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미래연구원은 국민행복에 도움이 되는 사회적 담론 형성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상세검색

연구위원 전체검색 결과

게시판
12개
게시물
404개

11/41 페이지 열람 중


보고서 게시판 내 결과

  • 반덤핑조치의 국제적 확산과 조사기법 다양화의 영향 및 정책시사점 새창

    ► 반덤핑조치는 2010년대 들어 확대 추세 - 최근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세계 경제성장 둔화가 당분간 지속될 전망. 향후 세계 각국은 반덤핑조치 등 자국산업 보호조치를 취할 가능성이 높음. - 1995년부터 2020년까지 전 세계 반덤핑 조사개시 건수는 총 6,300건으로, 가장 많은 조사를 개시한 국가인 인도는 1,071건, 이어 미국 817건, EU 533건, 브라질 427건이며, 동 기간 가장 많은 반덤핑 조사개시의 대상이 된 국가는 중국으로 건수는 총 1,478건, 비중은 전 세계 건수의 23.5% - 반덤핑조치의 경우…

    조문희·이천기·강민지·정민철(admin) 2022-08-20 17:00:00
  • 팬데믹 이후 기업의 혁신트렌드와 금융에의 시사점 새창

    GFIN 제21회 공개세미나 개최,8일 여의도 63컨벤션센터윤만호 EY한영 회장 (글로벌금융학회 부회장) 주제발표  관련 동영상 보러가기발제 : https://ifs.or.kr/bbs/board.php?bo_table=kimkwangdo&wr_id=677토론 : https://ifs.or.kr/bbs/board.php?bo_table=kimkwangdo&wr_id=678  경제금융협력연구위원회(GFIN)는 6월 8일 63컨벤션센터 사이프러스룸에서 제 21회 공개세미나를 열고 “팬데믹 이후 기업의 혁신 트렌드와 금융에의…

    국가미래연구원(admin) 2022-06-11 17:00:00
  • 중국의 위안화 국제화 추진 경과와 우리나라 외환부문에 미치는 영향 새창

      ▶ 중국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장기간에 걸쳐 위안화 국제화를 꾸준히 추진  - 정책 기반 및 결제 기능 강화(2009~14년): 위안화 무역결제를 확대하고, 홍콩 중심의 역외 위안화 시장 육성   - 후퇴(2015~16년): 2015년 중국 증시 폭락 및 위안화 가치 절하로 대부분의 위안화 국제화 지표 하락   - 금융시장의 양방향 개방(2017~20년): 역내 금융시장의 개방으로 투자 통화로의 역할 확대  - 국제화 재개(2021년 이후): 신(新)성장전략(쌍순환 전략), 일대일로, 디지털 통화 등을 통해 새로운 …

    정영식·김효상·문지영·양다영*(admin) 2022-06-11 16:45:00
  • 디지털 전환 시대의 디지털 통상정책 연구 새창

    ▶ 이 보고서의 목적은 중장기 디지털 통상정책의 방향과 주요 정책과제 제시임.   - 디지털 무역과 디지털 무역장벽, 글로벌 디지털 통상규범의 제정 추이, 한국의 디지털 통상정책 추이와 쟁점, 한국의 디지털 통상정책에 대한 평가 등  ▶ 디지털 무역의 현황과 효과를 분석하고 국내기업의 디지털 무역장벽 실태를 조사함.   - 기관 자료를 결합하여 한국의 온라인 서비스 수출 규모(하한값) 추정  - 전자상거래 여부에 따른 국내기업의 일인당 매출액 성장률 차이 추정  - 무작위 추출 디지털 무역장벽 실태 설문조사(업체 1,029곳 응답)…

    저자 이규엽 외 5인(admin) 2022-05-07 17:00:00
  • 2022년 금융권별 당면 과제와 대응 방안 새창

    ◇금융정책 관련 주요 현안 및 정책 제안(GFIN전문위원회) ◇은행업 현안과 정책과제(정중호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소장) ◇보험업 현안과 정책 과제 (조영현 보험연구원 금융제도연구실장) ◇ 금융투자업 현안과 정책 제안 (이우식 NH금융연구소 소장)​ 경제금융협력연구위원회(GFIN)는 최근 ‘2021연차보고서’에서 ‘2022년 금융권의 당면과제와 대응책’을 종합적으로 제시했다. 다음은 GFIN이 분석한 금융권별 현안과 정책과제를 요약, 발표자료와 함께 소개한다. 순서는  ◇금융정책 관련 주요 현안 및 정책 제안(GFIN전문위원회) ◇은행…

