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미래연구원은 국민행복에 도움이 되는 사회적 담론 형성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상세검색

김 전체검색 결과

게시판
11개
게시물
733개

1/74 페이지 열람 중


칼럼리스트 게시판 내 결과


연구위원 소개 게시판 내 결과

  • 앤장 환경에너지 연구소장 / 고려대학교 겸임교수 새창

    서울과학종합대학원대학교(aSSIST) (박사, 경영학)|||Duke University (석사, Civil and Enviromental Engineering)|||University of Louisville (학사, Geoscience 및 Mathematics)|||고려대학교 이과대학 지구환경학과

    김성우(admin) 2018-05-30 15:10:11
  • 앤장법률사무소 새창

    건국대 대학원(조세법 박사)|||서울대 행정대학원,건국대 행정대학원|||연세대 이공대|||행정고시 16회

    전형수(간사)(srto7777) 2013-03-15 17:58:27

News Insight 게시판 내 결과

  • 거수의 디자인 시선 < 16> “서울의 색? 정책의 오판”: 색은 선언하는 것이 아니라, 장기간 축적되는 기억의 자산이자 아이덴티티다. 새창

    서울시는 그동안 많은 훌륭한 정책들을 제시하며 ‘디자인 도시 서울’이래 크게 성장시켜왔다. 그러나 때로는 큰 의미 없는 사업을 추진하기도 한다. ‘서울의 색’이 그 대표적인 사례다. 색은 시각적 자극을 넘어, 도시의 정체성을 감각적으로 재현하고, 문화의 깊이와 역사를 축적하는 기억의 매개체다. 뉴욕의 노란 택시, 런던의 빨간 이층버스와 같이 오랜 시간 반복적 노출과 사회적 공감대를 통해 형성된 색만이 그 ‘도시의 색’이 될 수 있다. 유구한 전통과 철학, 자연적 환경을 활용한 충분한 인식의 동의를 통해 비로서 색은 도시의 아이덴티티…

    김거수(kgs) 2025-04-30 17:10:00
  • 용호의 전통문화 반딧불이 <18> 세계 무형유산 “제주 칠머리당 영등굿” 새창

    여행이란 왠지 설레는 마음을 갖게 한다. 특히 ‘제주도’라는 명사를 떠올릴 때면 더욱 그렇다. 제주도는 세계적으로도 유명한 화산섬이다. 옛날부터 제주도는 바람, 돌, 여자가 많다는 뜻으로 삼다도(三多島)라고도 불렸다. 한라산을 비롯해 오름(작은 산을 의미하는 제주방언)과 산굼부리(화산체의 분화구를 가리키는 제주방언)는 이제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보러오는 이들도 많고 경치 또한 비경이다. 제주도는 현무암으로 이루어진 섬이라서 빗물이 지하로 스며들기 때문에 논을 만들기 어려웠다고 한다. 그런 이유로 경지의 대부분을 밭으로 이용하고…

    김용호(rladydgh) 2025-04-29 18:15:00
  • 찬동의 예술시평 <56> 창의적 관광을 수용하는 지역축제는 가능한가? 새창

    봄과 가을은 어디나 축제의 계절이다. 지역마다 역사나 문화유산, 특산품을 기반으로 한 축제들이 펼쳐진다. 지역축제는 원래 지역 주민들의 화합과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기 위해 시작된 것이었지만, 요즘에는 외지의 관광객을 유치하여 지역경제를 살리기 위한 목적이 더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관광형 축제로 인해 지역의 특성을 살리기보다는 인기 있는 타지역의 행사를 모방한 유사한 축제들이 경쟁적으로 벌어지기도 한다. 이로 인해 본질로부터 멀어진 작위적인 축제들이 늘어나고 있는 폐해도 지적되고 있다. 수도권 인구집중과 농업은 물론 제조업의 경쟁력…

