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미래연구원은 국민행복에 도움이 되는 사회적 담론 형성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상세검색

ifsPOST 전체검색 결과

게시판
1개
게시물
391개

28/40 페이지 열람 중


보고서 게시판 내 결과

  • 채권 및 주식시장 변동성 확대-최근 국제금융동향 <2021.2.27 분석> 새창

    1. 2021년 2월 국제금융시장  - 코로나19 관련 백신 접종 국가 확산 속에서 미국 장기 국채금리의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다.- 미국 등 주요국 주가는 최근 미국 장기 국채금리 상승에 따라 주가 변동성 역시 확대되고 있다.  주요국 주가는 최근 일평균 2% 내외로 급등락 하는 경우가 많았다.- 최근 달러지수는 상승하였으나 엔화나 유로화는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글로벌 주가 하락에 안전자산 선호 및 미국 경기개선 징후 확인 등이 그 요인이다.- 주요국 채권금리는 전반적으로 상승하고 있으며, 최근 장기 국채금리 상승폭도 확대되고 있…

    국가미래연구원(6b10efe0618478f8032f) 2021-03-01 16:30:00
  • 코로나이익공유제의 본질과 개선방안 새창

    1. 왜, 코로나이익공유제인가? – 재난지원금 재정의 한계• 4차 재난지원금으로 인한 국가부채의 증가• 조세 징세의 한계– 사회보험 등 재원의 한계• 사회보험 재정 적자 심화• 2020년도 고용보험 적자 8조원 등– 도덕적 해이: 5년간 5번 퇴직자 1만명, 478억 지급– 취약계층 지원/기부 한계• 생계 불안 심화– 코로나이익공유제(안)• 코로나 수혜 기업의 이익 환수– 다음은? 2. 결론: 코로나 대책 방향 ▲ 보상금 제도 도입 프로세스의 개혁 및 법제화– 시범사업/경제사회적 분석– 법안 결정– 실행에 따른 부작용 조정▲ 코로나…

    김원식 건국대학교 교수(research_noImage.png) 2021-02-27 17:30:00
  • 바이든 행정부의 외교정책 전망 새창

     이 보고서는 세종연구소가 발간하는 [세종정책브리프 2021-2]에 실린 것으로 연구소의 동의를 얻어 게재합니다. 1. 트럼프 시대의 외교정책 레거시 - 트럼프 임기 중 주요 성과로 꼽히는 것으로는, 국내 정책에서는 기업 감세, 규제 철폐, 경제 호황 지속, 대중국 강경노선, NAFTA 등 무역협정 개정, 우크라이나 지원, 이스라엘-아랍 관계 정상화 등을 꼽을 수 있다.- 반면 이러한 성과에 비해 더욱 두드러지는 세 가지 중요한 실패는 민주주의의 퇴조, COVID-19 대응의 실패, 글로벌 리더십의 약화 초래 등을 들 수 있다. 2…

    이상현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research_noImage.png) 2021-02-20 17:10:00
  • 역대급 고용한파-최근 경제동향 <2021.2.19. 분석> 새창

    1. 2021년 1월 취업자 수 전년 동월대비 98.2만명 감소, 비경제활동인구 86.7만명 및 일시휴직자 34.6만명 증가- 지난 1월 고용률(57.4%)은 전년동월(60.0%)대비 2.6%p 하락했고,1월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대비 98.2만명(-3.7%) 감소했다. 특히 30대, 40대 취업자는 전년 동월대비 각각 27.3만명과 21.1만명이 각각 감소하여 고용 악화 지속됐고, 증가세를 유지해왔던 60대 이상 취업자도 전년 동월대비 1.4만명 감소, 전월대비 47.1만명 감소하는 양상으로 변했다. - 업종별로 보면 전년동월대비…

    국가미래연구원(9b2ac06c269307921275) 2021-02-19 12:23:00
  • 4차산업혁명시대, 대한민국은 준비되어 있는가? 새창

      이 보고서는 동반성장연구소(이사장 정운찬)가 발간한  책 ‘동반성장 원리와 자본주의 정신-동반성장 사회를 위한 정책과제’(2020.4 제3장 P36~58)에 실린 논문으로 연구소의 동의를 얻어 게재합니다.  1. 대한민국은 과연 4차산업혁명을 맞이할 준비가 되어 있을까? 필자가 생각하기에 한국은 아직 많이 부족한 부분이 있는 것 같다. 본 발표에서는 먼저 산업혁명이란 과연 무엇인지 알아보고, 다음 한국은 4차 산업혁명을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에 대하여 같이 살펴보고자 한다. 2. 우리나라는 아직도 2차 산업혁명의 패러다임조차도 제…

