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미래연구원은 국민행복에 도움이 되는 사회적 담론 형성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상세검색

러시아 전체검색 결과

게시판
1개
게시물
58개

4/6 페이지 열람 중


보고서 게시판 내 결과

  • 미국의 한반도 확장억지는 약화되어 왔는가? : 그 진화와 신뢰성의 재평가 새창

      이 보고서는 세종연구소가 발간하는 ‘국가전략, 제27권 3호 2021년 가을호’에 실린 것으로 연구소의 동의를 얻어 게재합니다. ​ < 미국의 한반도 확장억지의 과제와 방향 > 1. 한국에게 미국의 확장억지는 분명 중요한 안보자산이다. 한국은 한반도 주변에서 북한, 중국 및 러시아의 핵무기에 대해 자체적인 핵 억지력을 가지지 못하기 때문에 미국의 확장억지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확장억지의 신뢰성 문제가 한국의 안보전략에서 핵심적인 이슈가 되는 이유이다. 이 글은 일부의 우려와는 달리 미국의 한반도 확장억지가 한미간 합…

    황지환 서울시립대학교 교수(research_noImage.png) 2021-09-13 17:00:00
  • 美中 전략경쟁에 대한 중국의 인식과 대응 새창

      이 보고서는 세종연구소가 발간하는 [세종정책브리프 2021-14](2021.8.12.)에 실린 것으로 연구소의 동의를 얻어 게재합니다. ​▲​ 한시엔둥(韩献栋), 세종-KT&G 차이나 펠로우, 중국 정법대학 조선반도 연구센터 주임▲​ 정재흥 (세종연구소 연구위원)   ■ 바이든 행정부 출범과 미중전략경쟁 본격화 ○ 바이든 행정부는 미중관계에 있어 "경쟁해야 할 때는 경쟁하고 협력할 수 있을 때는 협력하고 반드시 적대적으로 대응해야 할 때는 그렇게 할 것이다"(competitive when it shoul…

    한시엔둥(韩献栋)(research_noImage.png) 2021-08-13 12:00:00
  • 동북아플러스 책임공동체 형성의 한계와 가능성 : 신북방정책을 중심으로 새창

      이 논문은 세종연구소가 발간하는 ‘국가전략, 제27권 2호 2021년 여름호’에 실린 것으로 연구소의 동의를 얻어 게재합니다. ​ < 요약 >본 연구는 신북방정책의 추진 현황과 한계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동북아플러스 책임공동체’(이하 동플) 형성을 위한 신북방정책의 발전 방향 제시를 그 목표로 한다. 2017년 집권한 문재인 정부는 임기 초반부터 중국 및 러시아 등 북방국가들과의 관계 발전을 통해 북한의 개혁 개방을 유인하고 더 나아가 유라시아 지역 협력의 초석으로 작용할 수 있는 동플의 구축을 골자로 하는 신북방…

    최영미 전남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부교수(research_noImage.png) 2021-06-16 16:40:00
  • 바이든 시대 NATO동맹 : 전망과 함의 새창

      이 보고서는 세종연구소가 발간하는 [세종정책브리프 2021-11](2021.5.21.)에 실린 것으로 연구소의 동의를 얻어 게재합니다. ​  1. 2021년은 환대서양 동맹기구 NATO 72주년 - 올해는 30개국 (북미와 유럽) 동맹체인 ‘북대서양조약기구’ (The North Atlantic Treaty Oranization, 이하 NATO) 창설 72주년이 되는 해이다. 1949년 12개 창설회원국이 워싱턴 D.C.에서 ‘북대서양조약’(The North Atlantic Treaty, 1949.4.4. 일명 ‘워싱턴조약’)에 …

    정은숙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research_noImage.png) 2021-06-01 16:00:00
  • 바이든 행정부의 대북정책 검토와 한미의 전략적 협력 방향 새창

      이 보고서는 세종연구소가 발간하는  [세종정책브리프 2021-8](2021.4.29.)에 실린 것으로 연구소의 동의를 얻어 게재합니다. ​ ■ 바이든 행정부의 대북 인식과 정책 검토 1. 조 바이든은 대통령 선거과정에서 김정은에 대해 ‘독재자’, ‘폭군’, ‘도살자’, ‘폭력배’ 등으로 묘사하면서 매우 부정적인 인식을 보임  - 세 차례의 북미정상회담에 대한 바이든의 평가도 매우 부정적인 것이어서 바이든 행정부가 싱가포르 북미정상회담 합의를 계승할 가능성은 희박  2.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도 김정은에 대해 ‘독재자’라는 표현을…

    정성장 세종연구소 북한연구센터장(research_noImage.png) 2021-05-01 17:10:00
  • 바이든 행정부의 외교정책 전망 새창

