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미래연구원은 국민행복에 도움이 되는 사회적 담론 형성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상세검색

경제 전체검색 결과

게시판
17개
게시물
1,189개

48/119 페이지 열람 중


보고서 게시판 내 결과

  • 미중 경제 분규의 양적 및 질적 측면: 질적 차원의 기술 경쟁과 압박을 중심으로 새창

      이 보고서는 세종연구소가 발간하는 세종정책연구 2021-01(2021.7.12.)에 실린 것으로 연구소의 동의를 얻어 게재합니다. ​ 미중 경제 분규는 대단히 복잡한 양상을 띠고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분규를 양(量 )적인 측면과 질(質)적인 것으로 구분했다. 여기서 양적 측면은 양국 간의 무역불균형, 즉 중국의 과도한 대미 무역흑자 문제를 의미한다. 중국의 무역흑자를 줄이기 위한 미국의 연속적인 대규모 보복 관세는 매우 충격적이었다. 양적인 무역 분규가 미중 경제마찰 전부인 것처럼 비쳐질 정도였다.  하지만 2020년 1월…

    김기수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admin) 2021-08-07 16:30:00
  • 인플레이션과 금리인상 시기 도래-최근 경제동향 <2021.7.19.분석> 새창

    1. 2021년 6월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대비 58.2만명(0.9%) 상승하였으며, 비경제활동인구 15.3만명 및 일시휴직자 32.6만명 감소했다. 6월 고용률(61.3%)은 전년 동월(60.4%)대비 0.9%p 상승했다. 그러나 30·40대 위주의 고용 감소는 지속되고 있다. 2. 2019년 1월 이후 무급가족종사자 고용의 감소세 및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 고용 악화 지속, 전년 동월대비 비임금근로자 1.5만명 감소하여 2018년 1월 이후 고용 악화 지속 3. 지난 6월 수출은 전년 동월대비 수출 45.6% 증가했고, 수입도 …

    국가미래연구원(admin) 2021-07-19 13:10:00
  • 경기의 과잉회복, 지속가능성 의문- 최근 경제동향 <2021.6.17. 분석> 새창

    1. 2021년 5월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대비 61.9만명(2.3%) 증가하였으며, 비경제활동인구 19.7만명 및 일시휴직자 59.8만명이 감소했다. 5월 고용률(61.2%)은 전년 동월(60.2%)대비 1.0%p이 상승했다. 2. 그러나 30·40대 위주의 고용 감소는 지속됐고, 60대 이상 취업자 전년 동월대비 45.5만명, 전월대비 16.8만명이 각각 증가했다. 업종별로는 전년 동월대비 건설업 고용 상승폭이 지속되었으나, 도매 및 소매업 13.5만명(-3.8%)이 감소되어 고용악화가 지속됐다. 고용형태별로 보면 2019년 1…

    국가미래연구원(857a85aef6ec2c9274f8) 2021-06-20 16:40:00
  • 국가미래연구원, “올해 경제성장률 3.8% 넘을 것”- 독자모델 예측 ‘2021 경제전망 보고서’ 발표 새창

    지난해 11월 전망 2.9%보다 대폭 높은 전망 내놔민간소비 및 수출 증가 등으로 경제 전반적인 개선 흐름방역조치 완화와 정부의 확장적 재정정책 등이 민간소비 진작상품수출 크게 늘어 5,976억 달러, 경상수지 흑자도 증가2022년 경제 성장률은 2.74%에 달할 것으로 전망 1. 국가미래연구원은 1일 올해 경제성장률이 3.83%에 달할 것으로 예측했다. 이는 지난해 연말(11월15일) 발표한 경제성장률 전망 2.92%보다 크게 높아진 것이다. 국가미래연구원은 5개 부문의 행태방정식과 정의식을 합쳐 모두 97개의 방정식으로 구성된 …

    국가미래연구원(c2b703c59aecef0f7376) 2021-05-30 17:10:00
  • 3040 구조적 취업난 여전-최근 경제동향 <2021.5.17. 분석> 새창

    1. 2021년 4월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대비 65.2만명(2.5%) 상승하였으며, 비경제활동인구 32.4만명 및 일시휴직자 108.2만명이 각각 감소했다. 4월 고용률(60.4%)은 전년 동월(59.4%)대비 1.0%p 상승했다. 그러나 30·40대 위주의 고용 감소는 지속되고 있는 반면, 60대 이상 취업자는 전년 동월대비 46.9만명, 전월대비 15.2만명이 증가했다.  2. 업종별로 보면 전년 동월대비 건설업 고용 상승폭이 확대되었으나, 도매 및 소매업 18.3만명(-5.2%)이 감소되어 고용악화가 지속되고 있고, 숙박 및…

