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미래연구원은 국민행복에 도움이 되는 사회적 담론 형성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상세검색

한 전체검색 결과

게시판
1개
게시물
697개

64/70 페이지 열람 중


청계산 칼럼 게시판 내 결과

  • 5.8 강진사태, 세월호의 데자뷔 : 누구의 잘못인가? - 현장취재, 지진 세미나를 다녀오다. 새창

    관측 이래 최대 규모로 일어난 지진지난12일 오후7시44분과8시32분에 각각 규모5.1과5.8의 강력 지진이 경상북도 경주시 남남서쪽9km지점에서 발생했다.규모5.8의 지진은1978년 지진 계측을 시작 이래 가장 강력 규모의 지진이다.12일 지진 이후 약 일주일간374회에 이르는 여진이 발생했다.지난 번 지진과 같은 시간인, 8시32분경에 일어난 지진은 그 피해액이 약100억 원으로 추산되고 있다.그간 대규모 지진의 위험은 거의 없다고 생각했던 반도에서 발생 이번 지진은,해당지역 당사자 뿐 아니라 수많은 국민들에게 심리적으…

    최정윤, 황주상(DADFA) 2016-09-25 23:12:36
  • 감수성이 사라진 대민국 : 오글거림의 미학 새창

    지난 2015년 12월 31일 <SBS 연기대상>에서의 유아인의 수상소감은 화제를 불러일으켰다. 그는 판에 박혀있던 수상 소감에서 벗어나, 배우로서 당면해왔던 고뇌와 기쁨 그리고 일련의 감정들을 솔직하고 진정성있게 전달하며 이를 지켜보던 이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그런데 일각에서는 ‘느끼하다’ ‘허세부린다’와 같은 부정적 반응이 일었는데, 배우 유아인 특유의 표정과 제스쳐 그리고 다소 감성적인 언어들이 보는이들로 하여금 ‘오글거리는’ 감정을 느끼게 했다는 이유에서다. 오글거림을 나쁘다고 말하는 게 나쁘다.유아인의 수상…

    최문교(fghbvcv) 2016-09-23 20:47:05
  • 댓글 | 사드 반대, 누구를 위 주장인가? 새창

    본론 의견에는 대체로 동의합니다. 그런데 글 시작하면서 작성 송의 역사에 대 내용이 잘못 되었습니다. 몽골에게 멸망 송은 남송입니다. 이때가 1279년입니다. 5대 10국에서 5대의 마지막 왕조 후주가 960년 조광윤에게 선양 것과 관계 있습니다. 5대의 마지막과 송의 건국이 겹칩니다. 이후 여진이 세운 금에 의해 북송이 멸망하고, 다시 강남 지역에서 남송이 세워진 겁니다. 처음부터 사실이 틀리면 신뢰를 잃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고치시는 게 좋을 것 같네요.

    3984(fb421342043485492) 2016-09-18 01:00:05
  • 댓글 | 사드 반대, 누구를 위 주장인가? 새창

    "대민국의 안보는 오직 대민국만이 책임질 수 있는 문제다. " 이런 주장 할려면 제발 전작권부터 회수하라고 나불대라.. 그때그때 다른 대가리엔 똥만 찬거다.

    씨나락(tw284098239522427) 2016-09-17 20:45:05
  • 사드 반대, 누구를 위 주장인가? 새창

    5대 10국 중 송나라는 단연 대국이었다. 경제력, 영토, 문화 모든 것이 풍요로웠다. 이런 송국을 멸망시킨 건 놀랍게도 오랑캐 취급을 받던 작은 나라 몽골이었다. 역사가들은 대국인 송나라가 몽골처럼 작은 나라에 무너진 까닭을 송국의 안일 국방의식에서 찾는다. 재화와 문화교류로 주변국과 화친하던 전략이 몽골에는 통하지 않은 탓이다. 국방문제를 늘 화친일변도로 접근했으니 국방력이 허술했음은 자명하다. 국방의 중요성은 <논어>에도 등장다. 공자는 국가운영의 3요소로 국방, 경제, 신뢰를 꼽았다. 나라를 지킬 수 있을 정…

