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미래연구원은 폭 넓은 주제를 깊은 통찰력으로 다룹니다
※ 여기에 실린 글은 필자 개인의 의견이며 국가미래연구원(IFS)의 공식입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월街 Watch] WSJ 평론 : 트럼프는 왜 파월을 해고하려 하지 않기로 했을까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25년04월27일 16시50분
- 최종수정 2025년04월27일 13시24분
관련링크
본문
[1] WSJ 평론 : 트럼프는 왜 파월을 해고하려 하지 않기로 했을까 Why Trump Decided Not to Try to Fire Jerome Powell - By Brian Schwartz, Josh Dawsey, Nick Nimiraos |
■ 지난 주 화요일(4월 22일) 트럼프 대통령은 연준의장 파월을 해고 시킬 의향이
전혀 없었다고 밝히면서 언론이 자신의 발언을 잘못 해석한 책임으로 돌렸음.
- 그러나 지난 주 트럼프 대통령이 연준의장에 대한 비판이 있었고
- 백악관 변호사들이 연준의장을 물러나게 ‘법적 근거(cause)를 포함한
여러 방법을 검토한 것으로 알려짐.
■ 연준법에 따르면 연준이사는 ‘법적 근거(cause)’가 있는 경우에 한하여
임기 이전에 해고될 수 있음.
- ‘법적 근거(cause)’란 통상적으로 ‘공직자 부정행위(malfeasances)’나
부적절한 행위(impropriety)’를 의미함.
- 파월의장을 해고하는 경우 백악관은 연준과 사이에는 심각한 대치상황이
벌어질 것임.
- 그러나 이런 우려는 지난 주 트럼프 대통령이 파월을 해고할 의사가 없다는
의견 표명으로 종식되었음.
■ 엄청난 금융시장 혼란과 법적 투쟁이 따를 것이라는
재무장관 베센트와 상무장관 루트닉의 설득 때문이었던 것으로 알려짐.
- 루트닉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파월 연준의장이 교체되더라도 연준의
금리 정책은 크게 달라지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한 것으로 알려짐.
- 트럼프 행정부는 급격하면서도 고통스러울지도 모를 세계경제 재편정책을
내놓을 것을 약속했지만 금융시장의 충격적인 반발로 인해 정책을 뒤로
물리거나 수정하지 않을 수 없었음.
- 연준의장에 대한 해고의사 철회에 더하여 화요일(4월 22일) 중국에 대한
관세율(145%) 인하의사도 내비쳤음
- 쌍둥이 철회(연준의장 해고의사 철회 및 대중국관세율 인하의사)는
트럼프 대통령이 분명히 시장의 극단적 반응에 대해 민감하게 행동하고
있다는 증거임.
- 일론 머스크도 기회가 닿는 대로 대통령에게 관세인하를 촉구할 것이라고
언급했음.
■ 대부분의 월가 분석가들은
연준의장 해고에도 불구하고 FOMC가 기준금리를 내릴 가능성은 매우 희박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음.
- 인플레 우려 때문에 FOMC는 2024년 기준금리를 1% 인하했음.
- FOMC위원들은 비록 트럼프 정부의 관세로 인해 나중에는 소비지출 및 경기가
위축된다 하더라도 당장은 인플레 우려가 촉발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점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음.
- 연준내 가장 강력한 기준금리 인하 신중론자인 미셸 보우먼이 최근
연준 은행감독담당 부의장으로 승진되었음.
■ 연준의 독립성은 월가 미국 국채 투자가들의 신성불가침 조약 같은 것임.
- 미국 행정부가 연준의 금리정책에 영향력을 행사하여 개입하게 되면
보다 높은 인플레를 용인하게 됨으로써 명목금리( 및 국채수익률)가
높아지게 되어 외국투자가들의 미국 국채투자가들의 투자수요가 심각하게
저하될 것으로 보고 있음.
■ 연준의장이 해고되는 경우 엄청난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는 우려가 있었음.
- 팀 마헤디(Access/Macro 수석경제분석가)
“종말론 적일 것이다”
“would be apocalyptic,”
“ 고통이 너무 급격하고 고통스러워서
대통령은 즉시 되 돌이키거나 아니면 시스템적인 금융결과를 초래할 것”
“pain would be so swift and severe that
the president would be forced to walk it back immediately
or face a systemic financial event.”
■ 파월의장도 연준 독립성은 물러설 수 없는 사안임을 일관되게 강조해왔음.
- 파월 (연준의장) :
(연준독립성은) 그것이 매우 중요한 사안인 워싱턴 정가와 의회에서
폭넓게 이해되고 지지되고 있다.“
“very widely understood and supported in Washington,
in Congress, where it really matters,”
■ 투자가들은 이번의 해고압박을 2019년 연준의장 압박과는 다른 것으로 봄.
- 첫째, 트럼프 대통령은 1기 때보다 제도와 법적 규범에 대해 훨씬 강력하게
도전장을 던지고 있음.
즉 임기 전에 연방정부 관리를 해고하기 어렵도록 한 90년 된 규범을
법무부는 뒤엎으려고 하고 있음.
- 둘째, 이번 관세가 범위나 폭에서 1기 때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올해의 인플레 문제는 이전보다 더 큰 문제로 부각되고 있음.
따라서 연준으로써 기준금리를 내리는 것이 더 어려운 환경에 처함.
■ 파월의장도 불쾌하기는 하지만 정책적 관점의 차이로 인해 연준의장직을
물러나지는 않는 연준의 독립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개인적인 변호사 비용을
지불하는 한이 있더라도 법적 다툼도 불사할 것으로 보고 있음.
- 연준의 통화정책의 독립성은 대단히 높은 인플레를 보였던 1970년대
이후 고수되어 왔음.
- 닉슨 대통령은 1972년 대선을 앞두고 연준의장 아써 번즈에게 완화적
통화정책을 요청했고 번즈가 이를 받아들였음.
- 수년간에 걸친 높은 인플레는 1980년대의 뼈아픈 경기침체로 치유되었음.
- 그 후 연준의 독립성은 비록 법으로 명문화되지는 않았지만 대통령들이나
의회나 연준과 같은 제도 내에서 인플레와 건전한 경제를 위해서는
폭넓게 인정되어야 할 규범으로 받아들여져 왔음.
- 많은 다른 나라 중앙은행들도 1990년대에 금리정책과 장기적
경제건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운영상의 독립성을 추구했고 또 인정받아왔음.
▣ 트럼프의 무리한 연준의장 해고 압박은 다음의 다섯 가지 이유로 철회되었음 ;
① 충격적인 주식시장 및 채권시장의 폭락 반응, ② 증권가 출신인 베센트와 루트닉의 간곡한 설득, ③ 법적 해임가능성 불투명과 ④ 파월의장의 법적 투쟁 불사 의지 ⑤ 파월해고에도 불구하고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 불투명
그러나 2026년 파월의 임기만료 이후의 후임자에 따라 트럼프의 연준개입 문제는 언제든지 다시 불거질 수가 있음을 유념해야 할 것임. |
<ifsPOST>
- 기사입력 2025년04월27일 16시50분
- 최종수정 2025년04월27일 13시24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