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미래연구원은 국민행복에 도움이 되는 사회적 담론 형성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상세검색

이 전체검색 결과

게시판
25개
게시물
12,929개

1,259/1,293 페이지 열람 중


김광두의 1년 후 게시판 내 결과

  • 북유럽을 가다 7 - 핀란드 고용정책 '성장동력을 찾아라 새창

    다음은 지난해 8월 학계‧연구기관‧정부(창조일자리 그룹) 등 국가미래연구원 일자리팀 관계자들 핀란드 고용경제부를 방문, 관계자들과의 면담을 통해 ‘핀란드의 고용정책’에 대한 설명과 토론을 토대로 작성한 보고서로 우리나라 고용정책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 크다고 판단해 여기에 간추려 소개한다. 면담자는 △ Kimmo Ruth(Labor Market Counselor) △ Sakari Immonen(Head, Enterprise and Innovation Dept., Ministry of Employment and the Economy…

    국가미래연구원(admin) 2016-08-29 13:39:47
  • [보수진보토론회] (주제발표) 교육의 불평등, 백년대계의 개혁 방향은? 새창

    국가미래연구원과 경제개혁연구소⋅경제개혁연대는 24일 「교육의 불평등, 백년대계의 개혁 방향은?」토론회를 개최했다. 김광두 국가미래연구원 원장의 사회로 진행된 날 토론회는 김희삼 교수(광주과학기술원 GIST대학)와 기정 교사(서울 미양고등학교)가 발제를 맡고, 곽노현 전 서울시 교육감, 김정래 부산교육대학교 교수, 황영남 서울 영훈고등학교 교장, 성열관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장, 남기곤 한밭대학교 교수 등 토론자로 참여했다.다음은 날 발표된 주제발표내용을 간추린 것다. <편집자>특별전형의 개선, 교사와 교수법의 …

    국가미래연구원(admin) 2016-08-27 19:24:33
  • [보수진보대토론회] 토론_경제권력(재벌)과 민주주의, 경제시장 어떻게 조화시켜야하나? 새창

    <토론 내용> 재벌 힘에 의해 기울어진 시장, 평평하게 잡는 작업 뤄져야 재벌개혁은 규제는 확실하게, 잘못은 엄정히 처벌해야 가능하다 규제가 만능 아니다, 경쟁통해 여러 개의 재벌을 탄생시켜야 경쟁 체제 강화 조처가 필요하다는 데는 모두가 공감 ▲ 최정표 건국대 교수(경제학)<진보 >= 우선 전체적으로 기업과 재벌의 개념을 구분해야 할 것 같다. 재벌은 기업의 특수한 형태다. 우리나라에 반기업 정서가 있다고 하는 데 반기업 정서는 없고 반재벌정서가 있을 뿐다. 우리나라 시장은 제대로 된 …

    국가미래연구원(admin) 2016-08-11 17:58:24
  • 오산업의 미래1, 바오 경제시대가 다가온다 새창

    개요 주제 : “바오산업 활성화를 위한 핵심슈 및 발전전략” 오태광 한국생명공학연구원장 주요 발표 내용 1) 왜 바오산업 육성 시급한가? - 바오 기술은 국민행복과 지속가능한 성장동력 창출의 핵심열쇠임. 세계는 기술융합의 소용돌 속에서 바오경제의 청사진을 그리고 체계적인 중장기 계획을 수립, 추진하고 있음 - OECD는 바오기술 IT, NT 등 타 기술들과의 융복합을 통해 2030년면 글로벌 바오경제 시대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 - 특히 지난 20년 ICT산업 룩한 결과를 보았을 때, 향후 20년은 유전체 분석…

    오태광, 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원장(admin) 2016-08-10 20:00:07
  • 오산업의 미래2, 융복합에서 길을 찾다 새창

    농업분야 : 무한한 자연을 용 카본-제로 바오 플럭스 ... Co2를 완전히 해결할수 있다. 현재의 농업의 가치는 굉장히 변화하고 있다. *농업 가치의 변화 1.'생존' : Product 2.'맛과'영양'': Quality 3.'안정성'과 '환경' : Safety ex)유기농,무농약 4.'인간 중심' : 1) Custom Focus 2) 건물형농장의 발생 *Human Focusing Medi-Food. :기존에 약물로 섭취하던 영양분을 다양한 영양분의 음식으로 제공. *자유융합 회전 건물 : 농업에 적합한 환경에 맞추어진 건물을…