    옥소현(oksohyun) 2016-09-16 19:34:42
  • 진경준 전 검사장과 4천원의 무게 새창

    "휴가철 열차 암표 회사원 쇠고랑."20년 전 1996년 7월 28일자‘겨레’에 실린 기사 제목이다. 기사의 내용은 미리 사둔 열차표 1장을 피서객에게 팔아 4천원의 부당 이득을 챙긴 회사원을 이례적으로 구속기소 했다는 내용이다.4천원의 부당이득으로 인해 내려진 판결은 구속이었다. 그를 구속기소 젊은 검사는 법정에서 이렇게 말했다. ‘피서객이나 귀향객들의 심리를 악용해 부당이득을 올리는 나쁜 범죄, 휴가철을 앞두고 암표상들에게 경종을 울리기 위해 구속기소다.’사회의 경종을 울리고 옳지 못 관행을 철폐하기 위…

    김지우(ramelli) 2016-09-16 18:21:36
  • 인문학의 위장된 '부활' 새창

    ‘국문과 가서 뭐 먹고 살게?’ 2014년 설날, 삼촌이 물었다. 친척집을 돌며 나는 그 질문을 오십 번 정도 더 들었다. 늘 국문과를 오고 싶던 나는 ‘속물들 같으니라고…’하며 궁시렁거렸지만 속이 썩 편친 않았다.취업률을 살펴볼 필요도 없다. ‘문송합니다(문과라서 죄송합니다)’, ‘인구론(인문계 90%가 논다)’이란 단어만 봐도 인문계의 씁쓸 현실을 엿볼 수 있다. 불안 인문학계의 입지에도 불구하고, 대민국은 인문학 열풍이었다.그러나 문사철을 대하는 세상의 태도는 달라지지 않았다. 인문학이 도대체 무엇인가. 유령 같은 인문학…

    김태언(lili1010) 2016-09-13 20:06:16
  • 신뢰를 잃은 기상청, 이제는 고쳐야다. 새창

    기상청의 ‘말(言)’은 언제부터 가벼워졌나최근 ‘말(言)’에 대해 생각이 많아진 데는 뜬금없게도 지긋지긋했던 폭염과 무관하지 않다. 올여름의 폭염은 1907년 서울에서 기상관측을 시작 이래 최고였으며 가장 장기간 폭염 경보가 발생 1994년보다 5일 적은 24일 연속 폭염 경보가 울렸다. 끝이 없을 것 같은 숨 막히는 더위에 “폭염이 이번 주말에 꺾일 전망이다”라는 기상청의 ‘말’은 국민에게 그 어느 때보다 의미가 컸다.기상청의 말 1. 오보기상청은 말을 계속 바꾸고, 틀리고를 반복하며 국민의 ‘짜증’을 제대로 건드렸다. 7월엔…

    정유진(sdf6sf654) 2016-09-09 21:37:58
  • 청년이 본 김영란법 : 첫 술에 배부를 수 없다. 새창

    알고 계십니까, 김영란법?김영란법은 무엇인가지난 7월 28일, 헌법재판소는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 법률(청탁금지법)’, 일명 ‘김영란법’에 대하여 합헌 판결을 내렸다. 이에 따라 오는 9월 28일부터는 김영란법이 본격적으로 시행된다. 국민권익위원회에서는 적용대상 기관과 대상자 기준을 발표했다. 적용대상자가 약 400만 명에 달해 현 사회의 접대 및 조직문화 등에 큰 변화의 바람이 불 것으로 예상된다.부패 없는 사회는 우리 국민 모두의 염원이다. 그런 소망이 김영란 전 국민권익위원장에 의해 추진된 것이 청탁금지법이…

    권민기(ss323232) 2016-09-09 21:35:25
  • 댓글 | 개강, 청년들의 각기 다른 자화상 새창

    씁쓸 기사네요

    9670(fb563351331558079) 2016-09-03 22:5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