    국가미래연구원(9b4b5cd8dbeff43245f5) 2021-05-17 11:31:00
  • 소비 및 수출 일시적 회복-최근 경제동향 <2021.4.16. 분석> 새창

    1. 2021년 3월 취업자 수는 전년동월대비 31.4만명(1.2%) 증가하였으며, 비경제활동인구 5.4만명 및 일시휴직자 118만명 감소했다. 3월 고용률(59.8%)은 전년동월(59.5%)대비 0.3%p 상승했고, 3월 취업자 수는 전년동월대비 31.4만명(1.2%) 증가했다. 2. 2020년 3월 이후 전년동월대비 임금근로자 감소세 지속, 2019년 1월 이후 무급가족종사자 고용의 감소세 및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 고용 악화 지속, 전년동월대비 비임금근로자 14.1만명 감소하여 2018년 1월 이후 고용 악화 지속, 일자리 취…

    국가미래연구원(92dd1934eca043a5fd99) 2021-04-16 14:10:00
  • 북한의 '순환경제' 정책과 시사점 새창

      이 보고서는 세종연구소가 발간하는 [세종정책브리프] No.2021-4 (2021.3.18.)에 실린 것으로 연구소의 동의를 얻어 게재합니다.   ■ 순환경제의 개념 - 순환경제란 폐기물을 재활용하여 천연자원의 소비를 줄이고 환경오염을 최소화하는 경제구조로서 경제 성장을 담보하면서 각종 환경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경제 구조- 원자재의 조달부터 원자재 재활용까지 한 번의 순환이 진행되는 과정은 생산단계, 소비단계, 관리단계, 재생단계로 구성되며, 순환경제로의 전환을 위해서는 각 단계별 과제를 포괄한 종합적인 …

    최은주(research_noImage.png) 2021-03-18 15:30:00
  • 계속되는 고용한파-최근 경제동향 <2021.3.18. 분석> 새창

    1. 2021년 2월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대비 47.3만명(-1.8%) 감소하였으며, 비경제활동인구 56.1만명 및 일시휴직자 8.0만명이 증가했다. 지난 2월 고용률(58.6%)은 전년동월(60.0%)대비 1.4%p 하락했다. 업종별로 보면 전년 동월대비 제조업 고용악화는 지속됐고, 서비스업 가운데  교육 서비스업 8.2만명(-4.5%), 도매 및 소매업 19.4만명(-5.4%), 숙박 및 음식점업 23.1만명(-10.2%) 이 각각 감소하여 2020년 3월 이후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다. 2. 지난 2월 수출은 전년 동월대비 9…

    국가미래연구원(58970109e7e4850a0516) 2021-03-18 12:40:00
  • 독일통일 30년: 구동독 지역의 경제 발전과 통일한국에의 시사점 새창

      이 보고서는 세종연구소가 발간하는 [세종정책연구 2020-07] (2021.2.15.)에 실린 것으로 연구소의 동의를 얻어 게재합니다. ​ 1. 통일 직후 경제가 거의 몰락했던 구동독 지역은 연방정부의 지원으로 급속한 성장을 달성했다. 1993년 동독 지역의 경제성장률은 12%를 달성했지만, 서독 지역은 –2.4%를 기록했다. 서독 지역의 막대한 재정이 동독 경제의 회복을 위해 투입되었다. 2005년 유럽연합이 출범하면서 전체 독일경제는 수출성장에 힘입어 성장세로 돌아섰다. 이후 Hartz 개혁안 등 노동시장의 개혁도 시행되면서…

    양운철 세종연구소 통일전략연구실장(research_noImage.png) 2021-02-27 17:00:00
  • 역대급 고용한파-최근 경제동향 <2021.2.19. 분석> 새창

    1. 2021년 1월 취업자 수 전년 동월대비 98.2만명 감소, 비경제활동인구 86.7만명 및 일시휴직자 34.6만명 증가- 지난 1월 고용률(57.4%)은 전년동월(60.0%)대비 2.6%p 하락했고,1월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대비 98.2만명(-3.7%) 감소했다. 특히 30대, 40대 취업자는 전년 동월대비 각각 27.3만명과 21.1만명이 각각 감소하여 고용 악화 지속됐고, 증가세를 유지해왔던 60대 이상 취업자도 전년 동월대비 1.4만명 감소, 전월대비 47.1만명 감소하는 양상으로 변했다. - 업종별로 보면 전년동월대비…

    국가미래연구원(9b2ac06c269307921275) 2021-02-19 12:2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