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미래연구원은 국민행복에 도움이 되는 사회적 담론 형성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상세검색

경제 전체검색 결과

게시판
17개
게시물
1,189개

49/119 페이지 열람 중


보고서 게시판 내 결과

  • 북한 노동당 제8차 당대회 분석 (1)경제 부문 새창

      이 보고서는 세종연구소가 발간하는 [세종정책브리프 No.2021-1-1] (2021.1.28.)에 실린 것으로 연구소의 동의를 얻어 게재합니다. ​ 1. 주요 내용  -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북한은 노동당 제8차 당대회를 통해 국가와 주민이 일치단결하여 경제 위기를 극복하는 계기를 만들려는 노력. 반면 제8차 당대회에서 북한의 전향적인 경제발전계획 제시는 미약했다.  - 김정은 위원장은 국가경제발전 5개년 계획의 실패에 대한 사과와 함께 간부들의 사상적 해이와 무책임을 강하게 비난했다. 불합리한 경제사업체계와 질서를 정…

    양운철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research_noImage.png) 2021-01-31 14:00:00
  • 2021 한국경제 전망과 이슈: 코로나, 탈세계화 및 바이든 시대 새창

      이 보고서는 2021년 1월 동반성장포럼의 주제발표 자료로 작성됐으나 코로나로 인해 집회가 어려워 자료제공으로 대체한 것임을 밝혀둡니다. ​ 1. 코로나 이후 변화와 2021년의 3대 진퇴양난(進退兩難) - 2021년 한국경제는 3대 진퇴양난 해결에 달려 있다. 따라서 절묘한 균형과 이를 실현할 리더십이 필요하다. ① 첫째 과제는 내수와 수출의 균형이다. 한국형 쌍순환 탈세계화와 디지털화를 통해 리쇼어링과 심층형 내수 동력 산업 즉, 한국에서 세계시장 공략 전략을 만들어야 한다. ② 둘째 과제는 재정지출과 국가채무 증가의 균형이…

    이근서울대교수(research_noImage.png) 2021-01-30 17:10:00
  • 정부 경제정책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 결과(2021.1) 새창

    정부 세금정책, “부유층에 유리” 46.8%, “서민에 유리” 33.8%50대 연령층에서 기업정책 및 세금정책에 대한 부정적 여론 급증재벌개혁에 대한 평가는 긍정적인 여론 늘어 1. 이 보고서는 경제개혁연구소(소장 김우찬 고려대 교수)가 지난 1월13일 발표한 「정부 경제정책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2021.1)」결과를 요약한 것이다. 경제개혁연구소는 2009년 7월 이후 매 분기마다 정기 여론조사를 진행하여 발표하고 있다. 이번 설문 문항은 ①정부의 기업정책 평가 ②정부의 세금정책 평가 ③재벌개혁이 경제성장에 도움이 된다는 주장에 …

    경제개혁연구소(2e509e81e4a3258a0b67) 2021-01-23 16:50:00
  • 내수양극화 심화와 고용 침체 - 최근 경제동향 <2021.1.21. 분석> 새창

    1. 2020년 12월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대비 62.8만명 감소하였으며, 비경제활동인구 68.9만명 및 일시휴직자 43.8만명이 증가했다. 12월 고용률(59.1%)은 전년 동월(60.8%)대비 1.7%p 하락했고, 12월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대비 62.8만명(-2.3%) 감소했다. 2. 연령별 취업자 수 증감을 보면 30대, 40대 취업자는 전년 동월대비 각각 24.7만명, 18.3만명 각각 감소하여 고용 악화가 지속되고 있다. 반면 60대 이상 취업자 전년 동월대비 24.9만명이 증가 했으나 전월대비로는 42.5만명이 감소…

    국가미래연구원(16a19d1a88e758545adb) 2021-01-21 11:31:00
  • 금융시장과 실물경제의 괴리-2021년 국제금융동향<2021.1.6 분석>​ 새창

    1. 2020년 국제금융시장은 코로나19의 발생 및 확산, 그리고 재확산을 통해 국제금융시장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2020년 1분기 코로나19는 아시아로 전파되어, 이후 시차를 두고 세계적으로 전파되었으며, 최근 재확산 상태에서 백신 접종이 시작됐다. 2. 2021년 국제금융시장의 주요 이슈는 코로나19 백신 개발과 접종, 그리고 치료제 개발의 속도가 가장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12월 말 기준으로 각 국에서 백신 접종을 시작하였으며, 효과가 있는 경우에 개별 국가들의 경제성장률 및 국제금융시장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주요 …