    경제금융협력연구위원회(GFIN)(admin) 2022-04-16 17:20:00
  • 새로운 산업을 열어갈 '마에스트로'가 필요하다 새창

    국가미래연구원 주최, 산업경쟁력포럼 제56차 세미나2022.3.16. 아침 7시 63컨벤션센터 3층 사이프러스룸국가 발전 패러다임, 과학기술 중심으로 바꿔야​ 한다인구절벽에 대한 대응책 절실…최고지도자의 핵심과제‘생각의 틀’을 바꾸어야 지속가능한 자본주의실현 가능◈ 발제 ▲ 이우일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과총) 회장◈ 사회 ▲ 홍석우 상지대학교 총장(전 지식경제부 장관)◈ 토론 <토론순> ▲ 김주훈 KDI 선임연구위원(전 부원장) ▲ 박영일 이화여자대학교 교수(전 과기부차관) ▲ 박혜린 바이오스마트 회장 ▲ 안…

    국가미래연구원(admin) 2022-03-19 07:57:00
  • 최근 경제·금융여건과 2022년도 금융정책 방향 새창

     고승범 금융위원장은 지난 2022년 1월 24일 전경련 플라자 컨퍼런스센터에서 열린 경제금융협력연구위원회(GFIN, 이사장 김광두 국가미래연구원 원장) 주최 제1회 '한국금융정책 Dialogue'에서 ‘최근 경제·금융여건과 2022년도 금융정책 방향’을 발표했다. 다음은 이날 발표 내용을 간추린 것이다. ​ Ⅰ. 최근 경제·​금융여건·1. 당면한 실물경제·​금융시장 상황  ① 글로벌 경제: 전반적으로 회복흐름을 유지하고 있으나, 불확실성 지속  ▸ 미국 등의 성장흐름이 지속되고, 주요 신흥국 등이 경기회복세를 보이는 중  ▸ 다만…

    금융위원장(koseungbum) 2022-01-26 12:31:00
  • 한국 반도체 산업의 공급망 리스크와 대응방안 새창

    ▲ 정형곤 KIEP 세계지역연구센터 선임연구위원  1. 연구의 목적2. 한국의 반도체 수출입 동향3. 한국 반도체 산업의 글로벌 공급망 구축 현황과 배경4. 한국 반도체 산업 공급망 리스크와 글로벌 공급망 변화 전망5. 한국 반도체 산업의 SWOT 분석6. 공급망 리스크에 대한 대응과 반도체 산업 발전방안  ▶ 2020년 반도체 수입액은 약 570억 3천만 달러이며, 중국(31.2%), 대만(20.4%), 일본(13.6%) 순으로 수입 - 시스템 반도체가 총 반도체 수입의 39.1%, 메모리 반도체가 31.7%를 차지하여 두 품목이…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선임연구위원(jhgon) 2021-12-04 15:00:00
  • 코로나 위기 대응과 금융의 향후 과제 새창

    ▲ 최흥식 연세대학교 초빙교수▲ 구본성 KIF 선임연구위원  Ⅰ. 문제의 제기 ▣ 코로나19(Covid-19, 이하 “코로나”) 위기 국면에서 우리나라는 전대미문의 재정, 통화, 금융정책을 통해 실물경제의 과다한 위축을 방지하고 금융안정을 도모함.▣ 그동안 지속된 코로나 위기 대응은 단기적인 충격 완화와 시장불안을 해소한 바 있으나, 부채 문제나 양극화, 출구전략 등 구조적 변화나 후속 효과에 대한 선제적 대응도 중요함. ▸부채 문제나 양극화의 심화, 자산시장의 변동성 확대 등이 초래할 구조적 이슈에 대한 점검이 긴요함.▣ 본고는 …

    최흥식 · 구본성(admin) 2021-11-28 16:30:00
  • 기업 ESG 경영 확대에 대한 산업 정책적 접근과 시사점 새창

    ▲ 김 용  KIET산업혁신정책실|부연구위원▲ 조재한 KIET산업혁신정책실|연구위원▲ 송단비 KIET산업혁신정책실|부연구위원 1. 최근 기업 경영환경 속 사회적 가치를 반영한 ESG 경영에 관한 관심이 증대함에도 불구하고, 국내 ESG 경영과 관련한 정책 논의는 ESG 정보공시 표준화에 치중된 한계 2. 국내 상장기업의 ESG 역량과 재무성과 간의 유의미한 관계가 관찰되며 이는 ESG 가치 확대에 따른 국내 산업환경의 변화가 이미 진행되었음을 의미 ╺ 국내 868개 기업을 대상으로 ESG 등급과 자산수익률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산업…

    김 용·​조재한​​·​​송단비​(admin) 2021-11-21 16:5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