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뉴스

반도체 반짝 반등에 3월 생산 1.6%↑…"경기회복 판단 일러"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23년04월28일 10시16분

작성자

메타정보

  • 0

본문

"반도체 35% 증가는 기저효과와 계약 일정 따른 일시 요인"

정부 "4분기 부진서 차츰 벗어나"…통계청 산업활동동향

 

반도체 부문의 반짝 반등으로 3월 산업생산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다만 기저효과와 계약 일정 등 일시적 요인에 따른 성격이 커 경기 부진 흐름이 전환됐다고 보긴 이르다는 평가다.

 

◇ 3월 생산, 1년 만에 최대폭…반도체가 견인

 

28일 통계청이 발표한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3월 전(全)산업 생산(계절조정·농림어업 제외) 지수는 111.6(2020년=100)으로 전월보다 1.6% 증가했다.

이는 작년 3월(1.9%) 이후 1년 만에 최대 폭 상승이다.

전산업 생산은 작년 11월(-0.5%) 감소한 뒤 12월(0.1%)과 올해 1월(0.0%), 2월(0.7%)에 이어 3월까지 증가 또는 보합을 기록했다.

지난달 전산업 생산 증가는 제조업(5.7%)을 비롯한 광공업 생산(5.1%)이 견인했다.

특히 반도체 생산이 전월 대비 35.1% 늘었다. 이는 2009년 1월(36.6%) 이후 14년 2개월 만에 최대 폭 증가다.

김보경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그러나 "최근 감소 흐름에 따른 기저효과와 계약 일정에 따른 일시적 요인으로 판단한다"며 "삼성전자[005930]가 최근 공식적으로 감산 계획을 밝히기도 해 전반적인 반도체 생산 추세는 감소 흐름으로 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3월 반도체 생산은 1년 전과 비교하면 26.8% 감소했다.

제조업 부문에서는 자동차(6.5%)와 전자부품(9.9%) 등의 생산도 늘었다.

반면 통신·방송장비(-31.5%), 의료정밀과학(-8.5%) 등은 감소했다.

 

◇ 서비스업 0.2%↑…소매판매 0.4%↑

 

서비스업 생산은 전월보다 0.2% 늘었다.

숙박·음식점업(-3.4%), 예술·여가·스포츠(-1.6%), 정보통신(-2.0%), 도소매(-0.4%) 등이 줄었으나 금융·보험(1.8%), 부동산(3.1%) 등이 늘었다.

숙박·음식점업 감소는 지난 2월(8.2%)에 생산이 대폭 증가한 기저효과 때문이라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공공행정은 5.0% 증가했다.

소비 동향을 보여주는 소매판매액지수(계절조정)는 3월 108.1(2020년=100)로 0.4% 증가했다.

소매 판매는 올해 1월(-1.5%)까지 3개월 연속 감소한 뒤 2월(5.2%)부터 두 달 연속 증가했다.

3월에는 가전제품 등 내구재(0.4%)와 차량연료·화장품·음식료품 등 비내구재(0.7%) 소비가 늘었다.

오락·취미·경기용품, 신발·가방 등의 준내구재 소비는 1.1% 감소했다.

설비투자는 기계류 투자는 늘었으나 선박 등 운송장비 투자가 줄어 전체적으로 2.2% 감소했다.

건설기성도 토목 공사 실적은 늘었으나 건축 공사 실적이 줄어 3.3% 감소했다.

 

◇ 정부 "4분기 부진서 차츰 벗어나"…통계청 "회복 국면 보기 일러"

 

현재 경기를 나타내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99.9로 전월보다 0.6포인트(p) 올랐다.

2월(0.3p)에 이어 두 달 연속 상승한 것이다.

김 심의관은 "동행지수 순환변동치가 최근 2개월간 상승했지만 전반적으로 그간의 하락 흐름에서 벗어났다고 보기에는 낮은 수준"이라며 "100보다 아래면 경기 순환적인 면에서 부진 내지 둔화라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향후 경기를 예측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도 98.2로 0.3p 하락했다.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작년 7월부터 9개월 연속 감소하거나 제자리걸음 했다.

김 심의관은 "(3월에는) 광공업 생산이 큰 폭 증가했고 소매 판매와 서비스업 생산도 전월에 이어 증가세를 이어갔다"면서도 "(경기가) 본격 회복 국면에 들어섰다고 보기에는 이르다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기획재정부 이승한 경제분석과장은 "올해 1분기는 완만한 소비회복과 건설투자 실적개선 등에 힘입어 작년 4분기의 부진한 실물경기 흐름을 차츰 벗어나는 모습"이라면서 "다만 향후 경기 흐름은 중국 리오프닝 효과 기대감, 서비스업 생산의 완만한 개선 흐름 등 긍정적 요인이 있지만 글로벌 경기회복세 약화 가능성과 반도체 등 주력 정보기술(IT) 품목의 수출 부진 등이 부담 요인이 있다"고 분석했다.

<연합뉴스>​ 

0
  • 기사입력 2023년04월28일 10시16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