     이 보고서는 세종연구소가 발간하는 [세종정책브리프 2021-2]에 실린 것으로 연구소의 동의를 얻어 게재합니다. 1. 트럼프 시대의 외교정책 레거시 - 트럼프 임기 중 주요 성과로 꼽히는 것으로는, 국내 정책에서는 기업 감세, 규제 철폐, 경제 호황 지속, 대중국 강경노선, NAFTA 등 무역협정 개정, 우크라이나 지원, 이스라엘-아랍 관계 정상화 등을 꼽을 수 있다.- 반면 이러한 성과에 비해 더욱 두드러지는 세 가지 중요한 실패는 민주주의의 퇴조, COVID-19 대응의 실패, 글로벌 리더십의 약화 초래 등을 들 수 있다. 2…

    이상현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research_noImage.png) 2021-02-20 17:10:00
  • 팬데믹하 위기의 국제질서와 글로벌 거버넌스-미국 신행정부에 거는 기대 새창

      이보고서는 세종연구소가 발간하는 [세종정책브리프 2020-21](2020.12.14. )에 실린 것으로 연구소의 동의를 얻어 게재합니다.​ [핵심 요약]​ ▲ 코로나19 팬데믹 백신개발 소식, 기대와 우려  - 2020.12. 현재 극소수 백신개발(미국, 영국, 러시아, 중국) 소식으로 인해 2021년내 세기적 팬데믹 코로나19가 수그러질 것이라는 한줄기 희망을 안겨줌. 그렇지만 동시에 지금의 글로벌 보건 거버넌스 위기가 또다시 미·중 신냉전 촉진, 나아가 포스트-팬데믹 지정학 경쟁 가속화 조짐도 보이는 중차대한 시점임.   ▲…

    정은숙 세종연구소 안보연구실장(research_noImage.png) 2020-12-19 16:00:00
  • 2020 글로벌 주식시장 전망 새창

    1. 2020년 글로벌 경제는 완만한 회복국면 사이클에 진입할 전망이다. (세계경제 GDP성장률은 2019년 +3.0%에서 2020년 3.5%로 상향하는 것이다. 다만, 미국(2.3→2.2%)과 중국(6.1→6.0%)의 성장이 둔화되는 반면, 선진국 중에는 유로 존이 신흥국은 인도, 러시아, 브라질 등이 회복을 주도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같이 G2의 성장 둔화 상황에서 기타 신흥 주도의 회복은 글로벌 주식시장의 ‘탄력적 상승’을 이끌기에 다소 한계가 있을 것이다.2. 올해 글로벌 주식시장은 ‘성장’ 보다는 ‘위험대비 기대수익률’…

    오현석(patky) 2020-01-05 17:00:00
  • 신냉전과 북핵, 그리고 한국안보 새창

    김태우 전 통일연구원장은 지난10월8일 선진사회만들기연대(선사연)역사포럼이 주최한 세미나에서‘신냉전과 북핵,그리고 한국안보’라는 주제의 특강을 했다.다음은 이날 세미나에서 발표된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편집자>​​1. 신 냉전과 칠면초가(七面楚歌)의 한국 안보 : 김정은의 꿈은 핵 보유를 기정사실화하고 한미동맹을 이완시킨 이후 연방제 통일을 하는 것이다. 미국과 중국의 패권경쟁과 무역전쟁으로 실현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다. 중국은 북한정권의 생존지원은 물론 사드압박을 통한 한국 때리기에 나섬으로써 한국 길들이기에 나섰고, …

    김태우 前 통일연구원장(defensektw) 2019-10-12 19:10:00
  • 퍼펙트 스톰이 닥쳐온다-‘표류하는 대한민국, 좌표를 찾아서’ <1>외교 새창

    서강대학교 남덕우기념사업회는 9월26일 서강대 GN관에서 ‘표류하는 대한민국, 좌표를 찾아서’를 주제로 한 제4차 토론회를 개최했다. 중앙일보 후원으로 열린 이날 토론회는 ▲표학길 서울대 명예교수의 사회로 ▲ 윤덕민前국립외교원장과 ▲ 신원식前 합동참모본부작전본부장▲신세돈 숙명여대 경제학부 명예교수의 주제발표에 이어 ▲김경수 성균관대 경제학과 명예교수 ▲김동호 중앙일보 논설위원 ▲김병연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 ▲신범철 아산정책연구원 안보통일센터장 등이 토론에 참여 했다. 다음은 이날 세미나의 주제발표 및 토론 내용을 외교·국방·경제부…

    서강대학교 남덕우기념사업회(sgndu) 2019-10-02 17: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