    김찬동(kimchandong) 2025-04-28 17:05:00
  • 거수의 디자인 시선 <15> “스토리 기반 도시 브랜딩 전략“: 도시 브랜딩은 각개전투가 아닌 전면전을 펼쳐야 한다 새창

    도시명칭, 캐릭터, 공사판 가림막에 이어, 이번 칼럼에서는 ‘스토리’를 활용한 도시 브랜딩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스토리를 기반으로 하는 도시 브랜딩은 선택의 문제가 아닌, 가장 기본이자 전통적인 방식이다. 관광 산업이 발달한 유럽, 미국, 캐나다 일본, 중국의 주요 도시들 대부분은 저마다 그 도시 고유의 스토리를 발굴하고, 이를 건축물, 상품, 기념물, 공공디자인 등 곳곳에 일관된 아이덴티티로 담아내며 도시 브랜드를 체계적으로 구축하고 확장해 나가고 있다.반면, 한국의 도시 브랜딩은 지속성과 확장성이 뒷받침 되지 못한 채 피상적…

    김거수(kgs) 2025-04-23 17:10:00
  • 용호의 전통문화 반딧불이 <17> 현시대를 살아가야 할 손자병법의 교훈 새창

    십여 년 전 손자병법을 흠모해 여러 번 정독한 적이 있다. 천재적인 병술의 전략가인 손무는 소스라치는 전법을 펼치며 예측할 수 없는 판을 주도했다. 그러한 병서는 과거에 이어 오늘을 살아가는 현시대의 처세술로도 주목받았는데 세계적인 기업 마이크로소프트의 창업자 빌 게이츠도 오늘날 자신을 만든 건 손자병법이었다고 말할 정도였다.손자병법에는 많은 전술이 논의되어 있다. 그중 가장 기억에 남는 구절은 장수에게 알리는 내용으로 전쟁에서 주의해야 할 5가지의 위험 요소라는 글이다. 각각의 요인을 설명하고 각인시켜 다시금 약점이 되지 않게 교…

    김용호(rladydgh) 2025-04-22 17:10:00
  • 거수의 디자인 시선 <14> 세계에서 가장 크고 넓은 미술관, 강남의 빌딩 공사 가림판을 캔버스로 새창

    지난회의 캐릭터 플랫폼을 활용해 도시브랜딩을 알아본 것처럼. 이번에는 빌딩 공사판 가림판 플랫폼을 활용한 새로운 도시 브랜딩을 한 번 상상해보자.가장 비싸고 거대한 거리 미술 전시관을 강남구에 만들어 보자서울 강남구는 대한민국 경제, 금융, 소비, 문화의 중심지 이자 가장 부유한 경제 문화 소비의 동력이다. 전 세계 어떤 도시 지역과 견주어도 뒤지지 않는 수준의 소비 인프라와 문화시설, 고급 백화점과 갤러리, 박물관이 즐비하고, 한국의 미술 투자와 예술 소비의 최전선이기도 하다. 매년 코엑스에서 열리는 Kiaf(Korea Inter…

    김거수(kgs) 2025-04-16 17:10:00
  • 용호의 전통문화 반딧불이 <16> 창의적 문화 천재를 위한 다짐 새창

    얼마 전, 영화 <미키 17>가 극장에서 막을 내렸다. 봉준호 감독은 영화를 통해 말한다. “오늘도 죽으러 갑니다. 인류를 위해 / HE'S DYING TO SAVE MANKIND” 그동안 보여주었던 봉준호 감독의 감성과 다른 이면이 보인다. 그래서인지 많은 평론가는 그동안의 평가보다 낮은 평점을 주고 있다. 하지만 그의 예술적 천재성을 부인하지 않는다. 봉준호 감독은 영화 <기생충>으로 2020년 오스카상 6개 부문 후보로 그 명성을 올리며 4개 부문 작품상, 감독상, 각본상, 국제 장편영화상을 수상하였고 &…

    김용호(rladydgh) 2025-04-15 17: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