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려있는 정책플랫폼 |
국가미래연구원은 폭 넓은 주제를 깊은 통찰력으로 다룹니다

※ 여기에 실린 글은 필자 개인의 의견이며 국가미래연구원(IFS)의 공식입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News Insight 목록

전체 3,782 (373 페이지)
  • 국가교육과정은 범정부 기구에 맡겨야 한다

    • 이덕환
    • 서강대학교 화학‧과학커뮤니케이션 명예교수
    • 2014년 08월 28일
    과학계가 교육부의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개정과 수능 개편 작업에 대해 격렬하게 반발하고 있다. 국민들이 과학·수학을 ‘적대시’하고 있다는 시대착오적 인식에서 졸속으로 추진하…
  • 문화융성, 그 화려한 껍데기를 채우려면...

    • 김진해
    • 경성대학교 예술종합대학장
    • 2014년 08월 27일
    역대 대통령 가운데 문화에 대한 이해가 가장 높은 사람은 누구일까? 누구는 김대중 정부를 이야기하고 가장 훌륭한 문화부 장관으로 박지원 의원을 꼽는다. 세간의 평이다. 그 이유는 …
  • 교육정책의 실패가 잦은 이유

    • 김경근
    •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 2014년 08월 25일
    교육열이 유별난 한국인에게 교육정책은 초미의 관심사 가운데 하나다. 기본적으로 한국인의 교육열은 공리적 가족주의에 기반하고 있다. 때문에 자녀의 미래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는 교육정…
  • 최경환과 진념의 진검 승부

    • 신세돈
    • 숙명여자대학교 경제학부 명예교수
    • 2014년 08월 24일
    知 특강 "최경환 경제팀의 경기부양책 평가 - 역대정부와의 비교​" 동영상을 참조 부탁드립니다.http://www.ifs.or.kr/bbs/board.php?bo…
  • 특별법 여부, 국민 투표에 부치자 (부제: 최후의 1인)

    • 김병주
    • 서강대학교 명예교수
    • 2014년 08월 24일
    나라와 백성이 사느냐 죽느냐하는 국가 존망의 위기에 한사람이 의연하게 우뚝 서서 나라를 구한 인물의 이야기, 영화 “명량”(최민식 주역)이 현재 인기몰이를 하고 있다. 단기간에 1…
  • 양극화에 대한 이해: (1) 100년전의 양극화

    • 이경태
    • 前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원장, 前 OECD 대사
    • 2014년 08월 20일
    < 80년대이후 절대빈곤의 감소와 양극화의 확대>1980년대 이후 세계경제는 자본주의시장경제의 전성기이었다. 대쳐리즘과 레이거노믹스로 구현된 이른바 신자유주의적 경제…
  • 대법원, 왜 이러십니까?

    • 김상조
    • 한성대 교수, 경제개혁연대 소장
    • 2014년 08월 19일
    경제 관련 시민단체인 경제개혁연대 소장 직을 13년째 맡고 있다. 아마도 우리나라 시민단체 영역에서 최장수 CEO가 아닐까 싶다. 서당 개 3년이면 풍월을 읊는다더니, 재벌개혁을 …
  • 노사정 대화와 대타협을 위하여

    • 이원덕
    •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객원교수
    • 2014년 08월 18일
    ​민주노조는 한때 우리 모두의 가슴을 뛰게 하는 말이었다. 그 시절 ‘아, 민주노조 우리의 사랑’은 민주노총 조합원의 전유물이 아니었다. 적어도 그 시절 정치와 사회, 그리고 노…
  • 보수의 보수 비판, 진보의 진보 비판

    • 이기정
    • 구암고등학교 교사
    • 2014년 08월 15일
    교육에는 보수와 진보가 있을 수 없다고들 한다. 특히 6.4 교육감선거 즈음부터 자주 언급되는 말이다. 교육문제의 해결에는 보수 친화적 정책과 진보 친화적인 정책이 모두 필요하다는…
  • 한반도 “우주발사체”와 “탄도미사일”의 시대적 함의

    • 장영근
    • 한국국가전략연구원 미사일센터장, 한국항공대학교 교수
    • 2014년 08월 13일
    ‘12~’13년은 마치 한반도에서 “우주클럽” 가입을 놓고 남북이 경쟁하는 형국의 해였다. 한국의 나로 우주발사체는 ’09년과 ‘10년 두 차례의 실패 끝에 ’12년 10월과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