    박진우 서울대학교 교수(research_noImage.png) 2021-02-13 18:26:00
  • OECD 통계에서 자산세(property tax)의 구성과 국제비교, 2020년 현재 새창

    한국 부동산관련 세금의 GDP 대비 비중은 OECD 국가 중 최상위권현재 통계기준으로는 OECD 국가 중 최고의 자산세 부과 국가 현 정부 들어 공시가격 ‧ 종부세율 인상 및 주택가격의 폭등 때문 1. OECD 통계에서 자산세(property tax)는 모두 6가지 세금으로 구성돼 있다. ▲부동산 재산세(immovable property taxes, 정식 명칭: recurrent taxes on immovable property) ▲순자산세(net wealth taxes, 정식 명칭: recurrent taxes on net wea…

    유경준(research_noImage.png) 2021-02-06 17:10:00
  • 주식시장 변동성 확대-최근 국제금융동향 <2021.1.31. 분석> 새창

    1. 2021년 1월 국제금융시장 동향 - 코로나19 재확산 속에서 일부 국가의 주식시장 변동성이 상당히 큰 상황이다. 우선 미국 등 주요국 주가는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후, 지난 1월 말 급락했다. 미국 다우존스, 한국 코스피 등은 개인투자자들의 숏스퀴즈가 발생하면서 월말 주가 하락했다. - 달러지수는 상승하였으나 엔화 등은 하락했다. 글로벌 주가 하락에 따른 안전자산 선호를 반영한 것이다. 주요국 채권금리는 안전 자산 선호로 전반적 상승세를 보였다. -국제유가는 백신 접종 등으로 전월대비 상승세를 보였다.  2. 공매도 등으로 …

    국가미래연구원(66ab53ce54212b59f4ac) 2021-02-01 12:00:00
  • 2021 한국경제 전망과 이슈: 코로나, 탈세계화 및 바이든 시대 새창

      이 보고서는 2021년 1월 동반성장포럼의 주제발표 자료로 작성됐으나 코로나로 인해 집회가 어려워 자료제공으로 대체한 것임을 밝혀둡니다. ​ 1. 코로나 이후 변화와 2021년의 3대 진퇴양난(進退兩難) - 2021년 한국경제는 3대 진퇴양난 해결에 달려 있다. 따라서 절묘한 균형과 이를 실현할 리더십이 필요하다. ① 첫째 과제는 내수와 수출의 균형이다. 한국형 쌍순환 탈세계화와 디지털화를 통해 리쇼어링과 심층형 내수 동력 산업 즉, 한국에서 세계시장 공략 전략을 만들어야 한다. ② 둘째 과제는 재정지출과 국가채무 증가의 균형이…

    이근서울대교수(research_noImage.png) 2021-01-30 17:10:00
  • 감사위원 분리선출 제도 도입의 효과와분리선출 감사위원 추천 대상회사 분석 새창

    개별 3% 방식 채택으로 대주주의 의결권 제한 효과가 제한적하지만, 일괄선출에 비해서는 외부주주의 감사위원 선임가능성 크게 높여분리선출 효과를 더욱 제한하는 정관개정에 유의해야국민연금 등 기관투자자들, 올해 감사위원 분리선출 적극 시도해야 1. 경제개혁연구소는 1월27일 경제개혁리포트 2021-02호 「감사위원 분리선출 제도 도입의 효과와 분리선출 감사위원 추천 대상회사 분석」을 발표했다. 이 보고서는 상법의 개정에 따라 도입된 감사위원 분리선출 제도가 대주주의결권 제한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 기업집단에 속한 회사 중 주주제안을 …

    경제개혁연구소(research_noImage.png) 2021-01-28 16:08:00
  • 내수양극화 심화와 고용 침체 - 최근 경제동향 <2021.1.21. 분석> 새창

    1. 2020년 12월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대비 62.8만명 감소하였으며, 비경제활동인구 68.9만명 및 일시휴직자 43.8만명이 증가했다. 12월 고용률(59.1%)은 전년 동월(60.8%)대비 1.7%p 하락했고, 12월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대비 62.8만명(-2.3%) 감소했다. 2. 연령별 취업자 수 증감을 보면 30대, 40대 취업자는 전년 동월대비 각각 24.7만명, 18.3만명 각각 감소하여 고용 악화가 지속되고 있다. 반면 60대 이상 취업자 전년 동월대비 24.9만명이 증가 했으나 전월대비로는 42.5만명이 감소…

    국가미래연구원(16a19d1a88e758545adb) 2021-01-21 11:3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