    오태광, 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원장(admin) 2016-08-10 19:53:59
  • 북유럽을 가다10, 파트타임의 나라 네덜란드 _ 네덜란드 사회과학연구소(SCP) 새창

    네덜란드 사회사회과학연구소는 1973년에 설립된 보건, 복지, 사회안전망, 노동시장, 교육 등 사회과학분야에 대해 연구하는 네덜란드 정부출연기관다.<참고 : 정책연구 보고서 '네덜란드 파트타임제도와 한국에의 시사점>네덜란드의 경우 1996년 근무시간에 기초한, 즉 풀타임과 파트타임간의 차별을 금하였으며 후 2000년에는 법으로 근무시간을 조정하였음. 1980년 50%의 여성 파트타임 근무를 하였으며, 정부는 여성의 노동시장참여율을 높기 위해 파트타임 근무를 장려하였음. 1990년대부터는 풀타임 근로자들과 동일한 법…

    국가미래연구원(admin) 2016-08-08 19:08:43
  • 복지와 재정의 새 틀을 짜자<下> 어떻게 해야하나? 새창

    어떻게 해야 하나?사회 김광두 서강대 경제학부 석좌교수토론 김원식 건국대 경제학과 교수김형준 명지대 인문교양학부 교수신세돈 숙명여대 경제학과 교수오문성 한양여대 세무학과 교수“‘부자감세, 서민증세’의 잘못된 정치프레임, 빨리 벗어나자”附價稅 인상하되 사회보장세 명목의 목적세로 거둬 복지재원 활용복지 구조조정은 대상의 명확화와 구체적인 지원기준 다시 가다듬어야정책결정 ‘청와대 중심에서 벗어나 내각중심 기조’로 하루 빨리 혁신을법인세 인상, 국가경쟁력 약화 초래 세수효과도 거의 없어 바람직하지 않다.소득세 내는 사람, 전체 근로자의 절…

    국가미래연구원(admin) 2016-08-08 19:06:05
  • 북유럽을 가다 9 - 여성 파트타임제도, 성공의 비결 (네덜란드 SER-사회경제위원회) 새창

    네덜란드 사회경제위원회(SER)는 국가적, 국제적 슈들에 대한 사회적 동의를 가져오는데 도움 되도록 사용자대표, 노조대표 및 독립적 전문가그룹으로 구성된 정부 및 의회에 대한 자문기구다.네덜란드의 경우 높은 실업률과 경제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1982년 바세나르협약을 체결한 후 파트타임 일자리 확대로 고용률을 70% 상 유지하고 있다. 파트타임 근로를 바탕으로 한 네덜란드의 고용률 신장과 노동시장 개선은 서비스업 위주의 산업구조와 높은 임금 수준 때문에 가능했지만 무엇보다 일자리 문제를 풀어 경제를 살려야 한다는 노사 간 …

    국가미래연구원(admin) 2016-08-07 17:54:12
  • 복지와 재정의 새 틀을 짜자<上> 무엇 문제인가? 새창

    무엇 문제인가?사회 김광두 서강대 경제학부 석좌교수토론 김원식 건국대 경제학과 교수김형준 명지대 인문교양학부 교수신세돈 숙명여대 경제학과 교수오문성 한양여대 세무학과 교수“처음부터 잘못된 공약가계부, 왜 국회 탓하나?”‘성장하면 세수 는다.’는 건 시대에 뒤떨어진 옛날야기정부 잘못 솔직히 인정하고 함께 풀어나가려는 자세 가져야대로 가면 2034년 국가부채 감당 못해 국가부도사태 우려젊은 세대 빚 부담증가 따른 세대 간 갈등조정도 시급한 과제(김광) 지난해 10조원 상의 세수부족 생겼다. 러한 세수부족은 앞으로도 계속될 전…

    국가미래연구원(admin) 2016-08-07 17:50:58
  • 기업 구조조정, 성공할 것인가? 새창

    김광두: 국가미래연구원장. 서강대 석좌교수 (진행)김동원: 고려대학교 경제학과 초빙교수박상인: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교수-김광두: 우리 경제가 크게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어려움을 극복하는 데에 중요한것 산업의 체질입니다. 산업 체질을 개선하는 데에 있어서 중요한 수단 중에 하나가 소위 구조조정입니다.것에 관해서 그 동안에 여러 가지 논의가 있었으나, 번에 정부가 최종적라고 할 수 있는 안을 내 놓았습니다. 우리는 안을 믿을 수 있는 것인지, 성공할 수 있는 것인지 냉정하게 평가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김동원 …

    국가미래연구원(admin) 2016-08-06 18:46: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