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뉴스

미·일 통화정책 어떻게 될까…긴장하는 한은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16년09월20일 06시53분

작성자

메타정보

  • 38

본문

 미국 금리인상시 한은 기준금리 인하 어려워져
 

 한국은행이 이번 주 미국과 일본의 통화정책 결정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와 일본은행은 오는 20~21일(현지시간) 각각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와 금융정책결정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다.

한은은 미국과 일본 중앙은행의 회의를 앞두고 국제금융시장 동향을 면밀히 점검하고 국내 금융시장의 영향을 분석하는 등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이주열 총재는 19일 오전 한은 본관에서 간부회의를 주재하고 미국 FOMC에 대비해 금융시장을 잘 점검하고 긴장의 끈을 놓지 말라고 당부했다.

 

이 총재는 하루 전인 지난 18일에도 부총재, 부총재보, 조사국장, 통화정책국장 등 주요 간부들이 참석한 금융·경제상황 점검회의를 열어 추석 연휴 기간 국제금융시장 동향을 살폈다.

 그는 이 자리에서 미국과 일본의 통화정책에 따라 국내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고 언급하며 국내외 상황 변화를 면밀히 점검할 것을 강조했다.

이 총재가 연휴 마지막 날 출근해 회의를 연 것은 미국과 일본의 통화정책이 국내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그만큼 크기 때문이다.

특히 한은의 기준금리 결정 등 통화정책이 새로운 전환점을 맞을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연준의 금리 인상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어느 때보다 큰 상황이다.

금융시장에서는 연준이 오는 12월 금리를 올릴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지만, 이번 달 인상할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미국 노동부는 지난 16일(현지시간) 8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한 달 전보다 0.2% 상승했다고 발표했다.

CPI 상승률은 금융시장의 예상치인 0.1%보다 높은 수치로 연준이 금리를 올릴 근거가 될 수 있다는 전망이 퍼졌다.

연준이 현재 연 0.25∼0.50%인 정책금리를 올릴 경우 국내 금융시장에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

 

미국과 한국의 금리 차이가 좁혀지면서 우리나라 증권시장에서 외국인 자금이 대거 빠져나갈 우려가 있다.

또 중국 등 신흥국 경제가 자본 유출로 타격을 받으면 우리나라의 수출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미국의 금리 인상은 한은의 기준금리 운용을 제한하는 요인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주열 총재도 지난 9일 금융통화위원회 직후 기자간담회에서 "미국의 금리 인상은 달러화 강세와 신흥시장국으로부터 자금 유출 위험을 높이는 요인이 되기 때문에 우리나라 기준금리의 실효하한을 높일 수 있다"고 말한 바 있다.

경기 부진이 계속되는 상황에서 한은이 기준금리를 올리기는 어렵다.

그러나 연준이 점진적으로 금리를 올리면 우리나라도 장기적으로 미국을 좇아 금리 인상으로 방향을 틀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우리금융경영연구소가 작년 7월 내놓은 보고서에 따르면 1999년부터 미국의 정책금리가 변화한 뒤 한은이 기준금리를 같은 방향으로 조정하는데 평균 9.7개월의 시차가 존재했다.

 

일본의 통화정책도 눈여겨봐야 한다.

금융시장에서는 일본은행이 이번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추가적으로 완화적 통화정책을 내놓을 가능성이 크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오히려 일본은행이 올해 초 도입한 마이너스 금리의 효과나 부작용에 대한 검증이 이뤄질 수 있다.

 

세계적으로 마이너스금리로 인한 경제 주체들의 불안감 증폭 등 문제점이 꾸준히 거론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일본은행이 완화적 통화정책에 신중한 행보를 보일 경우 저금리의 부작용이 부각할 수 있고 우리나라에도 영향을 줄 개연성이 있다.

<연합뉴스>

38
  • 기사입력 2016년09월20일 06시53분
  • 검색어 태그 #금리인상#미연방준비은행#일본은행#통화정책#마이너스금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