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미래연구원은 국민행복에 도움이 되는 사회적 담론 형성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상세검색

이 전체검색 결과

게시판
24개
게시물
3,774개

362/378 페이지 열람 중


김광두의 1년 후 게시판 내 결과

  • [GFIN 공개세미나] 팬데믹 후 기업의 혁신 트렌드와 금융에의 시사점 | 윤만호 EY한영 회장 새창

    GFIN 제21회 공개세미나 개최,8일 여의도 63컨벤션센터윤만호 EY한영 회장 (글로벌금융학회 부회장) 주제발표 내용 경제금융협력연구위원회(GFIN)는 6월 8일 63컨벤션센터 사이프러스룸에서 제 21회 공개세미나를 열고 “팬데믹 이후 기업의 혁신 트렌드와 금융에의 시사점”을 주제로 발표와 토론을 가졌다. 이날 세미나는 ▲윤만호 EY한영 회장(글로벌금융학회 부회장)의 주제발표에 이어 ▲최성환 고려대학교 교수의 사회로 ▲이병윤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과 ▲정영록 서울대학교 교수의 지정토론이 있었다.다음은 이날 주제발표 내용을 간추…

    윤만호 EY한영 회장(admin) 2023-03-02 15:54:41
  • [산업경쟁력포럼] 혁신을 저해하는 규제: 어떻게 혁파할 것인가 | 혁우 배재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새창

    ◈ 주제발표<1> 혁신을 저해하는 규제, 어떻게 혁파할 것인가?▲ 이혁우 배재대학교 행정학과 교수1. 규제개혁 거버넌스의 개편이 필요하다. 그동안 정부에 따라 추진의 정도와 내용에 기복이 많았고, 추진체계 지속 변화뿐 만 아니라 예산/조직/인적자원 등 규제개혁 투자부족으로 정부 내 규제관리 역량 축적이 안 됐다.2. 정부 내 규제개혁 bottle-neck를 해소할 수 있는 핵심대안으로는 다음과 같은 방안을 생각해 볼 수 있다.① 규제개혁장관회의: 대통령이 주재하고, 규제개혁에 대한 주기적 보고체계를 확립해 각 부처에 규제…

    이혁우(woo1111) 2023-03-02 15:29:53
  • [산업경쟁력포럼] 새로운 산업을 열어갈 '마에스트로'가 필요하다 - 새로운 미래를 열어갈 마에스트로가 필요하다 | 우일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과총) 회장 새창

    ◈ 주제발표새로운 미래를 열어갈 마에스트로가 필요하다▲이우일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회장- 지금 같은 상황이 굉장히 어려운 국가위기 상황이라고 말하는데, 이런 상황이 지난 19세기에 동아시아에서 펼쳐졌었다. 그런데 중국과 일본이 거기에 대응한 방법이 전혀 달랐다. 중국은 ‘중체서용(中體西用)’이라고 “중화의 몸은 그대로 유지하되 서양에서 필요한 것만 갖다 쓰자.”는 것이었다. 그런데 일본은 좀 달랐다. 일본은 한 20년 늦게 ‘화혼양재(和魂洋才)’라고 해서 “일본의 혼만 빼놓고는 다 바꾸자”고 했다. 그 결과로 결국은 두 나라가 부…

    이우일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과총)(admin) 2023-03-02 15:01:27
  • [대담] 대선 결과를 분석하면 지방선거가 보인다 - AI 빅데터 분석을 통한 심층진단 새창

    한성대학교 김상봉 교수는 빅데이터 여론조사회사인 (주)위너아이와 함께 AI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대선 진행과정에서 나타나 각종 이슈의 파장과 민심의 향배를 꾸준히 추적해왔다. 오늘의 대담은 이러한 AI빅데이터 분석을 토대로 황희만 전 MBC부사장의 진행으로 대선 진행 과정과 결과를 심층 분석하고, 아울러 오는 6월1일 치러지는 지방선거의 향배를 짚어보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편집자]6월 1일 지방선거 경기지역은 국민의힘 힘든 선거 될 듯윤석열·안철수 후보 단일화 “효과 있었다”▲ 황희만(이하 황) : 안녕하십니까. 오늘은 20대 …

    김상봉(brainkim75) 2023-03-02 14:40:47
  • 북유럽 사회의 시사점 (5) 미래를 생각하는 복지 개혁 / NOVA(노르웨 사회연구소) 새창

    ​국가미래연구원은 지난 2013년 8월 학계, 연구기관, 그리고 정부관계자들로 구성된 북유럽 사회의 구조와 발전동인 등을 연구하기 위해 시찰단을 파견한바 있다. 당시 스웨덴, 노르웨이, 네덜란드, 핀란드 등 4개국을 돌면서 정부와 연구기관 관계자 등을 만나 복지사회 구현의 밑거름이 무엇이었고, 원만한 노사관계와 성장동력 확충에 어떻게 대처하고 있는지 등을 상세히 파악했었다. 국가미래연구원은 그 결과물을 2014년 ‘북유럽을 가다’는 주제의 시리즈를 보고서와 동영상으로 10회에 걸쳐 국가미래연구원 홈페이지에 소개해 인기를 끈 바 있다…

