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미래연구원은 국민행복에 도움이 되는 사회적 담론 형성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상세검색

경제 전체검색 결과

게시판
1개
게시물
557개

8/56 페이지 열람 중


김광두의 1년 후 게시판 내 결과

  • 문재인 정부 4년 경제 평가 <2> 소득격차 더 키운 이전소득 새창

    - 기획시리즈를 통해 문재인 정부 지난 4년 동안 경제적인 성적이, 성과가 어땠는지를 좀 광범위하게 다루어 보려고 한다. 첫 번째로 지난 번(5월5일자) ‘(1)소득주도성장의 그늘’이란 제목으로 문재인 정부 4년의 소득증가를 이전 정부들과 비교 검토해 보았다.-오늘은 ‘이전소득’에 대한 분석이다. 이전소득이 뭐냐 하면 ‘그냥 거저 주는 돈’인데 그것도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개인적으로 거저 주는 돈이 있고, 다른 하나는 정부에서 주는 것, 즉 보조금이나 노인들에게 드리는 그런 어떤 돈, 이런 것들이 다 이전소득이다.- 문재인 정부…

    신세돈(seshin) 2023-02-28 16:36:34
  • 문재인 정부 4년 경제 평가 <1> 소득주도성장의 그늘 새창

    - 문재인 정부도 끝나 가는데 지난 4년 동안 어떤 성과를 냈는가 하는 것을 시리즈로 다루어본다. 특히 이 정부는 소득주도성장을 줄기차게 주장을 해왔고, 공식적으로 소득주도성장을 폐기를 하지 않았으니까 지금도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어디에 숨어있는 그런 상황이다.- 우선 국민들의 소득이 늘었는가를 따져봐야 되는데 조금 어려운 점이 하나있다. 2018년을 기준으로 해서 통계가 상당히 바뀌어버렸다. 그런데 다행인 것은 종래의 기준과 바뀐 기준으로 만들어보아도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는 점이다. 월 소득기준으로 5만 원 정도인데 괴리가 크…

    신세돈(seshin) 2023-02-28 16:24:52
  • 미국 금리 향방은 물가에 달렸다···연준의 대응 새창

    - 전 세계에서 가장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일 중에 하나가 미국 금리다. 미국 금리향방의 키는 연방은행이 쥐고 있다. 연방은행은 최근 시중에서 장기금리가 올라가니까 여기에 대해 “기준금리 올릴 일 없다. 최소한 금년 연말까지는 금리를 올리지 않을 것이다.”라고 밝힌 바있다. 그런데 최근 한 2~3주는 장기금리가 조금씩 떨어지면서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여기서 두 가지를 생각을 해봐야 될 부분이 있다.- 하나가 뭐냐면 연준이 금년에는 기준금리를 올리지 않을 것이라고 하는 전제가 뭐였냐 하면 ‘물가가 안 올라갈 것이다. 물가상승 목표…

    신세돈(seshin) 2023-02-28 14:57:52
  • 美 바이든 정부의 ‘Buy American’ 정책 강화, 뭘 노리나? 새창

    - 미국 제46대 대통령으로 지난 달 20일 취임한 조 바이든 대통령이, 취임 직후부터 잇따라 내놓고 있는 각종 정책들 가운데, 특히 미국 제조업 산업을 보호, 육성하는 것을 근간으로 하는 ‘Buy American 강화’ 를 천명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취임 후 불과 10여일 동안에 무려 40여 건에 달하는 대통령령을 발표하고, 특히 전임 트럼프 대통령이 취했던 소위 일탈 된 정책 노선을 정상으로 되돌리는 조치를 취했다.-가장 상징적인 조치로는, 트럼프 전 대통령이 2017년 1월 취임 직후 탈퇴를 선언했던 기후 변화 대응 국제 협…

    박상기(sangki) 2023-02-28 14:50:02
  • 코로나 이후의 고령사회, 어떻게 대처해야 하나? 새창

    - 오늘은 코로나 사태 이후 고령사회에 어떤 변화가 예상되고,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에 대해 말씀드리고자 한다. 코로나 이전에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쳤던 감염병은 2000년도 초반의 사스를 비롯해 메르스, 독감, 에볼라가 있었다.- 치사율은 사스가 10%, 메르스는 30%, 독감은 약 0.1~0.2%였는데 에볼라는 치사율이 50%로 아주 무서운 질환이었다. 거기에 비해 코로나는 치사율이 2% 정도로 낮지만 감염력이 매우 높다. 코로나가 국제적으로 알려지게 된 것은 2019년 12월 31일에 중국에서 WHO에 괴질이 생겼다고 보고하면서부…

    박상철 전남대학교 석좌교수(admin) 2023-02-28 14:43:48
  • [설날 특집] 백세시대의 장수식단(長壽食單)은 무엇일까요? 새창

