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려있는 정책플랫폼 |
국가미래연구원은 폭 넓은 주제를 깊은 통찰력으로 다룹니다

※ 여기에 실린 글은 필자 개인의 의견이며 국가미래연구원(IFS)의 공식입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News Insight 목록

전체 4,664 (430 페이지)
  • 정피아 개입이 망친 포스코

    • 최정표
    • 건국대학교 교수, (전)경실련 대표
    • 2015년 03월 23일
    생선이 도마 위에 오르면 그 다음 순서는 정해져 있다. 지금의 POSCO 신세를 보면 처량하기 그지없다. 그나마 생선은 도마 위에서 벗어나려고 온힘을 다해 버둥거리기라도 한다. 그…
  • 경제개혁 골든타임 끝났나?

    • 김종석
    • 홍익대학교 경영대학 학장
    • 2015년 03월 22일
    당연한 말이지만 경제성장률이 높으면 호황이고, 성장률이 낮으면 불황이다. 또는 실업률이 낮아지면 호황이고 높아지면 불황이라고도 할 수 있다. 그러니까 높지도 않고 낮지도 않은 성장…
  • 정책실패, 그 책임은?

    • 김광두
    • 국가미래연구원 원장, GFIN 이사장
    • 2015년 03월 22일
    ① 임진왜란과 어전회의 1591년 3월. 조선왕조의 조정에서는 황윤길과 김성일이라는 관료가 선조에게 중대한 보고를 하는 어전회의(요즈음의 국무회의)가 있었다. 일본이 조선침략을 준…
  • 한국 금융기업 지배구조, 이대로는 안 된다. -관치(官治)보다 더 큰 해악, ‘인치(人治)’를 근절해야

    우리나라 금융기업들의 지배구조 현황 우리 금융산업과 관련하여 오래 전부터 끊임없이 이어져 오는 논란 중 하나가 바로, ‘관치(官治)금융’이니 ‘정치(政治)금융’이니 하여 외부 세력…
  • 근본적화재예방은 취약한 도시공간 개조부터

    • 김지덕
    • 대한건축사협회 국제위원회 고문
    • 2015년 03월 20일
    왜 우리나라는 크고 작은 건설사고, 건물 화재사고, 건설관련 인사사고가 계속하여 발생하는 것일까?, 이런 사고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길은 없는 것일까? 처음부터 잘 하였다면…
  • 갤럭시가 일본에서 안 팔리는 이유

    • 국중호
    • 요코하마시립대 경제학 교수
    • 2015년 03월 19일
    ​갤럭시는 일본에서 5등 일본시장에서는 한국제품이 억울할 정도로 푸대접을 받기도 합니다. 하기야 한국도 ‘반일감정’이라는 일본 알레르기가 있으니 사돈 남 말하기엔 한편으로 켕깁니다…
  • 소득주도 성장론의 문제점

    • 박정수
    • 서강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 2015년 03월 19일
    지난 2년간 정부의 경제활성화 대책이 좀처럼 가시적 성과를 보여주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최근 정치권은 새로운 돌파구로서 가계소득 증대를 통한 소득주도 성장론을 연일 거론하고 있다…
  • 한국교육의 허실(虛實)

    • 김학수
    • 서강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 2015년 03월 18일
    세계인들의 인식은 한국이 더 이상 작은 나라가 아니라는 것이다. 그러나 한국인들의 인식은 그렇지 않다. 사실, 한 때 한국이 추격해야 할 나라로 1980년 기준으로 인구가 세 배 …
  • 인성교육 진흥 이대로 좋은가

    • 김경근
    •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 2015년 03월 18일
    최근 교육부는 인성교육진흥법 시행령 초안을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2015학년도 2학기부터 전국 1만2000개 학교가 1년 단위로 인성 중심 교육과정을 수립해 운영하고 그 성과를 …
  • 우리 경제에 낙수효과는 나타나고 있는가?

    • 최운열
    • 서강대학교 석좌교수
    • 2015년 03월 17일
    최근 박 근혜 대통령은 수석비서관 회의에서 ‘부동산3법이 늑장 처리되어 퉁퉁 불어터진 국수가 됐는데 우리 경제가 그것을 먹고 힘을 내 꿈틀 거리고 있다. 경제 활성화를 국정 운영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