된 계획대로 진행해야하며 이 시기를 놓치면 곤란할 것이라 고집했다. 박은의 말에 설득된 태종은 다시 이원에게 대마왜적의 죄를 반드시 다시 물어야 한다고 해도 이원은 고집을 꺽지 않고 반대했다(세종 1년 7월 9일). 일단 출병일은 9-10월경으로 조정하고 다시 전쟁준비에 들어갔다. 병선을 새로 만들고 또 수리하며 필요한 선군(수병)을 차근차근 징집해갔다(세종 1년 7월 28일).  

 

약 두 달 뒤인 9월 20일 대마도주 종정성(도도웅와)이 사신 도이단도로를 보내 토산물을 바치며 예조판서에게 항복을 빌었다. 태종과 세종이 여러 대신들과 대마도 재정벌 문제를 다시 의논하였다. 대마도주가 항복을 요청한 것이 진정성이 없는 것이 확실하다. 따라서 재정벌을 중지할 이유는 전혀 없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많은 백성들이 전쟁을 겁내어 자기 고을을 떠나 유랑자가 되고 있다는 보고가 올라와 있었다. 한편으로는 종정성이 항복을 빌고 있는데 재정벌을 감행한다는 것이 부담이 되는 것도 사실이었다. 종정성이 항복하겠다는 것도 다시 정벌하리라는 소문 때문임이 분명하다. 그렇다면 재정벌 할 것이라는 원래 계획이 어느 정도 효과를 거둔 것도 사실이다. 이쯤에서 발을 빼는 것도 좋은 전략이 아닌가. 그렇게 태종은 생각했다. 대신들과 의논 끝에 일단 이렇게 전국에 지시를 내리기로 했다.: “왜가 항복해 왔으므로 일단 전쟁준비는 멈춘다. 그러나 다시 나쁜 짓을 한다면 즉각 출병할 것이므로 각자 준비하고 기다리라(세종 1년 10월 26일).”

<계속>

 

785bdc2d2067aaa49aa80327da61e014_1659771
785bdc2d2067aaa49aa80327da61e014_1659771
785bdc2d2067aaa49aa80327da61e014_1659771
785bdc2d2067aaa49aa80327da61e014_1659771 

 

 

0
  • 기사입력 2022년09월16일 17시10분
  • 검색어 태그 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