    - 이 시간에는 코로나 사태에 100세 시대라는 것을 내용으로 이야기를 하면서 우선 장수식단이란 것이 무엇인가? 우리 전통식단이라는 것이 장수식단으로서의 의미가 있는가? 그런 내용을 전하고자 한다.- 제가 장수(長壽)라는 것을 설명하면서 “이것은 ‘집짓기’다. 기초가 튼튼해야 하고, 기둥이 튼튼해야 하고, 지붕이 튼튼해야 한다”고 설명한다. 기초라는 것은 뭐냐? 고정인자, 예를 들면 유전자, 남자, 여자, 또는 성격, 또는 그 지역의 사회적인 문화, 생태환경. 이런 것이 기초적인 여건이다.- 그 다음에 개인적인 여건을 말할 수 있는…

    박상철 전남대학교 석좌교수(admin) 2023-02-28 14:22:28
  • 올해 주택 경기전망과 부동산 투자전략 새창

    - 오늘 세 가지 관점에서 얘기를 나누고자 한다.첫째는 지금이 집을 살 때인가? 팔 때 인가? 집이라는 주어를 부동산으로 바꿔도 된다. 부동산 매매의 시기선택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는 지역 선택에 관한 문제이다. 내가 지금 집을 산다면, 어느 지역의 집을 살까? 세 번째는 집이 여러 채가 있는 다주택자인 경우 어떤 주택을 보유하고, 또 어떤 주택을 팔아야 할까? 결국 상품선택의 문제다.- 우선 도시공학에서 지역은 ‘성장지역’이냐, ‘비성장지역’이냐로 나눈다. 또 비성장지역은 ‘쇠퇴지역’이냐, ‘축소지역’이냐로 나뉜다. 답은 당연히…

    고종완(kojw) 2023-02-28 14:17:48
  • 코로나 시대 주식투자 성공비결(下) 높은 수익 올리는 방법 새창

    - 두 번째 얘기는 우리가 주식을 왜하는가? 어떻게 하는 게 좋겠는가라는 부분이다. 우리가 주식을 하는 이유는 돈 좀 벌어가지고 차 바꾸거나 소고기 사먹으려고 하는 것은 아니다. 백세시대에 노후를 대비해 자산을 계속 쌓아 나가는 것이다. 금리가 낮고, 부동산은 오를 대로 올랐기 때문에 좋은 주식을 차곡차곡 적금 넣듯이 쌓아가야 한다. 40~50년 가지고 가도 망하지 않을 주식이어야 한다. 그래서 초우량주식을 모아야 한다.- 미국 같은 경우는 상장기업은 정말로 초우량주식들만 모아놨다고 보면 된다. 미국은 GDP를 집계하면서 기업의 이…

    서철수 미래에셋리서치센터장(admin) 2023-02-28 14:09:24
  • [辛경제] 주가 전망, 불안한 이유 ③ 국제금리 동향 새창

    - 주식시장을 불안하게 보는 세 번째 이유로는 금리 문제다. 지난 2008년도 국제금융위기 이후 미국을 필두로 해서 전 세계가 거의 제로금리를 보였다. 벌써 12년~13년째 해 오고 있다.- 이런 초저금리가 상당히 많은 문제점을 유발하고 있다. 무슨 문제냐? 돈이 실물경제로 흐르지 않고 증시에 몰리거나 부동산 투기에 동원된 것이다. 그런 문제점을 맨 처음 파악하고 대책을 세운 사람이 미 연준(FRB)의 재닛 옐런 의장이다. 2015~2017까지 연준의장으로 있으면서 연방은행이 푼 돈이 실물경제로 가야하는데 증권 쪽으로 흘러가 증시를…

    신세돈(seshin) 2023-02-28 13:38:11
  • [辛경제] 주가 전망, 불안한 이유 ② 단타와 높은 회전율 새창

    - 두 번째로 지금 증시를 우리가 어둡게 보고, 또 무섭게 보는 이유는 ‘회전율’이라는 것에 많이 달려 있다. 표에서 보여주듯 우리 주식시장의 회전율이 굉장히 높다. 회전율이란 일정기간 동안 거래가 일어난 주식 수를 분자에 놓고, 주식시장에 상장된 전체 주식 수를 분모로 해서 나눈 백분율이다. 즉, ‘전체 주식이 얼마인데, 거래가 얼마만큼 일어났느냐’ 라고 하는 비율을 우리는 상장주식 회전율이라고 한다. 만약 회전율이 100%면 전체 상장주식 수만큼 일정기간동안 거래량이 일어난 것이다.- 그런데 회전율이 100%라 해도 모든 주식이…

    신세돈(seshin) 2023-02-28 13:34: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