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려있는 정책플랫폼 |
국가미래연구원은 폭 넓은 주제를 깊은 통찰력으로 다룹니다

※ 여기에 실린 글은 필자 개인의 의견이며 국가미래연구원(IFS)의 공식입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박재천의 디지털경제 이야기 <67> 무엇을 할 수 있는지 AI에 물어보자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25년05월08일 17시10분

작성자

  • 박재천
  • 국가미래연구원 연구위원, 전 인하대학교 교수

메타정보

  • 0

본문

글을 쓸 때 어떻게 시작할까 망설일 때가 있다. 주제를 못 잡아서. 마땅한 글 투가 생각나지 않아서. 구조와 형식을 확정하지 못해서. 등등등. 인공지능이 어떤 것을 어떻게 도와줄 수 있을까? 갈증이 생기기 시작한다. 이런 의문을 갖는다는 것 자체가 이미  훌륭한 시작이다. AI가 어디까지 할 수 있는지 어떤 능력을 가지고 있는지 잘 알면 훨씬 수월하게 일을 마칠 수 있다.  이때, 마음의 문을 열고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대화해 보자.   


1. 목표나 배경을 먼저 알려주자. 

 

단순히 질문만 하기보다, 무엇을 하려고 하는지 알려주고 도움을 청한다. 

“좋은 도입부는 어떻게 쓰나?” 

 

이렇게 물어볼 수 있다.  한 발 더 나아가, 

 “일반 독자를 위한 AI 칼럼을 쓰고 있는데, 도입부를 인상 깊고 스마트하게 만들고 싶어.” 

 

이런 배경 정보를 주면, AI는 자기가 할 수 있는 것들을 알려줄 것이다.  

 

2. 특정 주제에 관하여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는지 물어보자. 

 

예를 들어 이렇게 말할 수 있다. 

 “뉴스레터를 쓸 때 어떤 걸 도와줄 수 있나?” 

 “여행 계획을 세우고 싶은데 뭘 도와줄 수 있나?” 

 

그러면 가능한 도움의 목록을 알려 주기도 한다. 

 

3. 함께 수정하면서 만들어 나가자 

 

처음부터 완벽한 질문을 하지 않아도 괜찮다. 일단 시작하고 나서 원하는 내용으로 좁혀보자: 

 

   ⦁  “좀 더 다듬어줄 수 있어?” 

   ⦁  “더 유머있게 / 더 격식있게 / 더 짧게 해줄 수 있어?” 

   ⦁ ​ “왜 그런지 설명해줘.” 

   ⦁ ​ “다른 방향으로도 해볼 수 있을까?” 

 

이런 식으로 계속 주고 받으며 발전시킬 수 있다. 

 

4. 그냥 물어보자 

 

가끔은 그냥 이렇게 물어보는 것도 좋다: 

   ⦁  ​“내가 뭘 물어봐야 할까?” 

   ⦁  ​“이 것도 도와줄 수 있어?” 

   ⦁  ​“이 주제에 관해 무엇을 할 수 있어?” 

 

AI는 종종 막혔던 길을 뚫어 주고, 답답함을 제거하는 힌트를 보여준다. 

 

AI는 당신이 상상하는 것보다 훨씬 더 많은 것을 알고 있고 또 할 수 있다. AI에게 무엇을 할 수 있는지 망설이지 말고 물어보자. 당신의 질문과 지시가 무엇이던 간에 최선의 답변을 하기위해 기다리고 있고, 가능한 한 ‘그럴 듯한 응답’을 만들어낸다. 

<ifsPOST>

0
  • 기사입력 2025년05월08일 17시10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