    국가미래연구원(admin) 2023-03-02 12:03:15
  • 북유럽 사회의 시사점 <4> 노르웨 노사관계와 노르딕모델 NHO 새창

    국가미래연구원은 지난 2013년 8월 학계, 연구기관, 그리고 정부관계자들로 구성된 북유럽 사회의 구조와 발전동인 등을 연구하기 위해 시찰단을 파견한바 있다. 당시 스웨덴, 노르웨이, 네덜란드, 핀란드 등 4개국을 돌면서 정부와 연구기관 관계자 등을 만나 복지사회 구현의 밑거름이 무엇이었고, 원만한 노사관계와 성장동력 확충에 어떻게 대처하고 있는지 등을 상세히 파악했었다. 국가미래연구원은 그 결과물을 2014년 ‘북유럽을 가다’는 주제의 시리즈를 보고서와 동영상으로 10회에 걸쳐 국가미래연구원 홈페이지에 소개해 인기를 끈 바 있다.…

    국가미래연구원(admin) 2023-03-02 12:01:54
  • 정부의 2050 탄소중립, 대로 괜찮은가? 새창

    - 지난 11월 1일 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린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정상회담에서 한국은 “2030년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NDC :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를 2018년 대비 2030년 탄소배출량을 40% 감축한다” 고 밝히고, 아울러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로 2050년까지 석탄 발전을 전면 중단하고, 온실가스 국내순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는 시나리오를 역시 공식 발표했다.그런데 이런 우리나라의 목표가 과연 달성이 가능한가?첫째, “2018년 대비 20…

    공명재(mj123) 2023-03-02 11:26:51
  • 기본소득은 사회주의 바러스다 새창

    - 요즘 달콤한 바람이 불어온다. 대선을 앞두고 ‘공짜로, 무조건, 영구적으로, 매년 일정한 돈을 주겠다’고 하는 약속을 듣고 있다. 소위 기본소득이라는 것이 그중 하나다.- 이러한 사조(思潮)의 뿌리는 1986년에 유럽에서 창설된 ‘기본소득지구네트워크’라는 데에서 시작돼 한국에도 이게 들어왔다고 본다. 그래서 한국도 지역적으로 정치현상과 어울려서 ‘기본소득네트워크’라는 게 설립돼 있다.- 기본소득이라는 것은 그 사상의 뿌리가 공유재산론에 있다. ‘지구상에 있는 모든 재산은 지구인의 것이다. 따라서 그 재산에서 나오는 모든 소득은 …

    김광두(kidoo) 2023-03-02 10:55:42
  • [산업경쟁력포럼] 신재생에너지의 현황과 미래 - 신재생에너지의 현황과 미래예측 | 준신 성균관대학교 교수 새창

    ​◈ 주제발표​◈ 신재생에너지의 현황과 미래예측▲ 이준신 성균관대학교 전자전기공학부 교수1. 에너지원별 국내외 현황과 미래에 대한 다양한 자료를 살펴보았다. 지난 10년간 세계 각국의 에너지원이 다양화되고 신재생에너지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국가별 투자전략도 많은 변화가 있었다.2. 정부 정책은 태양광에서 풍력 수소경제로 전환됐다. 태양광 산업은 국가의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하고 고용을 창출하여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신산업이나, 견제와 규제에 애로사항이 존재한다.3. 태양광은 지속적인 기술혁신으로 제품성능(모듈 출력, 발…

    이준신 성균관대학교 교수(admin) 2023-03-02 10:49:59
  • 문재인 정부 4년 경제 평가 <7> 눈덩처럼 불어난 일자리 재정 새창

    - 우리가 일자리 정책을 이야기를 하면서 사실은 질적으로 보나, 양적으로 보나 문재인 정부 일자리 정책은 참패라 했다. 특히 이런 일자리 정책의 실패는 고스란히 못사는 분들, 생활이 어려운 사람들에게 부담으로 나타나게 됐다는 점에서 참패라 할만하다.- 정부가 일자리 만드는데 돈을 적게 지출해서 그런 것인가? 문재인 정부 들어 일자리 예산은 엄청나게 썼다. 물론 ‘일자리 예산’이라고 명시적으로 예산에 잡히기 시작한 게 2014년 박근혜 정부 때부터다. 그 이후만 분석해보자.- 2014년, 2015년도 박근혜 정부 때의 연간 일자리 예…

    신세돈(seshin) 2023-03-02 10:26: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