    국가미래연구원(436405d092f0e3c633e0) 2021-01-06 16:30:00
  • 코로나 재확산 속 고용악화 지속-최근 경제동향 <2020.12.16. 분석> 새창

    1. 2020년 11월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대비 27.4만 명 감소하였으며, 비경제활동인구 43.0만 명 및 일시휴직자 18.9만 명이 각각 증가했다. 11월 고용률(60.7%)은 전년 동월(61.7%)대비 1.0%p 하락했다.11월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대비 27.4만 명(-1.0%) 감소 - 취업자 수를 연령별로 보면 30대, 40대 취업자는 전년 동월대비 각각 19.4만 명과 13.5만 명 감소하여 고용 악화가 지속됐다. 반면 60대 이상 취업자 전년 동월대비 37.3만 명 증가, 전월대비 0.8만 명 증가를 보였다. - 업…

    국가미래연구원(f6e00b38b92b930277b6) 2020-12-17 10:08:00
  • 2021년 경제전망…성장률 2.92% 전망 새창

    국가미래연구원, 독자모델로 예측한 내년 경제전망 발표 ​소비심리 개선과 기저효과로 전반적인 개선 흐름​ 보일듯민간소비 3.6% 성장, 설비투자 및 총수출 3.0%와 9% 증가 코로나19 여파 완화되면서 취업 등 고용은 개선올해 경제성장률은 하반기 –1.98%로 연간 –1.33% 예상1. 국가미래연구원은 15일 내년 경제성장률을 2.92%로 전망하는 ‘2021년 경제전망’ 보고서를 발표했다. 국가미래연구원은 5개 부문의 행태방정식과 정의식을 합쳐 모두 97개의 방정식으로 구성된 독자적인 전망모형을 통해 올해 경제성장률은 –1.33%에…

    국가미래연구원 거시금융부(bc3b5610cca5e560bd54) 2020-11-15 09:00:00
  • 고용 악화 심화-최근 경제동향 <2020.11.12. 분석> 새창

    1. 2020년 10월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대비 42.1만 명 감소하였으며, 비경제활동인구 50.8만 명 및 일시휴직자 18.9만 명 증가해 공용악화가 심회되고 있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10월 고용률(60.4%)은 전년 동월(61.7%)대비 1.3%p 하락했다.취업자 수 감소를 연령대별로 보면 30~40대 취업자는 전년 동월대비 각각 23.9만 명, 19.2만 명 감소하였으나 60대 이상 취업자는 전년 동월대비 37.5만 명 증가했다. 2. 업종별 고용동향을 보면 전년 동월대비 제조업 고용악화는 지속되고 있고, 도매 및 소매업 …

    국가미래연구원(8e7d681ef47c0cee6961) 2020-11-12 14:00:00
  • 세입 감소 및 가계대출 폭증-최근 경제동향<2020.10.16. 분석> 새창

    1. 지난 9월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대비 39.2만명 감소하였으며, 비경제활동인구 53.2만명 및 일시휴직자 41.7만명이 증가했다. 9월 고용률(60.3%)은 전년 동월(61.5%)대비 1.2%p 하락했고, 9월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대비 39.2만명(-1.4%) 감소해 취업난이 계속되고 있다.2. 연령대별 취업자 수를 보면 30대와 40대 취업자는 전년 동월대비 각각 28.3만명과 17.5만명 감소하여 고용 악화가 지속되고 있으나 60대 이상 취업자는 전년 동월대비 41.9만명 증가해 전월대비로도 6.5만명이 증가했다.3. 업…

    국가미래연구원(admin) 2020-10-16 15:18:55
  • 포스트 코로나시대에 경제혁신을 위한 노동제도, 직업훈련과 사회보험 개혁 새창

    이 보고서는 지난 10월 6일 열린 양지경제연구회 세미나에서 발표된 주요 내용을 간추린 것입니다. <편집자>​ 노동개혁4.0의 3대 필수요소, ‘유연화·개인화·디지털화’노동법 유연화를 통해 근로자 특성에 맞는 보호 장치 강구 필요자영업자 보호법 제정, 플랫폼 취업자의 공정계약조건의 마련혁신경제에 맞는 직업훈련체계의 근본적인 변화 절실1. 국내 노동개혁의 실패원인은 크게 3가지로 요약해 볼 수 있다. ① 사회적 대화프레임의 부적절성이다. 그동안 국민 대통합 및 세대 간 상생차원에서의 가치, 철학, 그리고 사회제도의 …

    조준모(junmo123) 2020-10-10 17: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